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이효백(李孝伯)
조선 전기의 종친ㆍ무신. 덕천군(德泉君) 이후생(李厚生)의 아들로, 1468년(세조 14) 무과에 급제하여 병조 참판(兵曹參判)을 지냄. 활을 잘 쏘아 세조(世祖)ㆍ예종(睿宗)ㆍ성종(成宗) 등에게 총애를 받음.
1433~1487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무신ㅣ인명>왕실>종친
-
이효성(李孝誠)
조선 전기의 종친. 덕천군(德泉君) 이후생(李厚生)의 아들로, 중종반정(中宗反正) 때 진성대군(晉城大君)의 집을 시위한 공으로 정국공신(靖國功臣)에 책록됨. 활을 잘 쏘고 무예에 뛰어남.
1445~1518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왕실>종친
-
이효손(李孝孫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전주(全州). 금성 현령(金城縣令)을 지낸 이종윤(李從胤)의 아버지로, 사선 주부(司膳主簿) 등을 지냄.
1403~1463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이효숙(李孝叔)
조선 전기의 종친. 정종(定宗)의 손자로, 덕천군(德泉君) 이후생(李厚生)의 차남. 학문을 좋아하여 제자백가 등을 섭렵했고, 무예에도 뛰어났음.
1440~1487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종친
-
이효순(李孝順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명종(明宗) 때의 종친. 본관은 전주(全州). 봉성군(鳳城君) 이이(李𢓡)의 손자이며 부안정(富安正) 이증(李增)의 막내아들로, 유직경(柳直卿) 등과 교유함.
1494~1550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이효술(李孝述)
중국 송(宋) 나라 때의 학자. 주희(朱熹)의 문인(門人). 주희(朱熹)의 제자 이번(李燔)의 조카로, 주자를 직접 만나지는 못하고 편지로 수학했다 함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이효신(李孝臣)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은 연안(延安). 연안군(延安君) 아랄첩목아(阿剌帖木兒)의 아버지로, 판도 판서(版圖判書)를 지냄.
한국>고려후기 , 황해도>연안 , 인명>관인>문신
-
이효언(李孝彦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용인(龍仁)으로, 충주 판관(忠州判官)을 지낸 이봉손(李奉孫)의 아들. 이조 정랑(吏曹正郞)ㆍ사헌부 감찰(司憲府監察) 등을 역임함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이효온(李孝溫)@고려
고려 후기의 호장. 본관은 여주(驪州). 금오위 중랑장(金吾衛中郞將) 이교(李喬)의 아버지로, 호장군윤(戶長軍尹)을 지냄.
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여주 , 인명>관인>아전
-
이효온(李孝溫)@조선
조선 전기의 종친. 본관은 전주(全州). 의평군(義平君) 이원생(李元生)의 아들이자 사헌부 감찰(司憲府監察)을 지낸 김철산(金鐵山)의 사위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종친
-
이효원(李孝元)
조선 전기의 종친. 정종(定宗)의 손자인 곡성군(鵠城君) 이금손(李金孫)의 아들로, 학문에 뜻을 두어 행동을 조심했고 형제들과 한 집에 살면서 우애가 좋았음.
1464~1506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이효원(李效元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함평(咸平)으로, 한성부 우윤(漢城府右尹) 이관(李瓘)의 아들. 이조 참판(吏曹參判) 등을 지냈으며, 광해군(光海君)을 폐위시키고 영창대군(永昌大君)을 옹립하려다 실패하여 거제도로 유배되었다가 인조반정(仁祖反正) 때 풀려남.
1550~1629 한국>조선후기 , 서울ㅣ충청도>청양 , 인명>관인>문신
-
이효윤(李孝胤)
조선 후기의 종친. 성종(成宗)의 아들인 익양군(益陽君) 이회(李懷)의 증손이며, 청원도정(靑原都正) 이간(李侃)의 장자(長子).
1554~1612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이효장(李孝長)
조선 전기의 종친. 영정수(永貞守) 이복중(李福重)의 아버지로, 도개부정(道開副正)에 봉해짐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이효지(李孝智)
조선 전기의 종친. 태종(太宗)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(孝寧大君)의 손자. 범허정(泛虛亭) 상진(尙震)의 장인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이효창(李孝昌)
조선 전기의 종친. 정종(定宗)의 아들인 덕천군(德泉君) 이후생(李厚生)의 넷째 아들. 무과(武科)에 장원하고, 경서나 역사서도 두루 통할 만큼 학문에도 뛰어남.
1450~1478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무신ㅣ인명>왕실>종친
-
이효충(李孝忠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전의(全義). 이형(李泂)의 아버지로, 전첨사 녹사(典籤司錄事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전의 , 인명>관인>문신
-
이효충(李效忠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무예에 능해 예조 좌랑(禮曹佐郞) 겸 선전관(宣傳官)이 되었으나, 별시(別試)에 장원한 이듬해 병사(病死)함.
1484~1525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전의 , 인명>관인>문신
-
이후(李垕)
조선 인조(仁祖)~현종(顯宗) 때의 문신. 중종(中宗)의 아들인 덕양군(德陽君)의 현손(玄孫). 한충(韓忠)의 문집인 《송재집(松齋集)》에 〈삼송정실기(三松亭記實)〉가 실려 있음.
1611~1668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관인>문신ㅣ인명>왕실>종친
-
이후백(李後白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이조 판서(吏曹判書)와 양관 제학(兩館提學)을 지냈으며, 문장이 뛰어나고 덕망이 높아 사림(士林)의 추앙을 받음.
1520~1578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함안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