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호인(胡寅)
중국 송(宋) 나라 고종(高宗) 때의 문신ㆍ학자. 호안국(胡安國)의 양자로, 양시(楊時)에게 수학한 뒤 형록학파(衡麓學派)를 창시하였으며, 예부 시랑(禮部侍郎) 등을 지내고, 금(金)과의 강화(講和)를 반대함.
1098~1156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호일계(胡一桂)
중국 원(元) 나라 문종(文宗) 때의 학자. 호방평(胡方平)의 아들로, 주희(朱熹)의 학문을 종주로 하여 도학(道學)을 강학하였으며, 역학(易學)에 정통하여 《역본의부록찬소(易本義附錄纂疏)》ㆍ《역학계몽익전(易學啓蒙翼傳)》 등을 저술함.
1247~? 중국>원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호전(胡銓)
중국 송(宋) 나라 고종(高宗)~효종(孝宗) 때의 문신. 추밀원 편수관(樞密院編修官)으로 금(金) 나라와의 강화를 반대하여, 간신 진회(秦檜)ㆍ왕륜(王倫) 등을 처단해야 한다는 상소를 올렸다가 유배됨. 효종 즉위 후 자정전 학사(資政殿學士) 등을 지냄.
1102~1180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호정집(浩亭集)
고려 후기~조선 전기의 문신인 하륜(河崙)의 시문집. 1847년(헌종 13) 후손 하진달(河鎭達)이 여러 책에서 저자의 시문을 수집ㆍ편차하여 진주(晉州)에서 초간(初刊)하고, 1940년에 5권 2책의 석인본(石印本)으로 삼간(三刊)됨.
1847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진주 , 문헌>서명
-
호종공신(扈從功臣)
고려 공민왕(恭愍王) 10년 홍건적(紅巾賊)의 침입 때 왕을 안동(安東)까지 호종하는 데 공을 세운 사람에게 내린 훈호(勳號). 홍언박(洪彥博)ㆍ정세운(鄭世雲) 등 121명을 2등으로 나누어 녹훈(錄勳)함.
1361 한국>고려후기 , 법제>제도
-
호종단(胡宗旦)
고려 예종(睿宗)~인종(仁宗) 때의 문신. 원래 중국 송(宋) 나라 출신으로, 총명하고 박학하며 다재다능하여 예종 때 기거사인(起居舍人) 등을 지냈으며, 압승술(壓勝術)에 능하였음.
한국>고려전기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귀화인ㅣ인명>관인>문신
-
호주(湖州)
중국 절강성(浙江省)에 있는 도시. 항주(杭州)의 북쪽, 태호(太湖) 남쪽에 위치하며, 항주ㆍ소주(蘇州)와 함께 양자강(揚子江) 일대의 상업 중심지로 유명함.
중국 , 지명>행정지명
-
호패법(號牌法)
조선시대에 신분을 증명하고 민정(民丁)의 수를 파악하여 조세(租稅)와 부역(負役)을 부과하기 위해 시행한 법령. 16세 이상의 남자들에게 호패를 착용하도록 하였으며, 특별한 국가적 목표가 있을 때마다 몇 차례 실시함.
한국>조선시대 , 법제>법률
-
호헌(胡憲)
중국 송(宋) 나라의 학자. 호안국(胡安國)의 조카로, 초정(譙定)의 제자이며 주희(朱熹)의 스승.
1068~1162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호호정(浩浩亭)
조선 전기에 읍청(挹淸) 박사종(朴嗣宗)이 충청도 영동(永同)에 건립한 누정(樓亭). 임진왜란 때 소실(燒失)되었으나 1959년 복원하고서 호서루(湖西樓)로 개명함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영동 , 유적>건물>누정
-
호환(虎患)
호랑이에게 당하는 화(禍). 호랑이가 출몰하여 인명을 살상하고 가축을 먹어치우는 피해를 이르는 말로, 시대마다 중요한 사회적 사건의 하나로 여김.
사건>기타사건
-
혼^철(渾^澈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인 성혼(成渾)과 정철(鄭澈)을 함께 부르는 말. 선조 때 서인(西人)의 중심 인물을 말함.
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사상>술어>관용어
-
혼구(混丘)
고려 충렬왕(忠烈王)~충숙왕(忠肅王) 때의 승려. 일연(一然)의 제자로, 충숙왕 때 왕사(王師)가 되었으며 《가송잡저(歌頌雜著)》 등을 저술함.
1251~1322 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밀양 , 인명>종교인>승려
-
혼수(混脩)
고려 충혜왕(忠惠王)~조선 태조(太祖) 때의 승려. 대선사인 계송(繼松)에게 가서 출가하고, 선교(禪敎) 경전을 두루 연구하였으며, 문장과 글씨에도 능함. 경관(慶觀)ㆍ담원(湛圓)ㆍ소안(紹安)ㆍ만우(萬雨) 등의 제자를 배출함.
1320~1392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평안도>용천ㅣ충청도>충주ㅣ전라도>순천 , 인명>종교인>승려
-
혼원(混元)
고려 고종(高宗)~원종(元宗) 때의 승려. 조계종(曹溪宗)의 제4대 종사(宗師)로, 수선사(修禪社)의 선풍(禪風)을 전라도에서 중앙까지 파급시키고, 수선사ㆍ선원사(禪源社)ㆍ단속사(斷俗社)를 융합시켜 공인된 수도원을 세움.
1191~1271 한국>고려후기 , 황해도>수안ㅣ전라도>순천 , 인명>종교인>승려
-
혼정편록(混定編錄)
조선 선조(宣祖)~효종(孝宗) 때의 문신ㆍ학자인 안방준(安邦俊)의 저서. 18권 10책. 1575년(선조 8)부터 1650년(효종 1)까지의 동서분당(東西分黨)의 시말(始末)과 이이(李珥)ㆍ성혼(成渾)의 신원(伸寃)에 관한 글을 모아 엮은 책.
1824 한국>조선후기 , 문헌>서명
-
혼천의(渾天儀)
고대에 천체(天體)의 운행과 위치를 관측하던 장치(裝置). 구형(球形)의 겉면에 해ㆍ달ㆍ별 등의 천상(天像)을 그려 사각(四脚)의 틀 위에 올려놓고 돌리면서 관측함.
중국>전한 , 중국 , 물품>기타용품>공구
-
혼천의기(渾天儀記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학자인 구봉령(具鳳齡)이 쓴 혼천의(渾天儀)에 대한 기록. 천문관측기구인 혼천의의 모양과 제작 동기 등을 설명한 글로, 저자의 시문집인 《백담집(栢潭集)》에 실려 있음.
1572 한국>조선전기 , 문헌>작품명
-
홀도불화(忽都不花)
고려 후기의 문신. 요양현군(遼陽縣君) 조공탁(趙公卓)의 아들이자, 순창부원군(淳昌府院君) 백안불화(伯顔不花)의 형. 원(元) 나라에서 자선고 제점(資善庫提點)을 지내고, 고려에서 첨의평리(僉議評理)를 지냄.
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수원 , 인명>관인>문신
-
홀실첩목이(忽失帖木耳)
중국 원(元) 나라의 지방관. 심양로(瀋陽路)의 다루가치(達魯花赤)로, 고려 충숙왕(忠肅王) 때 밀직대언 겸 감찰집의(密直代言兼監察執義)를 지낸 유보발(柳甫發)의 사위.
중국>원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