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한악(韓渥)
고려 충선왕(忠宣王)~충혜왕(忠惠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청주(淸州). 한사기(韓謝奇)의 아들로, 심양왕(瀋陽王) 왕고(王暠)가 충선왕을 참소하였을 때 위기를 모면하게 한 공으로 좌리공신(佐理功臣)에 책록되고, 우정승 등을 지냄.
한국>고려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한안(韓安)
고려 공민왕(恭愍王) 때의 역적. 본관은 청주(淸州)로, 정당문학(政堂文學)을 지낸 한방신(韓方信)의 아들. 자제위(子弟衛)에 소속되어 왕의 총애를 받았으나, 최만생(崔萬生)ㆍ홍륜(洪倫)ㆍ권진(權瑨) 등과 모의하여 공민왕을 시해하는 데 가담하였다가 죽음.
?~1374 한국>고려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기타인명>역적
-
한양조씨(漢陽趙氏)
고려시대에 중국에서 귀화하여 조순대부(朝順大夫) 첨의중서사(僉議中書事)를 지냈다고 전해지는 조지수(趙之壽)를 시조로 하는 성씨.
한국>고려시대 , 서울 , 인명>집단>성씨
-
한언(韓堰)
조선 예종(睿宗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청주(淸州). 영의정 한명회(韓明澮)의 조카로, 이조 판서(吏曹判書) 등을 지냈으며, 민반(閔泮)과 함께 《왕비세보(王妃世譜)》를 편찬함. 1492년(성종 23) 사은사(謝恩使)로 명(明) 나라에 갔다가 그곳에서 죽음.
1448~1492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관인>문신
-
한여필(韓汝弼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청주(淸州). 경성 판관(鏡城判官) 한효윤(韓孝胤)의 아버지이며 의성부정(義城副正) 이강(李鋼)의 장인. 음보(蔭補)로 빙고 별제(氷庫別提)가 되고, 문천 군수(文川郡守) 등을 지냄.
1505~1571 한국>조선전기 , 강원도>원주 , 인명>관인>문신
-
한연(韓淵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무신. 본관은 청주(淸州)로, 서청군(西淸君) 한삼덕(韓參德)의 아들. 임진왜란 때 의주(義州)로 파천(播遷)하는 선조를 호종하여 사후에 호성공신(扈聖功臣)에 책록되었으며, 공조 정랑(工曹正郞)ㆍ사복시 정(司僕寺正) 등을 지냄.
1543~? 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무신
-
한영(韓嬰)
중국 한(漢) 나라 문제(文帝)~무제(武帝) 때의 문신ㆍ학자. 상산 태부(常山太傅)를 지내고, 저서로 《한시외전(韓詩外傳)》ㆍ《한시내전(韓詩內傳)》 등이 있음.
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한영(韓永)
고려 충숙왕(忠肅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청주(淸州)로, 간의대부(諫議大夫) 한사기(韓謝奇)의 아들. 원(元) 나라에서 성장해 하남부총관(河南府摠管) 등을 지내고, 원 나라에 와 있던 충숙왕을 시종한 공으로 공신(功臣)에 책록됨.
1285~1336 한국>고려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관인>문신
-
한영(韓英)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은 청주(淸州). 한양부원군(漢陽府院君) 한종유(韓宗愈)의 아버지로, 밀직부사(密直副使)를 지냄.
한국>고려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한온(韓蘊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무신. 본관은 청주(淸州). 을묘왜변(乙卯倭變) 때 장흥 부사(長興府使)로서 전라 병마절도사(全羅兵馬節度使) 원적(元績)과 영암 군수(靈巖郡守) 이덕견(李德堅)과 함께 달량포(達梁浦)에 침입한 왜적에 맞서 싸우다가 전사함.
?~1555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관인>무신
-
한운(韓運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청주(淸州). 함경도 관찰사(咸鏡道觀察使)를 지낸 한세환(韓世桓)의 아버지로, 내섬시 첨정(內贍寺僉正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관인>문신
-
한원길(韓元吉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신. 화정(和靖) 윤돈(尹焞)의 문인(門人)으로, 일찍이 여조겸(呂祖謙)과 더불어 덕청(德淸)의 자상사(慈相寺)에서 강독하고 이부 상서(吏部尙書) 등을 지냄.
1118~1187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한원진(韓元震)
조선 숙종(肅宗)~영조(英祖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청주(淸州). 권상하(權尙夏)의 문인으로, 이간(李柬)과 인물성동이론(人物性同異論)의 논쟁을 벌여 인물성이론(人物性異論)을 주장함. 영릉 참봉(寧陵參奉) 등을 지내고, 저서로 《남당집(南塘集)》이 있음.
1682~1751 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결성ㅣ서울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한위(韓偉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청주(淸州). 영의정 한확(韓確)의 손자이며 덕종비(德宗妃) 소혜왕후(昭惠王后)의 조카로, 동지중추부사(同知中樞府事) 등을 역임함.
1465~1511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관인>문신
-
한유(韓愈)
중국 당(唐) 나라의 문신ㆍ문인. 당송팔대가(唐宋八大家)의 한 사람으로, 도교와 불교를 배격하고, 유종원(柳宗元) 등과 함께 고문 운동(古文運動)을 창도하였으며, 송대 이후의 도학(道學)의 선구자가 됨.
768~824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한유(韓維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청주(淸州). 영의정(領議政) 한효원(韓效元)의 맏아들이고, 정랑(正郞) 한관(韓綰)의 형이며, 풍해군(豊海君) 이함(李菡)의 사위. 감찰(監察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관인>문신
-
한유(韓裕)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은 안변(安邊). 조선 태조(太祖)의 정비(正妃)인 신의왕후(神懿王后)의 증조부로, 보리공신(輔理功臣)에 추록되고, 문하시랑 찬성사(贈門下侍郞贊成事) 안원군(安原君)에 추증됨.
한국>고려후기 , 함경도>안변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ㅣ인명>왕실>인척
-
한유문(韓有紋)
고려 우왕(禑王)~조선 세종(世宗) 때의 문신. 양촌(陽村) 권근(權近)의 문하에서 수학하였으며, 전주 부윤(全州府尹)을 거쳐 중추원 부사(中樞院副使) 등을 역임함.
?~1436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관인>문신
-
한윤명(韓胤明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청주(淸州). 일재(一齋) 이항(李恒)과 퇴계(退溪) 이황(李滉)의 문인으로, 이이(李珥)ㆍ박광전(朴光前)과 교유하고, 선조(宣祖)가 세자로 있을 때 사부(師傅)를 지냄.
1526~1567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한윤창(韓胤昌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청주(淸州). 영흥 부사(永興府使)를 지낸 한사개(韓士介)의 아들로, 1509년(중종 4) 별시(別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예조 참판ㆍ호조 참판 등을 지냄.
1480~?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