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함양(咸陽)
경상도 서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.
경상도>함양 , 지명>행정지명
-
함양(咸陽)@중국
중국 섬서성(陝西省) 중앙에 위치한 옛 도읍 이름.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(秦)의 효공(孝公)이 이곳에 도읍하였고, 시황제(始皇帝)가 천하를 통일한 후 부호(富豪)들을 이주시켜 정치ㆍ경제ㆍ교통ㆍ문화의 중심지로 삼음.
중국 , 지명>행정지명
-
함양박씨(咸陽朴氏)
박혁거세(朴赫居世)를 시조왕(始祖王)으로 삼고, 신라 경명왕(景明王)의 셋째 아들인 속함대군(速咸大君) 박언신(朴彦信)을 중시조(中始祖)로 하는 성씨.
한국>통일신라 , 경상도>함양 , 인명>집단>성씨
-
함양여씨(咸陽呂氏)
고려시대 공조 전서(工曹典書)를 지낸 여어매(呂御梅)를 시조로 하는 성씨.
한국>고려시대 , 경상도>함양 , 인명>집단>성씨
-
함유일(咸有一)
고려 인종(仁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항양(恒陽)으로, 강좌칠현(江左七賢)의 한 사람인 함순(咸淳)의 아버지. 1135년(인종 13) 묘청(妙淸)의 난에 공이 있어 서경유수 녹사(西京留守錄事)가 되고, 병부 낭중(兵部郞中)ㆍ공부 상서(工部尙書) 등을 지냄.
1106~1185 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양근 , 인명>관인>문신
-
함종(咸從)
평안남도 남서쪽 지역에 있는 고을 이름. 남쪽은 용강(龍岡), 북쪽은 증산(甑山)과 접하고 있음.
평안도>함종 , 지명>행정지명
-
함좌무(咸佐武)
조선 전기의 무신. 본관은 강릉(江陵). 삼척 부사(三陟府使)를 지낸 함헌(咸軒)의 아버지로, 부호군(副護軍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강원도>강릉 , 인명>관인>무신
-
함주지(咸州志)
조선 선조(宣祖) 때 함안 군수(咸安郡守) 정구(鄭逑)가 편찬한 읍지(邑誌). 1책. 필사본. 정구의 주관으로 박제인(朴齊仁)ㆍ오운(吳澐) 등 군인(郡人)들의 협력을 받아 편찬한 것으로, 《한강집(寒岡集)》에 서문(序文)이 전함. 이후 다른 읍지 편찬에 모범이 됨.
1587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함안 , 문헌>서명
-
함지(咸池)
중국 고대 전설상의 제왕인 황제(黃帝)가 지은 음악. 요(堯) 임금이 증보(增補)하여 연주함.
고대 , 중국 , 기타>가무
-
함평집(咸平集)
중국 송(宋) 나라 태종(太宗)~진종(眞宗) 때의 문신인 전석(田錫)의 문집. 50권.
중국>송 , 중국 , 문헌>서명
-
함허화상어록(涵虛和尙語錄)
조선 태조(太祖)~세종(世宗) 때의 승려인 기화(己和)의 시문집. 1권. 목판본. 1440년(세종 22)에 문경(聞慶) 봉암사(鳳巖寺)에서 간행함. 전여필(全汝弼)의 서문과 제자 야부(冶夫)의 행장이 수록됨.
1440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문경 , 문헌>서명
-
함헌(咸軒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강릉(江陵). 부호군(副護軍) 함좌무(咸佐武)의 아들로, 삼척 부사(三陟府使) 등을 지냄. 강릉에 오봉서원(五峯書院)을 지어 후진을 양성하고, 이황(李滉)ㆍ정광필(鄭光弼) 등과 교유함.
1508~? 한국>조선전기 , 강원도>강릉 , 인명>관인>문신
-
합관요(蓋寬饒)
중국 전한(前漢) 선제(宣帝) 때의 문신. 성격이 강직하고 청렴하여 간대부(諫大夫)를 거쳐 사예교위(司隸校尉) 등을 지내다가, 황제의 뜻을 거스르는 상주(上奏)를 하여 자결함.
?~B.C.60 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합려(闔閭)
중국 춘추전국시대 오(吳) 나라 제24대 제후. 재위 B.C.515~B.C.496. 초(楚) 나라 사람 오운(伍員)과 《손자(孫子)》의 저자인 손무(孫武)를 등용하여 오 나라의 세력을 중원(中原)에까지 넓혔으나, 월(越) 나라와의 전쟁에서 전사함.
?~B.C.496 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합진(哈眞)
중국 원(元) 나라 태조(太祖) 때의 무신. 1218년(고려 고종 5) 고려에 들어와 찰랄(札剌) 등과 함께 거란(契丹)을 친 뒤, 1219년(고종 6) 고려의 김취려(金就礪)ㆍ조충(趙沖) 등의 군대와 연합으로 강동성(江東城)의 거란병을 쳐서 항복시킴.
중국>원 , 중국 , 인명>관인>무신
-
합천(陜川)
경상남도 북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. 조선시대의 합천군(陜川郡)ㆍ초계군(草溪郡)ㆍ삼가현(三嘉縣)의 3개 군현이 합해져 이루어졌으며, 해인사(海印寺)ㆍ영암사지(靈巖寺址) 등의 주요 사적이 있음.
경상도>합천 , 지명>행정지명
-
합천이씨(陜川李氏)
통일신라 말에 강양군(江陽君)에 봉해진 이개(李開)를 시조로 하는 성씨. 이개는 신라 초기의 육촌(六村) 중 알천양산촌(閼川楊山村)의 촌장인 표암공(瓢巖公) 이알평(李謁平)의 후손이 됨.
한국>통일신라 , 경상도>합천 , 인명>집단>성씨
-
항산(恒山)
중국 산서성(山西省)에 있는 산 이름. 오악(五岳)의 하나로 위치상 북악(北岳)에 해당하며, 높이는 2,052m.
중국 , 지명>자연지명
-
항아(姮娥)
중국 고대 유궁후(有窮后) 예(羿)의 아내. 예가 서왕모(西王母)에게 얻은 선약(仙藥)을 몰래 훔쳐 먹고 신선이 되어 혼자 월궁(月宮)으로 달아났으나, 두꺼비로 변해 달에서 외롭게 살고 있다고 전함. 달에 사는 신선(神仙)이나, 달 자체를 가리키는 말로도 쓰임.
고대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기타인물
-
항우(項羽)
중국 진(秦) 나라의 무장. 진승(陳勝)ㆍ오광(吳廣)의 난으로 진 나라가 혼란에 빠지자 숙부 항량(項梁)과 함께 봉기하여 진 나라를 멸망시켰으나, 제후를 통솔하지 못하여 해하(垓下)에서 한왕(漢王) 유방(劉邦)에게 포위되어 자살함.
B.C.232~B.C.202 중국>진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