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혜명(慧明)
고려 광종(光宗) 때의 승려. 충청도 은진(恩津)에 있는 관촉사(灌燭寺)에 미륵불(彌勒佛)을 만듦.
한국>고려전기 , 충청도>은진 , 인명>종교인>승려
-
혜문(惠文)
고려 후기의 승려. 가지산문(迦智山門)의 선승(禪僧)으로, 대선사(大禪師)에 이르렀으며, 시문(詩文)에 능하여 이인로(李仁老)ㆍ이규보(李奎報) 등과 교유함.
?~1234 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고성 , 인명>종교인>승려
-
혜소(慧昭)
신라 말의 승려. 선승(禪僧)이며 범패승(梵唄僧)으로, 당(唐) 나라 신감대사(神鑒大師)의 제자. 소림사(小林寺)에서 구족계(具足戒)를 받고, 도의(道義)와 함께 편력하다가 흥덕왕(興德王) 때 귀국함. 불교 음악인 범패를 도입하여 널리 보급하고 조직화함.
774~850 한국>통일신라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종교인>승려
-
혜숙옹주(惠淑翁主)
조선 제9대 성종(成宗)의 첫째 서녀(庶女). 숙의홍씨(淑儀洪氏)의 소생으로, 고원위(高原尉) 신항(申沆)과 혼인함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공주
-
혜순옹주(惠順翁主)
조선 제11대 중종(中宗)의 첫째 서녀. 경빈박씨(敬嬪朴氏) 소생으로, 광천위(光川尉) 김인경(金仁慶)에게 출가함.
1512~?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공주
-
혜시(惠施)
중국 춘추전국시대 송(宋) 나라의 사상가. 양(梁) 나라 혜왕(惠王)과 양왕(襄王)을 섬겨 재상이 되었으나, 장의(張儀)에게 쫓겨 초(楚) 나라로 갔다가 돌아옴. 변론(辯論)에 능하여 친구인 장주(莊周)와 호량(濠梁) 위에서 물고기를 바라보며 나눈 대화로 유명함.
B.C.370?~B.C.309? 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혜심(惠諶)
고려 희종(熙宗)~고종(高宗) 때의 고승(高僧). 지눌(知訥)의 제자로, 대선사(大禪師)에 올라 수선사(修禪寺)ㆍ단속사(斷俗寺) 주지를 겸임하였으며, 고려 선종(禪宗)의 위치를 확고히 굳힘.
1178~1234 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종교인>승려
-
혜안(慧安)
중국 수(隋)~당(唐) 나라의 선승. 5조(祖) 홍인(弘忍)의 십대제자(十大弟子) 중 한 사람. 수 문제(文帝) 때 출가하여 양제(煬帝) 때 기민(饑民)을 구제하고, 당 태종(太宗) 때 홍인의 제자가 되었으며, 중종(中宗) 때 신수(神秀)와 함께 궁중의 초청을 받음.
중국>당ㅣ중국>수 , 중국 , 인명>종교인>승려
-
혜암(慧庵)
고려 말~조선 초의 승려. 모자산(母子山)의 정각사(鼎角寺)에 머물렀으며, 유방선(柳方善)의 《태재집(泰齋集)》에 그의 시권(詩卷)에 써 준 제시(題詩)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영천(永川) , 인명>종교인>승려
-
혜왕(惠王)
중국 춘추전국시대 위(魏) 나라의 제후. 잦은 전쟁으로 국력이 피폐해지자 수도를 대량(大梁)으로 옮기고 국호를 ‘양(梁)’으로 고쳤으며, 요(堯)ㆍ순(舜)의 인의정치(仁義政治)를 표방함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왕실>제후
-
혜왕(惠王)@백제
백제 제28대 국왕. 재위 598~599. 성왕(聖王)의 둘째 아들로 형인 위덕왕(威德王)의 뒤를 이어 즉위함. 백제의 국세(國勢)가 점차 쇠약해지던 시기임.
?~599 한국>백제 , 충청도>부여 , 인명>왕실>국왕
-
혜왕(惠王)@주
중국 주(周) 나라의 제17대 왕. 재위 B.C.677~B.C.652. 장왕(莊王)의 아들이자 양왕(襄王)의 아버지. 즉위 후 오대부(五大夫)가 난을 일으키자 도망쳤다가 정(鄭) 여공(厲公) 등의 도움을 받아 ‘자퇴(子頹)의 난(亂)’을 평정하고 복귀함.
?~B.C.652 중국>주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혜원(慧遠)
중국 남북조시대 진(晉) 나라의 승려. 여산(廬山) 동림사(東林寺)에서 염불 수행의 결사(結社)인 백련사(白蓮社)를 결성한 뒤 산문(山門)을 나서지 않고 도중(徒衆)과 정토 수행(淨土修行)에 전념하였으며, 중국 불교를 학문적으로 확립하는 데 기여함.
334~416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종교인>승려
-
혜적(慧寂)
중국 당(唐) 나라 무종(武宗)~희종(僖宗) 때의 선승(禪僧). 위산 영우(潙山靈祐)의 제자로, 앙산(仰山)을 중심으로 법을 선양하여 위앙교(潙仰敎)를 성립시킴.
807~883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종교인>승려
-
혜정옹주(惠靜翁主)
조선 제11대 중종(中宗)의 둘째 서녀. 경빈박씨(敬嬪朴氏) 소생으로, 당성위(唐城尉) 홍려(洪礪)에게 출가함.
1514~?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공주
-
혜제(惠帝)@명
중국 명(明) 나라 제2대 황제. 재위 1398~1402. 태조(太祖)의 손자로, 아버지 의문태자(懿文太子)가 병사하자 황태손에 책봉됨. 즉위 후 황제의 권위를 높이고 제후 세력의 약화를 꾀하였으나, 뒤에 성조(成祖)가 된 주체(朱棣)에게 제위를 빼앗김.
1377~1402 중국>명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혜제(惠帝)@전한
중국 전한(前漢)의 제2대 황제. 재위 B.C.195~B.C.188. 고조(高祖)의 맏 아들로, 즉위 초에 조참(曹參)을 승상으로 발탁하여 인정(仁政)을 베풀었으나, 성격이 우유부단하여 어머니인 여후(呂后)에게 실권을 빼앗기자 울분을 품고 죽음.
B.C.210~B.C.188 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혜제(惠帝)@남북조(晉)
중국 남북조시대 진(晉) 나라의 제2대 황제. 재위 290~306. 무제(武帝)의 아들. 성품이 어리석어 통치력을 상실한 탓에 팔왕(八王)의 난(亂)과 오호(五胡)의 발호를 야기하여, 서진(西晉)의 멸망 원인을 제공함.
259~306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혜제(慧齊)
중국 송(宋) 나라의 승려. 대혜선사(大慧禪師) 종고(宗杲)의 스승으로, 동산(東山)의 혜운사(慧雲寺)에서 수행할 때 그에게 구족계(具足戒)를 내림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종교인>승려
-
혜종(惠宗)
고려 제2대 왕. 재위 943~945. 태조(太祖)의 맏아들로, 어머니는 장화왕후(莊和王后). 지용(智勇)이 뛰어나 후백제(後百濟)를 칠 때 큰 공을 세웠으나, 즉위 후에는 왕권이 미약하여 왕규(王規)에게 암살 위협을 당하기도 함.
914~945 한국>고려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왕실>국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