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형문(衡門)
벽에 나무를 가로질러 만든 문. 《시경(詩經)》〈진풍(陳風)〉 '형비(衡泌)' 편에서 비수(泌水)와 함께 은거하는 곳을 뜻하는 용어로 쓰임.
중국 , 사상>술어>관용어ㅣ유적>시설>기타시설
-
형사보(邢士保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. 형건(邢健)의 아들로, 1522년(중종 17) 식년시(式年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합천 군수(陜川郡守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거창 , 인명>관인>문신
-
형산(荊山)
중국의 호북성(湖北省) 남장현(南漳縣) 서쪽에 위치한 산. 춘추전국시대 초(楚) 나라 사람인 변화(卞和)가 박옥(璞玉)을 왕에게 올렸다가 속였다는 이유로 두 발이 잘리고, 나중에야 인정받았던 보옥(寶玉)이 나온 곳.
중국 , 지명>자연지명
-
형산(衡山)
중국 호남성(湖南省) 형양(衡陽) 북쪽에 있는 산 이름. 오악(五岳)의 하나로 위치상 남악(南岳)에 해당하며, 높이는 1,265m.
중국 , 지명>자연지명
-
형서(邢恕)
중국 송(宋) 나라 신종(神宗)~휘종(徽宗) 때의 문신. 원래 정호(程顥)의 제자였으나, 성질이 변덕스러워 스승을 배반하고 사마광(司馬光)에게 갔다가 다시 장돈(章惇)에게 빌붙었으며, 다시 장돈을 배반하고 결국 채경(蔡京)의 심복이 됨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형설지공(螢雪之功)
반딧불과 눈빛으로 글을 읽어가며 고생 속에서 공부하는 것을 말함. 남북조시대 진(晉) 나라의 손강(孫康)은 가난하여 눈빛으로 글을 읽어 어사대부(御史大夫)에 오르고, 차윤(車胤)은 반딧불을 주머니에 넣어 그 불빛으로 글을 읽어 이부상서(吏部尙書)가 된 데서 유래함.
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사상>술어>고사성어
-
형재시집(亨齋詩集)
고려 우왕(禑王)~조선 세종(世宗) 때의 문신인 이직(李稷)의 시집. 1465년(세조 11)에 김종직(金宗直)이 교열ㆍ편차하고, 손자 이영진(李永蓁)이 간행함.
1465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고령 , 문헌>서명
-
형주(荊州)
중국 고대 9주(州) 가운데 하나로 형산(荊山) 남쪽에 위치한 주. 현재 호북성(湖北省)ㆍ호남성(湖南省) 및 광동성(廣東省) 북부 지역임.
중국 , 지명>행정지명
-
형창설안(螢窓雪案)
반딧불이 비치는 창(窓)과 눈(雪)이 비치는 책상이라는 뜻. 어려운 가운데서도 학문에 힘씀을 비유한 말로, 손강(孫康)과 차윤(車胤)의 고사에서 유래함.
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사상>술어>고사성어
-
형처(荊妻)
자기 아내를 낮추어 부르는 말. 후한(後漢)의 양홍(梁鴻)의 아내인 맹광(孟光)이 가시나무 비녀를 꽂고 무명으로 만든 치마를 입었다는 고사에서 유래함.
중국>후한 , 중국 , 사상>술어>고사성어
-
혜가(慧可)
중국 남북조시대의 승려. 선종(禪宗)의 제2조(第二祖)로, 달마(達磨)의 제자가 되어 선법(禪法)을 계승한 뒤 각지로 포교하다가 처형됨. 눈 속에서 왼팔을 절단하면서까지 구도(求道)의 성심을 보이고 달마에게 인정을 받았다는 전설로 유명함.
487~539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종교인>승려
-
혜가황후(惠賈皇后)
중국 남북조시대 진(晉) 나라 제2대 황제인 혜제(惠帝)의 황후. 가충(賈充)의 딸로, 성품이 음탕하고 간모(姦謀)에 뛰어나며, 정권을 장악하였다가, 금용성(金墉城)에 유폐(幽廢)ㆍ독살됨.
256~300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왕실>왕비
-
혜강(嵆康)
중국 삼국시대 위(魏) 나라의 문신ㆍ시인. 죽림칠현(竹林七賢)의 중심인물로, 중산대부(中散大夫)를 지냈으나 반유교적(反儒敎的) 사상을 견지하여 당시 권력층의 미움을 받았으며, 친구의 사건에 연루되어 처형됨.
223~262 중국>삼국시대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혜공(惠公)@춘추전국(衛)
중국 춘추전국시대 위(衛) 나라 제후. 선공(宣公)의 아들로, 태자 급(伋)을 죽인 일로 인해 임금 자리에서 쫓겨나 제(齊) 나라로 망명하였다가 제 나라 양공(襄公)에 의해 복위됨. 후에 연(燕) 나라와 함께 주(周) 나라 혜왕(惠王)을 공격함.
?~B.C.669 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왕실>제후
-
혜공(惠公)@춘추전국(晉)
중국 춘추전국시대 진(晉) 나라 제후. 헌공(獻公)의 셋째 아들로, 여희(驪姬)에게 박해를 받아 양(梁) 나라로 달아났다가 우여곡절 끝에 돌아와 임금이 되었으나, 배신감에 정벌에 나선 진(秦) 나라 목공(穆公)과의 한원(韓原) 전투에서 참패를 당함.
?~B.C.637 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왕실>제후
-
혜공왕(惠恭王)
신라 제36대 국왕. 재위 765~780. 경덕왕(景德王)의 장남으로 8세에 즉위함. 재위 중 천재지변이 자주 일어나고 흉년이 들었는데도 사치와 음탕한 생활을 일삼음. 780년 김지정(金志貞)의 난을 진압하는 도중에 피살당함.
756~780 한국>통일신라 , 경상도>경주 , 인명>왕실>국왕
-
혜근(惠勤)
고려 충혜왕 복위(忠惠王復位)~우왕(禑王) 때의 승려. 선종(禪宗)의 고승(高僧)으로, 원(元) 나라에 가서 인도 승려 지공(指空)의 가르침을 받고, 처림(處林)에게서 중국 선교(禪敎)의 영향을 받음. 보우(普愚)와 함께 조선시대 불교의 초석을 세움.
1320~1376 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영해 , 인명>종교인>승려
-
혜능(慧能)@조선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승려. 응철(應哲)에게 수계(受戒)하고 천조(天照)ㆍ호구당(虎丘堂)에게 가르침을 받음. 전국의 명산을 유력(遊歷)하다가 말년에 천축사(天竺寺)로 돌아와 입적함.
1562~1636 한국>조선후기 , 강원도>홍천ㅣ강원도>강릉 , 인명>종교인>승려
-
혜능(慧能)@당
중국 당(唐) 나라의 승려. 선종(禪宗)의 제6조(第六祖). 신수(神秀)와 함께 홍인(弘忍) 문하의 이대선사(二大禪師)로, 후에 북종선(北宗禪)은 신수의 점수설(漸修說)을, 남종선(南宗禪)은 혜능의 돈오설(頓悟說)을 계승함.
638~713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종교인>승려
-
혜림(慧琳)
중국 남북조시대 송(宋) 나라 문제(文帝) 때의 승려. 재능과 문장이 있어 내외(內外)의 학문에 두루 통달하였으며, 재상이 되어 '흑의재상(黑衣宰相)'이라고 일컬어짐.
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종교인>승려