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한윤희(韓胤熙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청주(淸州)로, 영흥 부사(永興府使)를 지낸 한사개(韓士介)의 장남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문사>유학
-
한응인(韓應寅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청주(淸州)로, 부사직(副司直) 한경남(韓敬男)의 아들. 한어(漢語)에 능하여 수차례 명(明) 나라에 다녀오고, 임진왜란 때 원군을 이끌고 온 이여송(李如松)의 접반관(接伴官)이 됨.
1554~1614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한의(韓嶬)
조선 세조(世祖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청주(淸州)로, 서원부원군(西原府院君) 한계미(韓繼美)의 아들. 성종 때 좌리공신(佐理功臣)에 책록되었으며, 이모인 세조비 정희왕후(貞熹王后)가 죽자 수릉관(守陵官)이 되어 왕실의 장례에 관한 일을 맡음.
1443~1485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한익(韓翊)
조선 전기의 외척. 본관은 청주(淸州)로, 서릉부원군(西陵府院君) 한치례(韓致禮)의 아들이며 소혜왕후(昭惠王后)의 조카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왕실>인척
-
한익모(韓翼謨)
조선 영조(英祖)~정조(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청주(淸州). 사도세자(思悼世子)의 신원(伸寃) 과정에서 삭직되고 유배되었으며, 영의정(領議政) 등을 지냄.
1703~? 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관인>문신
-
한인효(韓仁孝)
조선 전기의 유학. 1472년(성종 3) 함양 군수(咸陽郡守)로 재직하고 있는 스승 김종직(金宗直)과 함께 지리산(智異山)을 등정한 일이 《점필재집(佔畢齋集)》에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함양 , 인명>문사>유학
-
한자(韓慈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청주(淸州). 서평군(西平君) 한숙창(韓叔昌)의 아들로, 풍저창 주부(豐儲倉主簿)ㆍ함열 현감(咸悅縣監) 등을 지냈음.
1496~1547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관인>문신
-
한장손(韓長孫)
조선 세조(世祖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무신. 본관은 청주(淸州)로, 철원 부사(鐵原府使) 한증(韓曾)의 아버지. 1458년(세조 5)에 식년시(式年試) 무과(武科)에 급제하여 한성부 판관(漢城府判官)ㆍ내자시 정(內資寺正) 등을 지냄.
1422~1497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관인>무신
-
한적(韓績)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(本貫)은 양주(楊州). 대지국사(大智國師) 찬영(粲英)의 아버지로, 사복시 직장(司僕寺直長)을 지냄.
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양주 , 인명>관인>문신
-
한절(韓𥑇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청주(淸州). 군자감 첨정(軍資監僉正) 한치원(韓致元)ㆍ청성부원군(淸城府院君) 한치형(韓致亨)의 아버지로, 공조 정랑(工曹正郞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관인>문신
-
한종도(韓宗道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김안국(金安國)의 문인으로, 김안국이 지은 자사(字辭)가 《모재집(慕齋集)》에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한종유(韓宗愈)
고려 충렬왕(忠烈王)~공민왕(恭愍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청주(淸州)로, 밀직부사(密直副使) 한영(韓英)의 아들. 이조년(李兆年)과 더불어 충숙왕(忠肅王)ㆍ충혜왕(忠惠王) 등에게 충절을 다하고, 조적(曺頔)의 난에 공을 세워 공신에 책록됨.
1287~1354 한국>고려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한주(韓澍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당진(唐津). 통사랑(通仕郞) 한근(韓瑾)의 아들로, 1533년(중종 28) 별시(別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사인(舍人) 등을 지냄.
1511~?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한주집(韓州集)
조선 영조(英祖) 때의 문신인 한주(韓州) 이집(李潗)의 문집. 7책.
한국>조선후기 , 문헌>서명
-
한준(韓準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돈녕부 도정(敦寧府都正)을 지낸 한수경(韓守慶)의 아들로, 정여립(鄭汝立)의 모역사건을 알리는 비밀장계를 올린 공으로 평난공신(平難功臣)에 책록됨. 글씨를 잘 써서 사자관(寫字官)을 지냄.
1542~1601 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한준겸(韓浚謙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청주(淸州). 경성 판관(鏡城判官)을 지낸 한효윤(韓孝胤)의 아들이며, 인조의 장인. 예학(禮學)과 국가의 고사(故事)에 밝고, 《광해군일기(光海君日記)》편찬에 참여함.
1557~1627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한준민(韓俊敏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청주(淸州). 송재(松齋) 한충(韓忠) 손자로, 영릉 참봉(英陵參奉) 등을 지내다가 광해군 때 사직하였음.
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관인>문신
-
한중겸(韓重謙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유학. 본관은 청주(淸州). 경성 판관(鏡城判官)을 지낸 한효윤(韓孝胤)의 아들로, 1579년(선조 12)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함.
1555~1579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유학
-
한중례(韓仲禮)
고려 충목왕(忠穆王)~공민왕(恭愍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청주(淸州)로, 상당부원군(上黨府院君) 한악(韓渥)의 아들. 우대언(右代言)ㆍ동지밀직사사(同知密直司事) 등을 지냄.
한국>고려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관인>문신
-
한중보(韓仲輔)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은 청주(淸州). 하남부 총관(河南府摠管)을 지낸 한영(韓永)의 아들로, 원(元) 나라에서 시의사 통사사인(侍儀司通事舍人)ㆍ중흥무공고 부사(中興武功庫副使) 등을 역임하였음.
한국>고려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