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한증(韓增)
중국 전한(前漢) 소제(昭帝)~선제(宣帝) 때의 장군, 거기장군(車騎將軍) 등을 지내고, 선제가 기린각(麒麟閣)에 공신의 초상을 그릴 때 곽광(霍光)ㆍ장안세(張安世)와 함께 그려짐.
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관인>무신
-
한증(韓曾)
조선 성종(成宗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청주(淸州). 내자시 정(內資寺正)을 지낸 한장손(韓長孫)의 아들로 철원 부사(鐵原府使) 등을 지내고 홍귀달(洪貴達)과 교유함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관인>문신
-
한진춘추(漢晉春秋)
중국 남북조시대 진(晉) 나라의 학자인 습착치(習鑿齒)가 지은 역사서. 후한(後漢)의 광무제(光武帝)로부터 진 나라의 민제(愍帝)까지를 내용으로 하였으며, 촉(蜀) 나라를 정통으로 하고 위(魏) 나라를 찬탈(簒奪)로 봄.
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문헌>서명
-
한착(寒浞)
중국 하(夏) 나라의 명궁(名弓)인 예(羿)의 신하. 태강(太康)을 폐위한 후 국호를 유궁(有窮)으로 한 예를 죽이고 제위를 찬탈하였으나 소강(少康)에게 멸망당함.
중국>하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역적
-
한창유(韓昌愈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청주(淸州)로, 좌승지(左承旨)를 지낸 한충(韓忠)의 아버지. 1496년(연산군 2)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하고, 장흥고 주부(長興庫主簿)를 지냈으며, 이조 참의(吏曹參議)에 추증됨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한천(韓蕆)
고려 공민왕(恭愍王)~조선 정종(定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청주(淸州). 도첨의사사(都僉議司事)를 지낸 한대순(韓大淳)의 아들로, 고려에서 판개성부사(判開城府事) 등을 지내고, 조선 개국 후 개국원종공신(開國原從功臣)에 책록됨.
?~1403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한천서원(寒泉書院)
조선 정조(正祖) 때 경기도 용인(龍仁)에 건립한 서원. 1802년(순조 2)에 사액되고, 도암(陶庵) 이재(李縡)를 배향함.
한국>조선후기 , 경기도>용인 , 유적>건물>서원,향교
-
한철충(韓哲冲)
고려 말의 문신. 보문각 대제학(寶文閣大提學)을 지낸 한희적(韓希迪)의 아들로, 전법 판서(典法判書) 등을 지냈으나, 고려가 망하자 두문동(杜門洞)에 은거하면서 불사이군(不事二君)의 충절을 지킴.
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상주 , 인명>관인>문신
-
한충(韓忠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주부(主簿) 한창유(韓昌愈)의 아들. 종계변무(宗系辨誣) 주청사(奏請使) 남곤(南袞)의 서장관(書狀官)이었으나 남곤의 미움을 받게 됨. 기묘사화(己卯士禍)로 유배되었다가 신사무옥(辛巳誣獄)에 연루되어 죽음.
1486~1521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관인>문신
-
한치례(韓致禮)
조선 세조(世祖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무신ㆍ문신. 본관은 청주(淸州). 좌의정(左議政)을 지낸 한확(韓確)의 아들로, 성종(成宗)의 외숙. 무과(武科)에 급제했으나 문무를 겸비하여 좌리공신(佐理功臣)에 책록된 후 이조 판서(吏曹判書)ㆍ좌참찬(左參贊)ㆍ영돈녕부사(領敦寧府事) 등을 지냄.
1441~1499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ㅣ인명>관인>무신ㅣ인명>왕실>인척
-
한치원(韓致元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청주(淸州). 내섬시 첨정(內贍寺僉正)을 지낸 한운(韓運)의 아버지로, 군자감 첨정(軍資監僉正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관인>문신
-
한치의(韓致義)
조선 세조(世祖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청주(淸州). 좌의정(左議政)을 지낸 한확(韓確)의 아들로 성종의 외숙. 좌리공신(佐理功臣)에 책록되고, 병조 판서(兵曹判書) 등을 지냄.
1440~1473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ㅣ인명>왕실>인척
-
한치인(韓致仁)
조선 세종(世宗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ㆍ외척. 본관은 청주(淸州). 좌의정(左議政) 한확(韓確)의 아들이며 성종의 생모인 소혜왕후(昭惠王后)의 오빠. 1471년(성종 2) 좌리공신(佐理功臣)에 책록되었으며, 판돈녕부사(判敦寧府事) 등을 지냄.
1421~1477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ㅣ인명>왕실>인척
-
한치형(韓致亨)
조선 문종(文宗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성종(成宗) 즉위 후 좌리공신(佐理功臣)에 책록되고, 고모가 명(明) 나라 성조(成祖)의 여비(麗妃)가 되면서 대중국 외교에서 활동하였으나, 갑자사화(甲子士禍) 때 부관참시당함.
1434~1502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한침(韓沈)
조선 후기의 문신. 본관은 청주(淸州). 서청군(西淸君) 한삼덕(韓參德)의 둘째 아들로, 찰방(察訪) 한부(韓溥)의 동생이며 공조 정랑(工曹正郞) 한연(韓淵)의 형. 찰방(察訪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관인>문신
-
한탁주(韓侂冑)
중국 송(宋) 나라 효종(孝宗)~영종(寧宗) 때의 문신. 여주 방어사(汝州防御使)ㆍ태사(太師) 등을 지냈으나, 재상 조여우(趙汝愚)를 배척하고 주희(朱熹)의 이학(理學)을 위학(僞學)으로 모는 등 국정을 천단함. 북벌(北伐)을 주장하여 출병하였다가 실패하자 사미원(史彌遠)에게 죽임을 당함.
1152~1207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한표(韓淲)
중국 송(宋) 나라 영종(寧宗) 때의 문신ㆍ문인. 이부 상서(吏部尙書) 한원길(韓元吉)의 아들로, 장천(章泉) 조번(趙蕃)과 함께 ‘이천(二泉)’으로 불림. 저서로 《간천일기(澗泉日記)》 등이 있음.
1159~1224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한형원(韓亨元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청주(淸州). 서양군(西陽君) 한의(韓嶬)의 아들로, 문음(門蔭)으로 돈녕부 봉사(敦寧府奉事)를 거쳐 금화사 별제(禁火司別提) 등을 지냈음.
1461~1510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관인>문신
-
한형윤(韓亨允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ㆍ서예가. 본관은 청주(淸州)로, 청평위(靑平尉) 한기(韓紀)의 아버지. 1492년(성종 23) 식년시(式年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이조 참판(吏曹參判)ㆍ지중추부사(知中樞府事) 등을 지내고, 초서(草書)ㆍ예서(隸書)에 능하여 당대의 명필로 알려짐.
1470~1532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예술인>서화가ㅣ인명>관인>문신
-
한혜(韓惠)
조선 태종(太宗)~세종(世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청주(淸州). 영의정(領議政)을 지낸 한상경(韓尙敬)의 아들로, 1417년(태종 17) 식년시(式年試)에 등과하여 함경 감사(咸鏡監司) 등을 지냈음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