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호구당(虎丘堂)
조선 후기의 승려. 양성당(養性堂) 혜능(慧能)의 스승. 홍여하(洪汝河)의 《목재집(木齋集)》에 그에 대한 애사(哀詞)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후기 , 인명>종교인>승려
-
호구일록(虎口日錄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인 권두문(權斗文)이 쓴 일기 형식의 책. 저자가 임진왜란 때 창평 군수(昌平郡守)를 지내다가 왜적에게 붙잡히자 적진에서 정세를 탐지하여 관군(官軍)에게 알렸는데, 이때의 일을 기록한 것임.
1592 한국>조선후기 , 문헌>서명
-
호남답문(湖南答問)
중국 송(宋) 나라의 학자인 호대시(胡大時)가 지은 책. 저자가 주희(朱熹)와 장식(張栻)이 호남(湖南)의 악록서원(岳麓書院)에서 강학할 때 참여하여 학문을 토론한 내용을 저술한 책으로 추정됨.
중국>송 , 중국 , 문헌>서명
-
호남의록(湖南義錄)
조선 선조(宣祖)~효종(孝宗) 때의 문신ㆍ학자인 안방준(安邦俊)의 저서. 임진왜란 때 호남에서 왜적과 싸우다가 순절한 최경회(崔慶會)ㆍ정운(鄭運)ㆍ백광언(白光彥) 등 16인에 대한 기록으로, 1626년(인조 4)에 간행함.
1626 한국>조선후기 , 문헌>서명
-
호대시(胡大時)
중국 송(宋) 나라의 학자. 호굉(胡宏)의 아들이며, 장식(張栻)의 사위이자 제자로, 장식이 죽은 뒤 진부량(陳傅良)에게 수학하고, 주희(朱熹)와 교유하였으며, 《호남답문(湖南答問)》을 저술함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호대원(胡大原)
중국 송(宋) 나라의 학자. 호인(胡寅)의 아들이며, 호굉(胡宏)의 조카로, 호굉의 학설을 계승하여 주희(朱熹)ㆍ장식(張栻)과 논쟁하였으며, 《백봉문답(伯逢問答)》을 저술함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호모생(胡母生)
중국 전한(前漢) 경제(景帝) 때의 문신ㆍ학자. 공양고(公羊高)의 《춘추(春秋)》에 대한 전술(傳述)을 스승인 공양수(公羊壽)와 함께 《춘추공양전(春秋公羊傳)》으로 정리하여 편찬함.
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호방평(胡方平)
중국 송(宋) 나라의 학자. 동몽정(董夢程)에게 역학(易學)을 전수받고 심귀요(沈貴瑤)를 스승으로 섬겨 《주역(周易)》에 정통하였으며, 저서에 《역학계몽통석(易學啓蒙通釋)》이 있음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호병문(胡炳文)
중국 원(元) 나라의 학자. 《주역(周易)》에 정통하고, 주희(朱熹)의 학문을 깊이 연구하였으며, 저서에 《주역본의통석(周易本義通釋)》ㆍ《사서통(四書通)》ㆍ《운봉집(雲峰集)》이 있음.
1250~1333? 중국>원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호사고(狐射姑)
중국 춘추전국시대 진(晉) 나라의 대부. 호언(狐偃)의 아들. 문무(文武)와 지용(智勇)을 겸비한 유장(儒將)으로서 태사(太師)를 지냄. 양공(襄公) 때 가국(賈國)에 봉해졌으며, 가씨(賈氏)의 이시조(二始祖)가 됨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경대부
-
호성공신(扈聖功臣)
조선 선조(宣祖) 37년 임진왜란 당시 선조를 의주(義州)까지 호종하는 데 공을 세운 사람에게 내린 훈호(勳號). 세 등급으로 나누어 이항복(李恒福)ㆍ정곤수(鄭崐壽) 등 총 86인에게 내림.
1604 한국>조선후기 , 법제>제도
-
호소(胡昭)
중국 후한(後漢)~삼국시대 위(魏) 나라의 은자ㆍ서화가. 재능과 지혜가 제갈량(諸葛亮)에 못지않았으나 깊은 산 속에 은거하여 평생 벼슬하지 않았으며, 글씨에도 뛰어나 종요(鍾繇)와 명성을 나란히 함.
161~250 중국>삼국시대ㅣ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은자ㅣ인명>예술인>서화가
-
호실(胡實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신ㆍ학자. 호원(胡瑗)의 아들이자, 호굉(胡宏)의 사촌동생으로, 주희(朱熹)ㆍ장식(張軾)과 논쟁하였으며, 장사랑(將仕郞) 등을 역임함.
1136~1173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호안국(胡安國)
중국 송(宋) 나라 철종(哲宗)~고종(高宗) 때의 문신ㆍ학자. 정이(程頤)를 사숙하고 정문(程門)의 학문을 규명하여 무이학파(武夷學派)를 창시하였으며, 《춘추(春秋)》를 20년 동안 연구하여 《춘추호씨전(春秋胡氏傳)》을 저술함.
1074~1138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호약해(胡若海)
중국 원(元) 말~명(明) 초의 문신. 당시 군웅(群雄)의 한 사람이던 방국진(方國珍)이 명주 사도(明州司徒)로 있을 적에 그의 사신이 되어 공민왕(恭愍王) 때 고려에 옴.
중국>명ㅣ중국>원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호언(狐偃)
중국 춘추전국시대 진(晉) 나라 대부. 문공(文公)의 외숙으로, 문공이 공자(公子) 시절 여희(驪姬)의 견제를 받아 19년 동안 망명 생활을 할 때 충심으로 그를 보필하여 마침내 임금에 오르게 하였으며. 문공이 패자(覇者)가 되는 데 크게 공헌함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경대부
-
호영(胡泳)
중국 송(宋) 나라의 학자. 주희(朱熹)의 제자로, 주희로부터 학문이 견실하고 굳건하다는 평가를 받았으며, 저서에 《논어연설(論語衍說)》이 있으나, 세상에 전하지 않음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호원(胡瑗)
중국 송(宋) 나라 인종(仁宗) 때의 문신ㆍ학자. 정이(程頤)의 스승. 범중엄(范仲淹)ㆍ손복(孫復)과 함께 '송초(宋初)의 세 선생'으로 일컬어지는 송학(宋學)의 선도자로, 태상박사(太常博士) 등을 지내고, 많은 제자를 배출함.
993~1059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호유용(胡惟庸)
중국 원(元) 순제(順帝)~명(明) 태조(太祖) 때의 문신. 원 나라 말기에 명 태조에게 인정을 받아 벼슬하여 명 나라 때 좌승상(左丞相)까지 올랐으나 모역죄(謀逆罪)로 처형됨. 이후 그의 죄에 연좌되어 당여(黨與) 3만여 명이 처형됨.
?~1380 중국>명ㅣ중국>원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호음잡고(湖陰雜稿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인 정사룡(鄭士龍)의 시문집(詩文集). 8권 8책. 목활자본.
1573 한국>조선전기 , 문헌>서명