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한계순(韓繼純)
조선 세조(世祖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청주(淸州)로, 함경 감사(咸鏡監司) 한혜(韓惠의 아들. 남이(南怡)의 옥사를 다스리는 데 공을 세워 익대공신(翼戴功臣)에 책록되고, 성종의 즉위를 도와 좌리공신(佐理功臣)에 책록되었으며, 지중추부사(知中樞府事) 등을 역임함.
1431~1486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한계희(韓繼禧)
조선 세종(世宗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청주(淸州). 한혜(韓惠)의 아들로, 남이(南怡)의 옥사와 성종의 즉위 때 공을 세워 두 차례 공신(功臣)에 책록되고, 《경국대전(經國大典)》과 《의방유취(醫方類聚)》의 편찬에 참여함.
1423~1482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한곤(韓鯤)
조선 전기의 무신. 본관은 청주(淸州). 선조(宣祖)가 세자로 있을 때 사부(師傅)를 지낸 한윤명(韓胤明)의 아버지로, 호분위 부사직(虎賁衛副司直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관인>무신
-
한공의(韓公義)
고려 충혜왕(忠惠王)~공민왕(恭愍王) 때의 무신. 본관은 청주(淸州)로, 상당부원군(上黨府院君) 한악(韓渥)의 아들. 충혜왕의 신임을 받았으며, 공민왕 때 밀직부사(密直副使)로 정조사(正朝使)가 되어 원(元) 나라에 다녀옴.
한국>고려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관인>무신
-
한관(韓綰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청주(淸州)로, 영의정 한효원(韓效元)의 아들. 1528년(중종 23) 사마 양시(司馬兩試)에 입격하여 정랑(正郞)을 지냈으며, 이황(李滉)과 주고받은 서신이 《퇴계집(退溪集)》에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청주ㅣ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한구(韓駒)
중국 송(宋) 나라 휘종(徽宗) 때의 문신. 소철(蘇轍)의 문인(門人)으로, 강주 지사(江州知事) 등을 역임함. 문장에 뛰어났고 시에 대한 이해가 깊었으며, 저서에 《능양집(陵陽集)》이 있음.
?~1135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한궐(韓厥)
중국 춘추전국시대 진(晉) 나라의 경대부. 한기(韓起)의 아버지로, 여공(厲公)이 무도(無道)하여 난서(欒書)와 순언(荀偃)이 죽이려 할 때 동참하기를 거부함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경대부
-
한규(韓珪)
조선 태조(太祖)~태종(太宗) 때의 무신. 본관은 청주(淸州). 제2차 왕자(王子)의 난(亂)을 평정하고 태종이 왕위에 오르는 데 협력한 공으로 좌명공신(佐命功臣)에 책록되었으며, 중군절제사(中軍節制使) 등을 역임함.
?~1416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무신
-
한규인(韓珪仁)
고려 후기의 문신ㆍ외척. 본관은 안변(安邊). 한경(韓卿)의 아버지로, 손녀인 신의왕후(神懿王后)가 조선 태조(太祖)의 정비로 책봉되자 익조공신(翊祚功臣)에 추록되고, 안천부원군(安川府院君)에 추증됨.
한국>고려후기 , 함경도>안변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ㅣ인명>왕실>인척
-
한근(韓瑾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무신. 본관은 당진(唐津)으로, 한숙(韓淑)ㆍ한주(韓澍)ㆍ한호(韓灝)의 아버지. 만년(晩年)에 효행(孝行)으로 추천을 받아 세자익위사 좌세마(世子翊衛司左洗馬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당진 , 인명>관인>무신
-
한금호(韓擒虎)
중국 남북조시대 북주(北周)~수(隋) 나라 문제(文帝) 때의 장군. 영주 자사(永州刺史)ㆍ화주 자사(和州刺史) 등을 지냄. 진(陳) 나라를 정벌하여 후주(後主)를 사로잡은 공으로 상주국(上柱國)에 봉해지고, 양주 총관(凉州摠管)이 되었으나 곧 죽음. 죽어서는 염라대왕(閻羅大王)이 되었다고 전해짐.
538~592 중국>수ㅣ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무신
-
한기(韓琦)
중국 송(宋) 나라 인종(仁宗)~신종(神宗) 때의 재상. 인종 때 재상에 올라 십여 년간 국정에 참여하여 치적을 쌓았으나, 신종 때 왕안석(王安石)의 청묘법(靑苗法) 실시와 거란(契丹)에 대한 영토할양에 적극 반대하며 관직에서 물러남.
1008~1075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한기(韓紀)
조선 성종(成宗)의 부마(駙馬). 본관은 청주(淸州). 한형윤(韓亨允)의 아들로, 성종의 열 번째 서녀(庶女)인 정혜옹주(靜惠翁主)와 혼인함. 갑자사화(甲子士禍) 때 안산(安山)에 유배되었다가 중종반정(中宗反正) 후 복관(復官)됨.
1490~1558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왕실>인척
-
한기(韓起)
중국 춘추전국시대 진(晉) 나라의 경대부. 한궐(韓厥)의 아들로, 평공(平公) 때 노(魯) 나라에 사신으로 가 《주역(周易》등을 보고는, 주(周) 나라의 예법이 노 나라에 남아 있음을 감탄함.
?~B.C.514 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경대부
-
한난(韓蘭)
고려 태조(太祖) 때의 개국공신(開國功臣). 청주한씨(淸州韓氏)의 시조로, 기자(箕子)의 후손으로 전해짐. 태조의 즉위와 견훤(甄萱)과의 전투에 공이 있어 삼중대광 개국벽상공신(三重大匡開國壁上功臣)에 녹훈(錄勳)되고, 문하태위(門下太尉)를 지냄.
한국>고려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한남군(漢南君)
조선 제4대 세종(世宗)의 넷째 서자. 단종(端宗)을 봉양한 죄로 사사된 혜빈양씨(惠嬪楊氏)의 소생으로, 세조(世祖) 즉위 후 단종복위를 모의한 것이 발각되어 함양(咸陽)에 유배되었다가 죽음.
1429~1459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왕자
-
한당(漢黨)
조선 인조(仁祖) 말에 청서(淸西)에서 갈린 서인(西人)의 한 분파. 서울 및 근기지역에 거주하며 산당(山黨)과 정책상 대립한 김육(金堉)ㆍ신면(申冕)ㆍ김우명(金佑明) 등을 부르는 말. 이건창(李建昌)의 《당의통략(黨議通略)》에 기록이 있음.
한국>조선후기 , 인명>집단>조직
-
한대순(韓大淳)
고려 충정왕(忠定王)~공민왕(恭愍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청주(淸州)로, 한악(韓渥)의 아들이며 한천(韓蕆)의 아버지. 충정왕 때 판밀직사사(判密直司事)ㆍ지도첨의(知都僉議) 등을 지냈으나, 공민왕이 즉위하자 기장 감무(機張監務)로 좌천됨.
?~1355 한국>고려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관인>문신
-
한두(韓㞳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청주(淸州). 한세환(韓世桓)의 아들로, 청요직(淸要職)을 두루 거치고 명종 때 동지사(冬至使)가 되어 명(明) 나라에 다녀왔으며, 한성부 좌윤(漢城府左尹) 등을 역임함.
1501~1558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관인>문신
-
한림원(翰林院)
중국 당(唐) 나라 현종(玄宗) 초기에 설치한 관청. 문장에 능한 선비ㆍ학자, 의복술(醫卜術)에 능한 사람, 예재(藝才)에 뛰어난 사람들이 뽑혀 모인 곳으로, 738년에 한림학사원(翰林學士院)과 한림기술원(翰林技術院)으로 나뉨.
중국>당 , 중국 , 법제>관청