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헌종(憲宗)@당
중국 당(唐) 나라 제11대 황제. 재위 805~820. 병든 아버지 순종(順宗)을 시해하고 환관 구문진(俱文珍) 등에 의해 옹립되어 즉위하였으며, 강력한 통치력으로 국내외의 안정을 구축하였으나, 후사(後嗣) 다툼으로 인해 환관 진홍지(陳弘志) 등에게 암살됨.
778~820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헌종(憲宗)@명
중국 명(明) 나라 제8대 황제. 재위 1464~1487. 영종(英宗)의 아들로, 초년에는 성군(聖君)의 기질이 있었으나, 만년에는 방술(方術)에 탐닉하여 총희(寵姬) 만귀비(萬貴妃)와 향락에 빠짐.
1447~1487 중국>명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헌종(憲宗)@원
몽고의 제4대 칸이며, 원(元) 나라의 추존 황제. 재위 1251~1259. 태조(太祖)의 막내아들인 예종(睿宗)의 장자이며 세조(世祖)의 형으로, 강력한 형제정권을 지향하면서 제국의 기반을 다짐.
1208~1259 중국>원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헌종(憲宗)@조선
조선 제24대 왕. 재위 1834~1849. 추존왕인 익종(翼宗)의 아들로, 여덟 살에 즉위하여 순조(純祖)의 비인 순원왕후(純元王后) 김씨(金氏)가 수렴청정함. 재위 기간 중 세도정치(勢道政治)의 만연으로 삼정(三政)의 문란과 국정의 혼란이 가중됨.
1827~1849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국왕
-
헌종(獻宗)@고려
고려 제14대 왕. 재위 1094~1095. 선종(宣宗)의 아들로, 어머니는 사숙태후(思肅太后) 이씨(李氏). 즉위 후 신병(身病)으로 인해 왕위를 숙부인 숙종(肅宗)에게 물려준 뒤, 후궁에서 지내다가 14세에 요절함.
1084~1097 한국>고려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왕실>국왕
-
헌종실록(憲宗實錄)
조선 제24대 헌종(憲宗)의 재위 15년간의 역사를 편년체(編年體)로 기록한 책. 조인영(趙寅永)ㆍ정원용(鄭元容)ㆍ권돈인(權敦仁)ㆍ김흥근(金興根) 등이 편찬함.
1851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문헌>서명
-
혁거세거서간(赫居世居西干)
신라의 시조. 재위 B.C.57~A.D.4. 양산(楊山) 아래 나정(蘿井)에서 난생(卵生)하여 촌장들의 추대를 받아 거서간(居西干)에 올랐으며, 재위 중 전국을 순행하며 농사와 양잠을 장려하고, 수도를 금성(金城)이라 하고 성을 쌓아 나라의 기틀을 마련함.
B.C.69~A.D.4 한국>신라 , 경상도>경주 , 인명>왕실>국왕
-
현경창(玄景昌)
조선 후기의 유학. 본관은 성주(星州)로, 진사(進士) 현적(玄績)의 아버지.
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성주 , 인명>문사>유학
-
현금(玄琴)
거문고. 우리나라 현악기(絃樂器)의 하나. 고구려 때 왕산악(王山岳)이 중국의 칠현금(七絃琴)을 개량하여 만들었다 하며, 오동나무 공명판(共鳴板) 위에 여섯 줄을 걸어 술대로 튀겨서 연주함.
한국>고구려 , 물품>기타용품>악기
-
현금동문유기(玄琴東文類記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학자ㆍ음악가인 이득윤(李得胤)이 지은 거문고에 대한 음악책. 1책. 필사본. 역대 명현(名賢)의 거문고에 관한 명(銘)ㆍ부(賦)ㆍ기(記)ㆍ시(詩)ㆍ서(書)와 거문고의 악보 및 연주법에 대한 것을 모아 놓음.
1620 한국>조선후기 , 문헌>서명
-
현금합자보(玄琴合字譜)
조선 전기의 문신ㆍ학자 성현(成俔)이 현악기(絃樂器)의 연주법을 약자(略字)로 만들어 기록한 악보(樂譜).
한국>조선전기 , 문헌>작품명
-
현덕량(玄德良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무신. 본관은 성주(星州). 보은 현감(報恩縣監)을 지낸 현덕옹(玄德顒)의 형으로, 영천 군수(永川郡守)를 지냄.
1544~1610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성주 , 인명>관인>무신
-
현덕옹(玄德顒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성주(星州). 선무랑(宣務郞)을 지낸 현기(玄琦)의 아들이자, 영천 군수(永川郡守) 현덕량(玄德良)의 동생으로, 보은 현감(報恩縣監)을 지냄.
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성주 , 인명>관인>문신
-
현덕왕후(顯德王后)
조선 제5대 문종(文宗)의 비(妃). 본관은 안동(安東)으로, 권전(權專)의 딸. 단종(端宗)의 어머니로, 세종(世宗) 때 세자빈에 책봉되었으나 가례(嘉禮)를 행하지 못한 채 4년 만에 죽자 현덕(顯德)이란 시호가 내려졌으며, 문종이 즉위한 후 왕후로 추봉(追封)됨.
1418~1441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홍주ㅣ서울 , 인명>왕실>왕비
-
현등사(懸燈寺)
경기도 가평(加平)의 운악산(雲岳山)에 있는 사찰. 1210년(희종 6) 보조국사(普照國師) 지눌(知訥)이 창건했으며, 1411년(태종 11)에 기화(己和)가 중수함.
1210 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가평 , 유적>건물>사찰
-
현량과(賢良科)
조선 중종(中宗) 때 조광조(趙光祖)의 건의로 학문과 덕행이 뛰어난 인재를 천거하여, 과거제도 대신 대책(對策)을 시험보아 선발한 관리등용제도. 1519년(중종 15) 처음 시행되어 28명을 선발하였으나 조광조가 실각하면서 폐지됨.
1519 한국>조선전기 , 법제>제도
-
현숙공주(顯肅公主)
조선 제8대 예종(睿宗)의 맏딸. 어머니는 안순왕후(安順王后). 풍천위(豊川尉) 임광재(任光載)와 결혼하였으나 자녀가 없음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공주
-
현안춘추(玄晏春秋)
중국 남북조시대 진(晉) 나라의 학자인 황보밀(皇甫謐)의 저서. 3권.
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문헌>서명
-
현응(玄凝)
조선 전기의 승려. 주세붕(周世鵬)의 《무릉잡고(武陵雜稿)》에 그에게 준 시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종교인>승려
-
현적(玄績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성주(星州). 현경창(玄景昌)의 아들로, 1627년(인조 5) 진사시(進士試)에 입격하였으며, 송순(宋純)의 《면앙집(俛仰集)》〈제영해동명현록(題詠海東名賢錄)〉에 그와 관련된 내용이 실려 있음.
1602~?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창평 , 인명>문사>유학