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익대공신(翊戴功臣)
조선 예종(睿宗) 즉위년에 남이(南怡)의 옥사를 다스린 공으로 내린 훈호(勳號). 세 등급으로 분류하여 유자광(柳子光)ㆍ신숙주(申叔舟) 등 총 36명에게 내림.
1468 한국>조선전기 , 법제>제도
-
익륜(益倫)
고려 후기의 승려. 천보산(天寶山) 회암사 주지(檜巖寺住持)로 있으면서 목은(牧隱) 이색(李穡), 양촌(陽村) 권근(權近)과 교유함.
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양주 , 인명>종교인>승려
-
익비한씨(益妃韓氏)
고려 제31대 공민왕(恭愍王)의 비. 덕풍군(德豊君) 왕의(王義)의 딸로, 왕비로 책봉되고 한씨(韓氏)를 사성(賜姓) 받음. 후사가 없는 공민왕의 강요로 홍륜(洪倫)과 정을 통하여 딸을 낳음.
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왕실>왕비
-
익사공신(翼社功臣)
조선 광해군(光海君) 5년에 임해군(臨海君)의 옥사를 다스린 여러 신하들에게 주었던 훈호(勳號). 세 등급으로 나누어 유희분(柳希奮)ㆍ최유원(崔有源)ㆍ윤효전(尹孝全) 등 총 48명에게 내림.
1613 한국>조선후기 , 법제>제도
-
익산(益山)
전라도 북쪽에 있는 고을 이름. 남으로 전주(全州), 북으로 여산(礪山)과 접하였으며, 마한(馬韓)이 세워진 곳.
전라도>익산 , 지명>행정지명
-
익안대군(益安大君)
조선 제1대 태조(太祖)의 셋째 아들. 신의왕후(神懿王后) 한씨(韓氏) 소생으로, 제1차 왕자(王子)의 난(亂) 때 이방원(李芳遠)을 보좌하여 정사공신(定社功臣)에 책록되었으며, 제2차 왕자의 난 때에는 중립을 지킴.
?~1404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서울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왕실>왕자
-
익양군(益陽君)
조선 제11대 성종(成宗)의 일곱 번째 서자. 어머니는 숙의홍씨(淑儀洪氏). 중종반정(中宗反正)의 원종공신(原從功臣)이 되어 종부시(宗簿寺) 등의 제조(提調)와 종친부의 유사당상(有司堂上)을 겸임함.
1488~1552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왕자
-
익재난고(益齋亂藁)
고려 후기의 문신ㆍ학자인 이제현(李齊賢)의 시문집(詩文集). 10권 4책. 목판본. 이색(李穡)의 서문(序文)이 있음.
1363 한국>고려후기 , 문헌>서명
-
익조(翼祖)@송
중국 송(宋) 태조(太祖) 조광윤(趙匡胤)의 조부. 태조(太祖) 건융 원년(建隆元年, 960)에 익조(翼祖)로 추존됨.
중국>당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익조(翼祖)@조선
조선 태조(太祖) 이성계(李成桂)의 증조부. 1394년(태조 3)에 익왕(翼王)으로 추존되고, 태종(太宗) 때 익조(翼祖)로 추존됨.
한국>고려후기 , 함경도>덕원ㅣ함경도>경흥 , 인명>왕실>국왕
-
익종(翼宗)
조선 제23대 순조(純祖)의 세자. 1827년(순조 27) 순조의 명으로 대리청정을 시작하였으나 4년 만에 죽음. 아들 헌종(憲宗)이 즉위 후 익종으로 추존함.
1809~1830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국왕
-
익주(益州)
중국 사천성(四川省)에 속하는 고을 이름. 한(漢) 나라 때 촉(蜀) 땅에 처음 주(州)로 설치됨.
중국 , 지명>행정지명
-
익현군(翼峴君)
조선 제4대 세종(世宗)의 일곱 번째 서자. 신빈김씨(愼嬪金氏)의 소생으로, 계유정난(癸酉靖難)에 참여하여 좌익공신(佐翼功臣)에 책록됨.
1431~1463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왕실>왕자
-
인기(印紀)
조선 전기의 유학. 하서(河西) 김인후(金麟厚)와 교유하여 김인후가 그에게 준 증별시가 《하서선생전집(河西先生全集)》에 보임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인당(印璫)
고려 충혜왕(忠惠王)~공민왕(恭愍王) 때의 무신. 교동인씨(喬桐印氏)의 시조. 원(元) 나라가 국경침입을 구실로 위협하자 공민왕(恭愍王)에 의해 죄를 뒤집어쓰고 사형당함.
?~1356 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강화 , 인명>관인>무신
-
인당집(忍堂集)
조선 태종(太宗) 때의 문신인 박소(朴昭)의 문집.
한국>조선전기 , 문헌>서명
-
인동(仁同)
경상도 남서부에 있던 고을 이름. 성주(星州)ㆍ개령(開寧)과 접해 있음. 적개공신(敵愾功臣) 장말손(張末孫) 등을 배출하였으며, 길재(吉再)를 배향한 오산서원(吳山書院)과 장현광(張顯光)을 배향한 동락서원(東洛書院)이 있음. 현재는 경상북도 구미시(龜尾市)에 속함.
경상도>인동 , 지명>행정지명
-
인동장씨(仁同張氏)
고려 태사(太師)를 지낸 장정필(張貞弼)을 도시조로 하며, 삼중대광(三重大匡)에 오른 장금용(張金用)을 시조로 하는 계통과 충렬왕 때 옥산군(玉山君)에 봉해진 장계(張桂)를 시조로 하는 계통을 아울러 이르는 성씨.
한국>고려전기 , 경상도>인동 , 인명>집단>성씨
-
인목왕후(仁穆王后)
조선 제14대 선조(宣祖)의 계비(繼妃). 1602년(선조 35)에 왕비에 책봉되었으나, 1617년(광해군 9)에 삭호(削號)당하고 서궁(西宮)에 유폐되었다가 인조반정(仁祖反正)으로 복호(復號)됨.
1584~1632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왕비
-
인물성동이론(人物性同異論)
성리학에서 인간의 성(性)과 인간을 제외한 만물의 성이 같은가 다른가에 관한 이론. 동론(同論)을 주장한 이간(李柬)과 이론(異論)을 주장한 한원진(韓元震) 사이에 일어난 논변이 중심이 됨.
한국>조선후기 , 사상>이론>학설