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허백당집(虛白堂集)
조선 세조(世祖) 때의 문신ㆍ학자인 성현(成俔)의 시문집(詩文集). 초간본은 아들 성세창(成世昌)이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연간에 간행하였으나 현재 전하지 않음.
한국>조선전기 , 문헌>서명
-
허백영(許伯瑛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김해(金海). 첨정(僉正)을 지낸 허눌(許訥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김해 , 인명>문사>유학
-
허백정집(虛白亭集)
조선 전기의 문신인 홍귀달(洪貴達)의 문집. 9권 6책. 목판본. 원집은 1611년(광해군 3)에 외현손 최정호(崔挺豪)가 초고(草稿)를 편집하여 3권으로 간행하고, 1843년(헌종 9)에 후손 홍종구(洪宗九) 등이 빠진 시문을 수집하여 6권으로 간행함.
1611 한국>조선후기 , 문헌>서명
-
허벽(許璧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양천(陽川). 허윤관(許允寬)의 아들로, 1528년(중종 23) 진사시(進士試)에 입격하였으며, 홍섬(洪暹)의 《인재집(忍齋集》에 그에 대한 만사(輓詞)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유학
-
허변(許汴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양천(陽川). 허회(許淮)의 형으로, 김안국(金安國)의 《모재집(慕齋集)》에 그에 대해 지어준 자사(字辭)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양천 , 인명>문사>유학
-
허보(許輔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하양(河陽). 도사(都事)를 지낸 허량(許亮)의 아버지로, 군수(郡守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하양 , 인명>관인>문신
-
허봉(許篈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문인. 본관은 양천(陽川). 유희춘(柳希春)의 문인으로, 동인(東人)의 선봉이 되어 심의겸(沈義謙) 등 서인(西人)들과 대립하고, 이이(李珥)의 과실을 탄핵하였다가 갑산(甲山)에 유배됨. 후에 금강산에서 병사(病死)함.
1551~1588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허비(許扉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양천(陽川). 판봉상시사(判奉常寺事)를 지낸 허기(許愭)의 아들이며 양천부원군(陽川府院君) 허손(許蓀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양천 , 인명>문사>유학
-
허사렴(許士廉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김해(金海). 허찬(許瓚)의 아들이며 퇴계(退溪) 이황(李滉)의 처남으로, 1549년(명종 4)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의령 , 인명>문사>유학
-
허사언(許士彦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김해(金海). 진사(進士) 허찬(許瓚)의 둘째 아들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김해 , 인명>문사>유학
-
허선문(許宣文)
통일신라~고려 초의 호족(豪族). 본관은 양천(陽川). 고려 태조(太祖)가 견훤(甄萱)을 토벌할 때 재물을 바쳐 군비(軍費)를 지원한 공으로 공암촌주(孔巖村主)에 봉해짐.
한국>고려전기ㅣ한국>통일신라 , 경기도>양천 , 인명>기타인명>양인
-
허성(許筬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양천(陽川). 유희춘(柳希春)의 문인으로, 일본에 통신사로 다녀온 후 일본의 침략 가능성을 직고하고, 임진왜란 때는 군병모집에 진력함. 성리학에 조예가 깊고, 문장과 글씨에 뛰어남.
1548~1612 한국>조선후기 , 경기도>양천 , 인명>관인>문신
-
허성(許誠)
조선 태종(太宗)~세종(世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하양(河陽). 판한성부사(判漢城府事) 허주(許周)의 아들이며 안동 부사(安東府使)를 지낸 허관(許寬)의 아버지로, 예문관 대제학(藝文館大提學)을 지냄.
1382~1441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하양 , 인명>관인>문신
-
허소(許劭)
중국 후한(後漢)의 학자. 매월 초하루마다 인물평을 한 데서 유래한 '월단평(月旦評)' 고사의 장본인으로, 형 허건(許虔)과 함께 ‘평여이룡(平與二龍)’으로 불림. 조조(曹操)를 평하여 '청평(淸平)의 간적(姦賊), 난세(亂世)의 영웅(英雄)'이라 한 일로 유명함.
150~195 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허손(許蓀)
조선 세조(世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양천(陽川). 좌의정 허침(許琛)의 아버지로, 재령 군수(載寧郡守)를 지내고 보조공신(補祚功臣)에 추록되었으며, 양천부원군(陽川府院君)에 봉해짐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양천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허승(許升)
중국 송(宋) 나라의 학자. 주희(朱熹)를 따라 공부하였으나 끝내 선학(禪學)에 탐닉함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허시(許時)
고려 후기의 유학. 본관은 양천(陽川). 개성 윤(開城尹) 허교(許喬)의 장남이자 문신 허응(許應)의 형.
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양천 , 인명>문사>유학
-
허신(許愼)
중국 후한(後漢)의 학자. 가규(賈逵)의 제자로, 널리 유가(儒家)의 경전에 정통하였으며, 선진(先秦)의 고서체(古書體)에 의한 원전(原典)을 중시하고 문자학에 조예가 깊어, 중국 최초의 자서(字書)인 《설문해자(說文解字)》를 저술함.
58?~147? 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허암유집(虛庵遺集)
조선 전기의 문인인 정희량(鄭希良)의 문집. 6권 2책. 목활자본. 원집은 김언평(金彦平) 등이 1506년(중종 1)에 3권 1책으로 편집 간행하고, 1897년에 후손 정광숙(鄭光淑) 등이 원집에 빠진 시문과 부록을 엮어 속집을 간행함.
1506 한국>조선전기 , 문헌>서명
-
허연령(許延齡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하양(河陽). 단종(端宗) 복위를 모의한 허조(許慥)의 아들로, 거사가 실패하자 형제인 허구령(許九齡)과 함께 아버지의 죄에 연좌되어 죽음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하양 , 인명>문사>유학