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허회(許淮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양천(陽川). 허변(許汴)의 아우이며, 허직(許稷)의 아버지로, 김안국(金安國)의 《모재집(慕齋集)》에 그에 대한 자사(字辭)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양천 , 인명>문사>유학
-
허후(許詡)
조선 세종(世宗)~단종(端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하양(河陽). 허조(許稠)의 아들로, 《세종실록(世宗實錄)》 편찬에 참여하고, 황보인(皇甫仁)ㆍ김종서(金宗瑞) 등과 함께 단종을 보위하다가, 계유정난(癸酉靖難) 때 거제도(巨濟島)에 유배된 후 교살(絞殺)됨.
?~1453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하양 , 인명>관인>문신
-
허훈(許薰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양천(陽川). 의영고 영(義盈庫令)을 지낸 허원(許瑗)의 아버지로, 합천 군수(陜川郡守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양천 , 인명>관인>문신
-
허흠(許欽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김해(金海). 첨지중추부사(僉知中樞府事) 허금수(許金壽)의 아들로, 독서하기를 좋아하고 벗들과 우애가 깊었음.
1472~1515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유학
-
허흡(許洽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양천(陽川). 허확(許確)의 아들이며 허항(許沆)의 형으로, 1513년(중종 8) 식년시(式年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공조 판서(工曹判書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헌^기(軒^岐)
중국 고대 전설상의 제왕인 황제 헌원(黃帝軒轅)과 그 시대의 명의(名醫)인 기백(岐伯)을 함께 부르는 말. 의술(醫術)의 비조(鼻祖)를 일컫는 말.
고대 , 중국 , 사상>술어>관용어
-
헌^농(軒^農)
중국 고대 전설상의 제왕인 헌원(軒轅)과 신농(神農)을 함께 부르는 말. 의약(醫藥)의 시조(始祖)를 말함.
고대 , 중국 , 사상>술어>관용어
-
헌^힐(軒^頡)
중국 고대 전설의 제왕인 헌원(軒轅)과 그의 사관(史官)인 창힐(蒼頡)을 함께 부르는 말. 중국 문명 발전의 시조(始祖)를 말함.
고대 , 중국 , 사상>술어>관용어
-
헌강왕(憲康王)
신라 제49대 왕. 재위 875~886. 경문왕(景文王)의 아들로, 즉위 후 문치(文治)에 힘쓰고 불교(佛敎)를 숭상하여 표면적으로는 태평성대를 이루었으나, 이미 이때부터 신라는 쇠퇴기에 접어듦.
?~886 한국>통일신라 , 경상도>경주 , 인명>왕실>국왕
-
헌경왕후(獻敬王后)
조선 제21대 영조(英祖)의 아들인 장헌세자(莊獻世子)의 비(妃)이자 정조(正祖)의 어머니. 본관은 풍산(豊山)으로 홍봉한(洪鳳漢)의 딸. 자서전적 사소설체인 《한중록(恨中錄)》을 지음.
1735~1815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왕비
-
헌공(獻公)@춘추전국(衛)
중국 춘추전국시대 위(衛) 나라의 제후. 재위 B.C.576~B.C.559, B.C.546~B.C.544. 대부인 손임보(孫林父)에 의해 제(齊) 나라로 축출되었다가 12년 만에 영희(甯喜)의 도움으로 다시 복귀하였으나, 후에 영희의 권세를 두려워하여 그를 살해함.
?~B.C.544 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왕실>제후
-
헌공(獻公)@춘추전국(晉)
중국 춘추전국시대 진(晉) 나라의 제후. 재위 B.C.676~B.C.651. 무공(武公)의 아들로, 주변국을 정벌하여 강대국을 만들었으나. 총희(寵姬)인 여희(驪姬)의 아들 해제(奚齊)를 후계자로 세우기 위해 태자 신생(申生)을 죽이는 등 나라를 혼란에 빠뜨림.
?~B.C.651 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왕실>제후
-
헌근록(獻芹錄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인인 유희춘(柳希春)의 편서. 1570년(선조 3)에 제갈량(諸葛亮)ㆍ사마광(司馬光)ㆍ육지(陸贄)ㆍ주자(朱子) 등의 글을 편차하여 올림.
1570 한국>조선전기 , 문헌>서명
-
헌문제(獻文帝)
중국 남북조시대 북위(北魏)의 제5대 황제. 재위 465~471. 문성제(文成帝)의 장남으로, 어린 나이로 등극하자 어머니인 풍태후(馮太后)가 수렴청정을 하였는데, 풍태후의 총신인 이혁(李弈)을 죽이자, 풍태후에게 살해당함.
454~476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헌애왕후(獻哀王后)
고려 제5대 경종(景宗)의 비(妃). 어린 아들 목종(穆宗)을 대신해 섭정(攝政)하면서, 정부(情夫)인 김치양(金致陽) 사이에 태어난 아들을 목종의 후사로 삼으려다 강조(康兆)에 의해 유배됨.
964~1029 한국>고려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왕실>왕비
-
헌원(軒轅)
중국 고대 전설상의 제왕. 중국 문명의 개조(開祖)로, 당시 천자인 신농(神農)의 세력이 약해져 세상이 어지러워지자, 판천(阪泉)과 탁록(涿鹿) 싸움에서 염제(炎帝)와 치우(蚩尤)를 각각 물리치고 제후들의 추대를 받아 제위에 오른 후 문명의 발전을 이끎.
고대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기타인물
-
헌원성(軒轅星)
별자리 이름. 남방에 속하는 주작칠수(朱雀七宿)의 유(柳), 성(星), 장(張), 익(翼) 네 별자리에 걸쳐 있는 17개의 별. 황제(黃帝)의 모성(母星)이라 하며, 여주(女主)를 상징함.
자연물>천체
-
헌정왕후(獻貞王后)
고려 제5대 경종(景宗)의 차비(次妃). 종실 대종(戴宗)의 딸이며, 경종의 비인 헌애왕후(獻哀王后)의 친동생. 경종이 죽은 뒤 안종(安宗) 왕욱(王郁)과 가까이 하여 현종(顯宗)을 낳고 곧 죽음.
한국>고려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왕실>왕비
-
헌제(獻帝)
중국 후한(後漢) 최후의 황제. 재위 189~220. 영제(靈帝)의 아들로, 아홉 살 때 동탁(董卓)에 의해 왕위에 오르고 조조(曹操)의 도움으로 자리를 유지하였으나, 후에 위(魏) 나라 문제(文帝)로 등극한 조비(曹丕)에 의해 폐위됨.
181~234 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헌제복황후(獻帝伏皇后)
중국 후한(後漢) 최후의 황제인 헌제(獻帝)의 비. 조조(曹操)의 세력이 커져 황제를 업신여기자 아버지 복완(伏完)과 모의하여 조조를 죽이려다 일이 탄로나 두 아들과 함께 몰살당함.
?~214 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왕실>왕비