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한호(韓濩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서예가. 본관은 삼화(三和). 글씨를 잘 써서 외교문서 등을 맡아 썼으며, 중국에 사절이 갈 때도 서사관으로 파견되어 정묘한 필치로 명성을 떨침. 김정희(金正喜)와 쌍벽을 이루는 서예가로서, 사자관체(寫字官體)라는 서체가 그로부터 형성됨.
1543~1605 한국>조선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예술인>서화가ㅣ인명>관인>문신
-
한호(韓灝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당진(唐津). 통사랑(通仕郞) 한근(韓瑾)의 아들로, 1546년(명종 1) 식년시(式年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판교(判校) 등을 지냄.
1510~?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한확(韓確)
조선 태종(太宗)~세조(世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청주(淸州)로, 성종(成宗)의 외할아버지. 누이가 명(明) 나라 성조(成祖)의 여비(麗妃)가 되어 명 나라의 광록시 소경(光祿寺少卿)에 임명되고, 1455년(세조 1) 좌의정으로 좌익공신(佐翼功臣)에 책록됨.
1403~1456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ㅣ인명>왕실>인척
-
한효선(韓孝先)
고려 충렬왕(忠烈王)~충숙왕(忠肅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청주(淸州). 하남부 총관(河南府摠管)을 지낸 한영(韓永)의 아들로, 원(元) 나라에서 정동성 원외(征東省員外)ㆍ감찰어사(監察御史) 등을 지냈음.
한국>고려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관인>문신
-
한효원(韓效元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청주(淸州)로, 철원 부사(鐵原府使) 한증(韓曾)의 아들. 1501년(연산군 7) 식년시(式年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고 공조 판서(工曹判書)ㆍ영의정(領議政) 등을 지냄.
1468~1534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나주ㅣ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한효윤(韓孝胤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청주(淸州)로, 문천 군수(文川郡守)를 지낸 한여필(韓汝弼)의 아들. 1570년(선조 3) 식년시(式年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, 경성 판관(鏡城判官)ㆍ종부시 주부(宗簿寺主簿) 등을 지냄.
1536~1580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관인>문신
-
한휴(韓休)
고려 공민왕(恭愍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청주(淸州). 정당문학(政堂文學)을 지낸 한방신(韓方信)의 아들로, 문음(門蔭)으로 감문위 호군(監門衛護軍) 등을 지냈으나, 동생 한안(韓安)이 공민왕을 시해한 것에 연좌되어 죽임을 당함. 후에 자헌대부(資憲大夫) 병조 판서(兵曹判書)에 추증됨.
?~1376 한국>고려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관인>문신
-
한희적(韓希迪)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(本貫)은 청주(淸州). 전법 판서(典法判書)를 지낸 한철충(韓哲冲)의 아버지로, 사재령(司宰令) 등을 지냄.
한국>고려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관인>문신
-
함^영(咸^英)
중국 고대 전설상의 제왕인 황제(黃帝)의 음악 함지(咸池)와 제곡(帝嚳)의 음악 육영(六英)을 함께 부르는 말.
고대 , 중국 , 기타>가무
-
함^진(咸^晉)
경상도 함양(咸陽)과 진주(晉州)를 함께 부르는 말.
경상도>함양ㅣ경상도>진주 , 지명>기타지명
-
함경충(咸敬忠)
조선 전기의 유학. 김안국(金安國)의 문하에서 학문을 하였는데, 그에게 청하여 자(字)를 지어 받았음이 《모재집(慕齋集)》에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함경도>길성 , 인명>문사>유학
-
함곡관(函谷關)
중국 하남성(河南省) 영보현(靈寶縣)에 위치한 관문(關門). 중원(中原)에서 관중(關中)으로 통하는 관문이며, 지세가 매우 험준함.
중국 , 유적>시설>성,진,책
-
함관령(咸關嶺)
함경도 함주(咸州)와 홍원(洪原) 경계에 있는 고개 이름. 고려 공민왕(恭愍王) 때 이성계(李成桂)가 원 나라 군대를 무찌른 곳.
함경도>홍원ㅣ함경도>함흥 , 지명>자연지명
-
함녕군(咸寧君)
조선 제3대 태종(太宗)의 둘째 서자. 신빈(信嬪) 신씨(辛氏)의 소생으로, 세종(世宗) 때 계품사(計稟使)로서 중국에 가서 금ㆍ은의 공물을 면제받고 돌아옴.
1402~1467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왕자
-
함벽당(涵碧堂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무신 강희철(康希哲)이 경상북도 안동(安東) 서후면(西後面)에 세운 누각 이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유적>건물>누정
-
함부림(咸傅霖)
고려 우왕(禑王)~조선 태종(太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강릉(江陵)으로, 검교 중추원학사(檢校中樞院學士) 함승경(咸承慶)의 아들. 이성계(李成桂)를 도와 조선 개국에 공을 세워 개국공신(開國功臣)에 책록되고, 형조 판서(刑曹判書) 등을 지냄.
1360~1410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강원도>강릉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함순(咸淳)
고려 후기의 문신ㆍ문인. 공부 상서(工部尙書)를 지낸 함유일(咸有一)의 아들. 문헌공도(文憲公徒) 출신으로, 급제 후 최충헌(崔忠獻) 정권에서 한직에 머무르다가, 이인로(李仁老) 등과 강좌칠현(江左七賢)을 조직하여 시주(詩酒)를 일삼고 청담(淸談)을 즐김.
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양근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함순비릉지(咸淳毗陵志)
중국 송(宋) 나라 문신ㆍ학자인 사능지(史能之)가 편찬한 지리서. 함순(咸淳) 연간에 상주지주사(常州知州事)로 재직하면서 상주(常州)에 관한 지리ㆍ문화ㆍ종교ㆍ군사 등을 기술함. 소상(蘇庠)에 관한 기록이 보임. 30권.
중국>송 , 중국 , 문헌>서명
-
함승경(咸承慶)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은 강릉(江陵). 조선 개국공신(開國功臣) 함부림(咸傅霖)의 아버지로, 검교 중추원학사(檢校中樞院學士)를 지냄.
한국>고려후기 , 강원도>강릉 , 인명>관인>문신
-
함안(咸安)
경상도 남부 중앙에 위치한 고을 이름.
경상도>함안 , 지명>행정지명