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해운사(海雲寺)
통일신라 때 도선국사(道詵國師)가 경상도 선산(善山) 금오산(金烏山)에 창건한 사찰. 고려 말에 길재(吉再)가 머무른 곳으로 전해지며, 임진왜란 때 폐사되었다가 복구됨. 현재 경상북도 구미시(龜尾市)에 속함.
한국>통일신라 , 경상도>선산 , 유적>건물>사찰
-
해운정(海雲亭)
조선 중종(中宗) 때 강원도 관찰사(江原道觀察使)인 심언광(沈彦光)이 강원도 강릉(江陵) 경포(鏡浦)에 지은 누정.
1530 한국>조선전기 , 강원도>강릉 , 유적>건물>누정
-
해원(海圓)
고려 후기의 승려. 검교감(檢校監)을 지낸 조혁(趙奕)의 아들로, 원(元) 나라 안서왕(安西王)의 초빙을 받아 원 나라에서 활동함. 무제(武帝)의 원찰(願刹)인 대숭은복원사(大崇恩福元寺)의 초대 주지로 임명되는 등 원 나라 황실의 지극한 예우를 받음.
1262~1340 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함열 , 인명>종교인>승려
-
해월루(海月樓)
조선 중종(中宗) 때 경상북도 청하현(淸河縣) 읍성 동헌(東軒) 부근에 세워진 누각 이름.
1527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청하 , 유적>건물>누정
-
해인사(海印寺)
신라 애장왕(哀莊王) 때 경상도 합천(陜川) 가야산(伽倻山)에 창건한 사찰. 고려대장경판(高麗大藏經板)을 보관하고 있어 법보사찰(法寶寺刹)로 일컬어짐.
802 한국>통일신라 , 경상도>합천 , 유적>건물>사찰
-
해제(奚齊)
중국 춘추전국시대 진(晉) 나라의 제후. 재위 B.C.651. 헌공(獻公)의 서자(庶子)로, 헌공의 총희(寵姬)인 여희(驪姬)의 술책으로 태자 신생(申生)을 죽이고 즉위했으나 이극(里克)에게 시해됨.
?~B.C.651 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왕실>제후
-
해조집(海釣集)
중국 명(明) 나라 헌종(憲宗)~효종(孝宗) 때의 문신ㆍ서예가인 소현(蕭顯)의 문집.
중국>명 , 중국 , 문헌>서명
-
해주(海州)
황해도 남서쪽에 위치한 고을 이름. 예로부터 중국과의 교통 요충지의 하나임.
황해도>해주 , 지명>행정지명
-
해주옥사(海州獄事)
조선 광해군(光海君) 때 대북파(大北派)의 음모로 일어난 사건. 해주 목사(海州牧使) 최기(崔沂)가 이이첨(李爾瞻)의 일파인 박희일(朴希一) 등을 무고죄로 처형하자, 이이첨이 남형죄(濫刑罪)로 몰아 최기를 처형하고 소북파 수백 명을 제거함.
1616 한국>조선후기 , 사건>역모
-
해주정씨(海州鄭氏)
고려 후기에 문하시중 겸 평장사(門下侍中兼平章事)를 지낸 정숙(鄭肅)을 시조로 하는 성씨.
한국>고려후기 , 황해도>해주 , 인명>집단>성씨
-
해초(海超)
조선 세조(世祖) 때의 승려. 《월인석보(月印釋譜)》를 편찬하고 《선종영가집언해(禪宗永嘉集諺解)》을 교정하였으며, 신숙주(申叔舟)ㆍ김시습(金時習) 등이 그를 읊은 시를 남김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종교인>승려
-
해후부(海吼賦)
중국 명(明) 나라의 문신인 양거(楊琚)가 지은 부(賦). 그 내용이 중국 산해관(山海關)에 있는 관해정(觀海亭)의 정서비(亭西碑)에 새겨져 전한다는 기록이 허봉(許篈)이 지은 〈조천기(朝天記)〉에 보임.
중국>명 , 중국 , 문헌>작품명
-
행단(杏壇)
중국 춘추전국시대 때 공자(孔子)가 제자를 가르치던 당(堂)의 유지(遺址). 중국 산동성(山東省) 곡부(曲阜)에 있는 공자묘(孔子廟) 안에 있던 것으로, 공자가 행단(杏壇) 위에 앉고 제자가 그 곁에서 강학(講學)한 옛일에서 유래하여 학문을 가르치는 곳으로 통함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사상>술어>관용어ㅣ유적>기타유적
-
행당선생유고(杏堂先生遺稿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학자인 윤복(尹復)의 시문집. 5권 3책. 석인본. 1930년에 후손 윤주헌(尹柱憲)이 간행함.
1930 한국>근대 , 문헌>서명
-
행주대첩(幸州大捷)
조선 임진왜란 때 권율(權慄)이 경기도 고양(高陽)의 행주산성(幸州山城)에서 왜군을 대파한 싸움. 1593년(선조 26) 2월 1만여 병력을 행주산성에 집결시켜 성을 쌓고 관민(官民)이 일치단결하여 적을 대파함. 임진왜란의 3대첩(三大捷) 중의 하나.
1593 한국>조선후기 , 경기도>고양 , 사건>전쟁
-
행주산성(幸州山城)
삼국시대에 축성된 경기도 고양(高陽)에 있는 토축산성. 정확한 축성연대는 알 수 없으며, 조선 임진왜란 때 권율(權慄)이 대첩을 이룬 싸움터로, 성 안에 충장사(忠莊祠) 등의 유적이 있음.
경기도>고양 , 유적>시설>성,진,책
-
행촌집(杏村集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학자인 행촌(杏村) 민순(閔純)의 저서.
한국>조선후기 , 문헌>서명
-
향로봉(香爐峯)
강원도 인제(麟蹄)와 고성(高城)의 경계에 있는 산 이름.
강원도>인제ㅣ강원도>고성 , 지명>자연지명
-
향산사(香山社)
중국 당(唐) 나라 때 백거이(白居易)가 향산(香山)의 승려 여만(如滿) 등과 맺은 향화(香火)의 결사(結社). 뜻이 맞는 일을 평생 함께 하기로 맹약(盟約)함을 비유함.
중국>당 , 중국 , 인명>집단>조직
-
향설당시집(香雪堂詩集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ㆍ시인인 한경기(韓景琦)의 저서. 시명(詩名)이 높았던 저자의 시 작품들이 수록되어 있으며, 신흠(申欽)이 지은 〈향설당시집발(香雪堂詩集跋)〉이 전함.
한국>조선전기 , 문헌>서명