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광원루(廣遠樓)
경상도 함창(咸昌)의 객관(客館) 동쪽에 있었던 누각. 누각의 이름을 고치고 지은 조위(曺偉)의 기문(記文)이 전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함창 , 유적>건물>누정
-
광제정(光霽亭)
조선 전기의 학자 양돈(楊墩)이 자신의 호를 따서 전북 임실군(任實郡) 삼계면(三溪面) 후천리(後川里) 광제 마을에 건립한 것으로 추측되는 정자(亭子). 1872년(고종 9)에 선심리로 옮김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임실 , 유적>건물>누정
-
광종(光宗)@고려
고려 제4대 왕. 재위 949~975. 태조 왕건(王建)의 넷째 아들. 형인 정종(定宗)의 선위(禪位)를 받아 즉위한 뒤 영명(英明)한 통치로 훈신(勳臣)ㆍ장상(將相) 등을 숙청하고 노비안검법(奴婢按檢法), 과거제도의 시행, 국방의 강화 등 많은 치적을 쌓음.
925~975 한국>고려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왕실>국왕
-
광종(光宗)@명
중국 명(明) 나라 제15대 황제. 재위 연도 1620년. 신종(神宗)의 장자로, 즉위한지 1개월 만에 병으로 죽음.
1582~1620 중국>명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광종(光宗)@송
중국 송(宋) 나라의 제12대 황제. 재위 1189~1194. 효종(孝宗)의 셋째 아들. 효종의 선위(禪位)로 왕위에 올랐으나 유약한 성품으로 정치를 독단하지 못하고 비(妃) 이봉랑(李鳳娘)의 의견을 따름.
1147~1200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광주(光州)
전라남도 중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. 호남지방의 행정ㆍ군사ㆍ경제ㆍ사회ㆍ문화의 중심지.
전라도>광산 , 지명>행정지명
-
광주(廣州)
경기도 중앙에 있는 고을 이름. 삼국시대(三國時代) 때 각국의 주요 쟁탈지 중의 하나.
경기도>광주 , 지명>행정지명
-
광주노씨(光州盧氏)
중국 당(唐) 나라 때의 한림학사(翰林學士) 노수(盧穗)를 도시조(都始祖)로 삼고, 고려 초에 광산백(光山伯)에 봉해진 그의 맏아들 노해(盧垓)를 득관조(得貫祖)로 하는 성씨.
한국>고려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집단>성씨
-
광주노씨세고(光州盧氏世稿)
조선 후기에 간행된 광주노씨(光州盧氏)의 시문집. 노선경(盧善卿)과 그 후손들의 시문을 엮은 책으로, 18권 4책으로 구성됨.
한국>조선후기 , 문헌>서명
-
광주안씨(廣州安氏)
고려 태조(太祖) 때 대장군(大將軍)이 되어 광주군(廣州君)에 봉해진 안방걸(安邦傑)을 시조로 하는 성씨.
한국>고려전기 , 경기도>광주 , 인명>집단>성씨
-
광주이씨(廣州李氏)
신라 내물마립간(奈勿麻立干) 때 내사령(內史令)을 지낸 이자성(李自成)을 시조로 하는 성씨.
한국>신라 , 경기도>광주 , 인명>집단>성씨
-
광주정씨(光州鄭氏)
고려 충숙왕(忠肅王) 때 봉은사(奉恩寺)의 진전직(眞殿直)을 지낸 정신호(鄭臣扈)를 시조로 하는 성씨.
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집단>성씨
-
광진(廣津)
조선시대 경기도 양주(楊州) 67리 지점인 한강변에 설치된 나루. 서울과 강남을 연결하는 교통의 요지로, 경관이 수려해 문인들이 즐겨 찾음. 현재는 서울시 광진구에 속함.
경기도>양주 , 지명>자연지명
-
광탄원(廣灘院)
경기도 파주(坡州) 광탄(廣灘)에 위치한 원(院). 고려 말에 승려인 판화엄 오공(判華嚴悟公)이 자신의 재물을 희사하여 중건한 내용의 기문(記文)이 권근(權近)의 《양촌집(陽村集)》에 실려 있음.
한국>고려시대 , 경기도>파주 , 유적>건물>관사
-
광평대군(廣平大君)
조선 제4대 세종(世宗)의 다섯째 아들. 태조(太祖)의 일곱째 아들인 무안대군(撫安大君) 이방번(李芳蕃)의 후사가 되었으며, 학문에 힘써 사서삼경(四書三經) 등에 능통하였으나, 젊은 나이에 요절함.
1425~1444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왕자
-
광풍미집(廣諷味集)
중국 송(宋) 나라 철종(哲宗)~휘종(徽宗) 때의 문신ㆍ학자인 왕흠신(王欽臣)의 저서. 5권이 있었으나 대부분 실전됨.
중국>송 , 중국 , 문헌>서명
-
광한전(廣寒殿)
달 속에 있다고 전하는 궁전. 중국 고대 인물인 항아(姮娥)가 산다고 전함.
고대 , 중국 , 유적>기타유적
-
광해군(光海君)
조선의 제15대 왕. 재위 1608~1623. 선조(宣祖)의 둘째 아들로, 어머니는 공빈 김씨(恭嬪金氏). 대동법(大同法) 실시와 실리적인 외교를 펼쳤으나, 대북(大北) 중심의 정치와 영창대군(永昌大君) 살해, 인목대비(仁穆大妃)의 서궁유폐 등으로 인조반정(仁祖反正)의 빌미를 제공함.
1575~1641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국왕
-
광해군일기(光海君日記)
조선 인조(仁祖) 때 남별궁(南別宮)에 찬수청(纂修廳)을 설치하여 편찬하기 시작한 제15대 광해군(光海君) 재위 15년 간의 실록.
1624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문헌>작품명
-
광형(匡衡)
중국 전한(前漢) 원제(元帝)~성제(成帝) 때의 문신ㆍ학자. 어려서 몹시 가난했으나 학문을 좋아했으며 특히 《시경(詩經)》의 해설에 뛰어났음. 평원문학(平原文學)을 지내다가 뒤에 정승으로 낙안후(樂安侯)에 봉해짐.
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