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한상덕(韓尙德)
고려 우왕(禑王)~조선 태종(太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청주(淸州). 한수(韓脩)의 넷째 아들로, 호조 참판(戶曹參判) 등을 역임하였으며, 종손뻘인 한명회(韓明澮)를 양육함. 우리나라 최초의 양잠서인《양잠경험촬요(養蠶經驗撮要)》를 초록(抄錄)함.
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관인>문신
-
한상질(韓尙質)
고려 공민왕(恭愍王)~조선 정종(定宗) 때의 문신. 청성군(淸城君) 한수(韓脩)의 아들이며, 한명회(韓明澮)의 조부. 예문춘추관 대학사(藝文春秋館大學士) 등을 지냈으며, 조선 개국 후에 주문사(奏聞使)로 명(明) 나라에 파견되어 조선(朝鮮)이란 국호를 승인받음.
?~1400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관인>문신
-
한상환(韓尙桓)
고려 후기~조선 태종(太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청주(淸州). 한수(韓脩)의 맏아들로, 상의의정부사(商議議政府事) 등을 역임함. 간관(諫官)으로 있을 때 군대를 강하게 하고 식량을 풍족하게 하는 내용을 주장함.
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관인>문신
-
한서(漢書)
중국 후한(後漢)의 반고(班固)가 기전체(紀傳體)로 엮은 전한(前漢)의 정사(正史). 120권. 고조(高祖)부터 왕망(王莽)까지 230년간의 역사 기록.
82 중국>후한 , 중국 , 문헌>서명
-
한서귀(韓瑞龜)
조선 단종(端宗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무신. 본관은 청주(淸州)로, 중추원 부사(中樞院副使) 한승순(韓承舜)의 아들. 계유정난(癸酉靖難) 때 협력한 공으로 정난공신(靖難功臣)에 책록되었으며, 첨지중추원사(僉知中樞院事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무신
-
한세능(韓世能)
중국 명(明) 나라 목종(穆宗)~신종(神宗) 때의 문신. 1572년(조선 선조 5) 신종이 즉위하자 진삼모(陳三謀)ㆍ등계달(鄧季達) 등과 함께 황제의 등극 조서(詔書)를 가지고 조선에 사신으로 옴. 한림원 편수(翰林院編修)ㆍ예부 좌시랑(禮部左侍郞) 등을 지내고, 저서로 《운동습초(雲東拾草)》등이 있음.
1528~1598 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한세충(韓世忠)
중국 송(宋) 나라 휘종(徽宗)~고종(高宗) 때의 무신. 남송(南宋) 초에 악비(岳飛)ㆍ유광세(劉光世)ㆍ장준(張浚) 등의 군벌 병력과 협력하여 금(金) 나라의 침략을 저지하는 전공을 세움.
1089~1151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관인>무신
-
한세환(韓世桓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청주(淸州). 한운(韓運)의 아들로, 《성종실록(成宗實錄)》 편찬에 참여하였으며, 함경도 관찰사(咸鏡道觀察使)로 있을 때 기민(饑民) 구제에 힘씀.
1470~1522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관인>문신
-
한수(漢水)
중국 섬서성(陝西省) 영강현(寧强縣) 북부 반총산(蟠冢山)에서 발원하여 동남부를 거쳐 호북성(湖北省)을 지나 양자강(揚子江)으로 흘러드는 강 이름. 양자강의 최대의 지류임.
중국 , 지명>자연지명
-
한수(韓脩)
고려 충목왕(忠穆王)~우왕(禑王) 때의 문신ㆍ서예가. 이제현(李齊賢)에게 경사(經史)와 서법(書法)을 배우고, 이색(李穡)ㆍ이숭인(李崇仁) 등과 교유하였으며, 찬화공신(贊化功臣)에 책록됨. 지행과 식견이 뛰어나고, 특히 글씨에 능하여 많은 필적을 남김.
1333~1384 한국>고려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예술인>서화가ㅣ인명>관인>문신
-
한수경(韓守慶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청주(淸州). 평난공신(平難功臣) 한준(韓準)의 아버지로, 돈녕부 도정(敦寧府都正)을 지냄.
?~1600 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관인>문신
-
한숙(韓淑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당진(唐津)으로, 세마(洗馬) 한근(韓瑾)의 아들. 공조 판서 등을 지냈으나, 을사사화(乙巳士禍) 때 대윤(大尹)인 윤임(尹任)과 교분이 두텁다 하여 파직되어 이산(理山)에 유배된 뒤 그곳에서 죽음.
1494~1560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당진 , 인명>관인>문신
-
한숙창(韓叔昌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청주(淸州). 서성군(西城君) 한익(韓翊)의 아들로, 외삼촌 박원종(朴元宗)을 따라 중종반정(中宗反正)에 참여하여 정국공신(靖國功臣)에 책록되고, 장례원 판결사(掌隸院判決事) 등을 지냄.
1478~1537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한순(韓恂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한백륜(韓伯倫)의 아들이자 안순왕후(安順王后)의 동생으로, 중종반정에 가담하여 정국공신(靖國功臣)에 책록됨. 지돈녕부사(知敦寧府事) 등을 지냈으나, 방자한 행동과 음란한 행위로 사림의 지탄을 받음.
?~1550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한승권(韓承權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청주(淸州)로, 청원위(淸原尉) 한경록(韓景祿)의 아버지. 안변 부사(安邊府使)ㆍ춘천 부사(春川府使) 등을 지냄. 1545년(명종 즉위년)에 원종공신(原從功臣)에 책록됨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한승순(韓承舜)
조선 세종(世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청주(淸州). 첨지중추원사(僉知中樞院事) 한서귀(韓瑞龜)의 아버지로, 중추원 부사(中樞院副使) 등을 지냄.
?~1448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관인>문신
-
한승정(韓承貞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청주(淸州). 한사무(韓士武)의 아들이며 이심원(李深源)의 문인(門人)으로, 예조 참의(禮曹參議) 등을 지냄. 동문인 김안로(金安老)가 세도를 부리자 절교하고 탄핵하여 미움을 받음.
1478~1534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한시외전(韓詩外傳)
중국 전한(前漢)의 경학자(經學者) 한영(韓嬰)이 지은 《시경(詩經)》의 해설서(解說書). 한영은 내전(內傳) 4권, 외전 6권을 저술하였으나, 남송(南宋) 이후 겨우 외전만이 전해짐.
중국>전한 , 중국 , 문헌>서명
-
한식(寒食)
우리나라 사대(四大) 명절의 하나. 동지(冬至)로부터 105일째 되는 날로, 중국 춘추시대(春秋時代)의 개자추(介子推)를 애도하기 위해 찬밥을 먹는 습관에서 유래하였다고 함.
사건>풍속
-
한신(韓信)
중국 전한(前漢)의 공신. 고조(高祖) 유방(劉邦)을 도와 천하를 통일하고 초왕(楚王)에 봉해졌으나, 후에 회음후(淮陰侯)로 격하되고, 진희(陳豨)의 난(亂)에 통모(通謀)하였다 하여 여후(呂后)의 부하에게 참살(斬殺)당함.
?~B.C.196 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무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