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현절사(顯節祠)
조선 숙종(肅宗) 때 경기도 광주(廣州)에 건립한 사우. 1693년(숙종 19) 사액되었으며, 삼학사(三學士)인 윤집(尹集)ㆍ오달제(吳達濟)ㆍ홍익한(洪翼漢)과 김상헌(金尙憲)ㆍ정온(鄭蘊) 등을 배향함.
1688 한국>조선후기 , 경기도>광주 , 유적>건물>사당
-
현정론(顯正論)
조선 태조(太祖)~세종(世宗) 때의 승려인 기화(己和)가 쓴 책. 1권 1책. 목판본. 배불론자(排佛論者)들이 제기한 비판에 대하여 차례로 해답을 하는 형식으로, 유교의 교훈과 비교하면서 그릇된 견해를 바로잡고자 함.
1526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광양 , 문헌>서명
-
현종(玄宗)
중국 당(唐) 나라 제6대 황제. 재위 712~756. 예종(睿宗)의 셋째 아들로, 즉위 초에는 정사를 바로잡아 국내외의 부강과 안정을 다졌으나, 말년에는 양귀비(楊貴妃)와 향락에 빠져 안사(安史)의 난(亂)을 초래함.
685~762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현종(顯宗)@고려
고려 제8대 왕. 재위 1010~1031. 태조(太祖)의 여덟째 아들인 안종(安宗) 왕욱(王郁)의 아들로, 어머니는 헌정왕후(獻貞王后). 헌애왕후(獻哀王后)의 견제를 받다가 강조(康兆)의 옹립으로 즉위하였으며, 거란(契丹)과 우호를 다지고 문화 발전을 꾀함.
992~1031 한국>고려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왕실>국왕
-
현종(顯宗)@조선
조선 제18대 왕. 재위 1659~1674. 효종(孝宗)의 맏아들로, 어머니는 인선왕후(仁宣王后). 대동법(大同法) 시행ㆍ동철활자(銅鐵活字) 주조 등의 개혁이 있었으나, 예론(禮論)을 둘러싼 남인(南人)ㆍ서인(西人) 간의 당쟁으로 인해 국력이 피폐됨.
1641~1674 한국>조선후기 , 인명>왕실>국왕
-
현종(顯宗)@원
중국 원(元) 나라의 추존왕. 태정제(泰定帝)의 아버지이며, 고려 충선왕(忠宣王)의 비(妃)인 계국대장공주(薊國大長公主)의 아버지.
1263~1302 중국>원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현종기거주(顯宗起居注)
중국 후한(後漢) 명제(明帝)의 황후인 명덕마황후(明德馬皇后)가 찬술한 명제에 관한 책. 황후의 오빠인 마방(馬防)이 의약(醫藥)에 참여한 일을 삭제하여, 외척들이 정사(政事)에 간섭하지 못하도록 하는 본보기를 보임.
중국>후한 , 중국 , 문헌>서명
-
현주집(玄洲集)
조선 인조(仁祖) 때의 문신인 조찬한(趙纘韓)의 시문집. 아들 조비(趙備)가 유문(遺文)을 정리하고 신천익(愼天翊)이 교열하였으며, 이경석(李景奭)의 서문이 있음.
1710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무주 , 문헌>서명
-
현진자(玄眞子)
중국 당(唐) 나라 현종(玄宗) 때의 은자ㆍ문신인 장지화(張志和)의 저서. 3권.
중국>당 , 중국 , 문헌>서명
-
현충사(顯忠祠)
조선 인조(仁祖) 때 황해도 연안(延安)에 세운 사당. 1704년(숙종 30)에 사액(賜額)되고, 이정암(李廷馣)ㆍ신각(申恪) 등을 배향함.
1638 한국>조선후기 , 황해도>연안 , 유적>건물>사당
-
현헌집(玄軒集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학자인 목세칭(睦世秤)의 문집.
한국>조선전기 , 문헌>서명
-
협사안(郟士安)
중국 원(元) 나라 말기의 문인. 정몽주(鄭夢周)가 사(辭)를 보냄.
중국>원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
-
협익공신(協翊功臣)
고려 공민왕(恭愍王) 때 내린 공신 칭호. 1362년(공민왕 11) 홍건적의 침입 때 왕을 호종(扈從)한 사람에게 수여됨.
한국>고려후기 , 법제>제도
-
형^곽(衡^霍)
중국 안휘성(安徽省)에 위치한 곽주(霍州)와 호남성(湖南省)에 있는 형산(衡山)을 함께 부르는 말.
중국 , 지명>기타지명
-
형^려(荊^廬)
중국 호북성(湖北省)에 있는 형산(荊山)과 강서성(江西省)에 있는 여산(廬山)을 함께 부르는 말.
중국 , 지명>기타지명
-
형^섭(荊^聶)
중국 춘추전국시대 위(衛) 나라의 자객인 형가(荊軻)와 한(韓) 나라의 자객인 섭정(聶政)을 함께 부르는 말. 의협심이 강한 사람을 말함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사상>술어>관용어
-
형^양(邢^楊)
중국 명(明) 나라 신종(神宗) 때의 무신(武臣)으로, 조선의 임진왜란(壬辰倭亂)과 정유재란(丁酉再亂)에 참가한 형개(邢玠)와 양원(楊元)을 함께 부르는 말.
중국>명 , 중국 , 사상>술어>관용어
-
형가(荊軻)
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자객(刺客). 위(衛) 나라 사람으로 연(燕) 나라 태자 단(丹)의 식객(食客)이 되었으며, 단의 원수를 갚기 위해 진왕(秦王)을 죽이려 하였으나 실패하고 도리어 죽임을 당함.
?~B.C.227 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기타인물
-
형개(邢玠)
중국 명(明) 나라 신종(神宗) 때의 무신. 조선의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명의 원군(援軍)으로 참전하고, 정유재란(丁酉再亂)에는 청산(青山)과 직산(稷山)에서 왜군을 무찌름. 병부 상서(兵部尙書)를 지냄.
?~1612 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관인>무신
-
형건(邢健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진주(晉州)로, 합천 군수(陜川郡守) 형사보(邢士保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문사>유학