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혜진(惠眞)
고려 말~조선 초의 승려. 권근(權近)의 《양촌집(陽村集))에 그의 당호(堂號)에 대한 기문(記文)이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충청도>충주 , 인명>종교인>승려
-
혜침(惠忱)
조선 전기의 승려. 일찍이 산수(山水)를 주유하던 박은(朴誾)을 만나 벗으로 사귀고, 함께 천마산(天磨山)을 유람함. 박은의 《읍취헌유고(挹翠軒遺稿)》에 그에게 부친 시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종교인>승려
-
혜홍(惠洪)
중국 송(宋) 나라 휘종(徽宗)~흠종(欽宗) 때의 승려. 임제종(臨濟宗) 황룡파(黃龍派)에 속하며 시승(詩僧)으로 유명함. 저서로 《임간록(林間錄)》ㆍ《선림승보전(禪林僧寶傳)》ㆍ《냉재야화(冷齋夜話)》등이 있음.
1071~1128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종교인>승려
-
혜화문(惠化門)
조선 태조(太祖) 때 건립한 사소문(四小門)의 하나. 숙정문(肅靖門)과 흥인지문(興人之門) 사이에 있던 동북간문(東北間門). 양주(楊州)ㆍ포천(抱川) 방면으로 통하는 중요한 출입구 구실을 함.
1396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유적>시설>성,진,책
-
호(虎)
호랑이. 민속(民俗)에서 잡귀(雜鬼)를 물리치고 효(孝)와 보은(報恩)의 동물로 묘사되는 등 신수(神獸)로 일컬어짐.
자연물>동물
-
호^곤(虎^鯤)
조선 전기의 문신인 이호변(李虎變)과 문인인 이곤변(李鯤變) 형제를 함께 부르는 말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주 , 사상>술어>관용어
-
호^보(戶^保)
조선 전기의 군대편성법인 호수(戶首)와 보인(保人)을 함께 부르는 말. 정규 군인인 호수와 호수의 경제를 책임지는 보인을 말함.
한국>조선전기 , 법제>기타법제
-
호^성(虎^惺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인 문경호(文景虎)와 박성(朴惺)을 함께 부르는 말. 정철(鄭澈)을 간흉으로 비판했기 때문에 죄 없는 사람에 대해 무고한 사람을 말함.
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사상>술어>관용어
-
호^소^지(湖^蘇^芝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시인인 호음(湖陰) 정사룡(鄭士龍)ㆍ소재(蘇齋) 노수신(盧守愼)ㆍ지천(芝川) 황정욱(黃庭彧)을 함께 부르는 말. 해동강서시파(海東江西詩派) 또는 관각삼걸(館閣三傑)이라 불렀는데, 관료문인(官僚文人)으로서 시에 뛰어난 사람을 말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동래ㅣ서울 , 사상>술어>관용어
-
호^손(胡^孫)
중국 송(宋) 나라 인종(仁宗) 때의 학자인 호원(胡瑗)과 손복(孫復)을 함께 부르는 말. 송 나라 초기 송학(宋學)의 선도자로 훌륭한 스승을 말함.
중국>송 , 중국 , 사상>술어>관용어
-
호가십팔박(胡笳十八拍)
중국 후한(後漢)의 문인 채염(蔡琰)이 지은 고악부(古樂府)의 금곡 가사(琴曲歌辭). 십대명곡(十大名曲)의 하나로, 흉노(匈奴)에게 납치되었다가 후에 돌아왔지만 그곳에서 낳은 아이들과 생이별한 채염 자신의 구슬픈 신세를 읊음.
중국>후한 , 중국 , 문헌>작품명
-
호거인(胡居仁)
중국 명(明) 나라의 학자. 스승 오여필(吳與弼)의 실천궁행(實踐躬行)의 학문을 이은 숭인학파(崇仁學派)의 제일인자로, 정주학(程朱學)을 독수(獨修)하고 《거업록(居業錄)》을 저술하였으며, 죽은 뒤 문묘(文廟)에 배향됨.
1434~1484 중국>명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호경(鎬京)
중국 섬서성(陝西省) 장안현(長安縣) 서북쪽에 있던 고대 도시 이름. 주(周) 무왕(武王)이 즉위한 후 풍(豐) 땅에서 이곳으로 천도하였으며, 낙읍(洛邑)과 함께 서주(西周)시대의 양대 도성(兩大都城)으로 일컬어짐.
중국 , 지명>행정지명
-
호계삼소(虎溪三笑)
중국 남북조시대에 여산(廬山) 동림사(東林寺)의 고승인 혜원(慧遠)이 도잠(陶潛)ㆍ육수정(陸修靜)을 전송할 때, 이야기를 나누다가 무심결에 사찰 앞의 호계(虎溪)를 건넜으므로 세 사람이 크게 웃었다는 고사에서 온 말. 종교를 초월하여 의기투합함을 뜻함.
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사상>술어>고사성어
-
호계서원(虎溪書院)@안동
조선 선조(宣祖) 때 경상도 안동(安東)에 건립한 서원. 1576년(선조 9)에 여강서원(廬江書院)으로 창건되고, 1676년(숙종 2)에 호계서원(虎溪書院)이라 사액되었으며, 이황(李滉)ㆍ유성룡(柳成龍)ㆍ김성일(金誠一)을 배향함.
1576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유적>건물>서원,향교
-
호계서원(虎溪書院)@과천
조선 숙종(肅宗) 때 경기도 과천(果川)에 건립된 서원. 1681년(숙종 7)에 창건되고, 조종경(趙宗敬)ㆍ조속(趙涑)을 배향함.
1681 한국>조선후기 , 경기도>과천 , 유적>건물>서원,향교
-
호곡집(壺谷集)
조선 숙종(肅宗) 때의 문신ㆍ문인인 남용익(南龍翼)의 시문집. 18권 9책. 목판본. 저자의 아들 남정중(南正重)이 유문(遺文)을 수집, 편차하여 1695년(숙종 21)경에 이인환(李寅煥)의 도움을 받아 간행한 것으로 추정됨.
1695? 한국>조선후기 , 문헌>서명
-
호공(壺公)
중국 후한(後漢) 때의 선인(仙人). 저자에서 약을 팔다가 장이 파하면 문득 병 속으로 들어가곤 했는데, 저자의 아전인 비장방(費長房)이 그를 따라 병 속으로 들어가 보니 그곳에 별천지(別天地)가 있었다 함.
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기타인물
-
호광(胡廣)
중국 후한(後漢) 안제(安帝)~영제(靈帝) 때의 문신. 태부(太傅) 등을 지내고, 여섯 명의 황제를 보좌한 나라의 원로(元老)로서 모든 정무(政務)를 잘 처리하여 ‘중용(中庸)의 재상’으로 일컬어짐.
91~172 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호굉(胡宏)
중국 송(宋) 나라의 학자. 호안국(胡安國)의 아들로, 양시(楊時)ㆍ이정(二程)의 이학(理學)을 계승하여 자신의 독창적인 오봉학파(五峯學派)를 창시하였으며, 주희(朱熹)ㆍ장식(張栻)ㆍ여조겸(吕祖謙) 등에게 영향을 미침.
1106?~1162?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