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홍범의(洪範義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ㆍ학자인 성문준(成文濬)의 저서. 홍범구주(洪範九疇)에 대한 해설서로 추정됨.
한국>조선후기 , 문헌>서명
-
홍범황극내편(洪範皇極內篇)
중국 남송(南宋)의 학자 채침(蔡沈)이 지은 철학서(哲學書). 《주역(周易)》의 음양 이진법(陰陽二進法)에 대비되는 삼재 삼진법(三才三進法)으로 우주(宇宙)와 인사(人事)를 설명함.
중국>송 , 중국 , 문헌>서명
-
홍범황극내편보해(洪範皇極內篇補解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ㆍ학자인 이순(李純)이 채침(蔡沈)의 《홍범황극내편(洪範皇極內篇)》을 주해(註解)한 책.
한국>조선전기 , 문헌>서명
-
홍봉세(洪奉世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남양(南陽). 홍경림(洪景霖)의 아들이며, 조광조(趙光祖)의 문인(門人)으로, 성수침(成守琛) 등과 친교하였으며, 기묘사화(己卯士禍) 때 벼슬을 단념하였다가, 선조 때 장례원 판결사(掌隸院判決事) 등을 역임함.
1498~1575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남양 , 인명>관인>문신
-
홍부(洪溥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남양(南陽). 강원도 관찰사(江原道觀察使) 홍신(洪愼)의 아들로, 사재감 정(司宰監正)ㆍ광주 목사(光州牧使) 등을 지냄.
1521~?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홍붕(洪朋)
중국 송(宋) 나라 철종(哲宗)~휘종(徽宗) 때의 문인. 외숙인 황정견(黃庭堅)을 사승(師承)하였으며, 시에 뛰어나 아우인 홍추(洪芻)ㆍ홍염(洪炎)ㆍ홍우(洪羽)와 더불어 ‘예장사홍(豫章四洪)’이라 일컬어짐.
1072~1109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
-
홍붕(洪鵬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남양(南陽). 주부(主簿)를 지낸 홍거방(洪巨舫)의 아들로, 제용감 첨정(濟用監僉正) 등을 지냄.
1539~1597 한국>조선후기 , 경기도>남양 , 인명>관인>문신
-
홍빈(洪彬)
고려 충숙왕(忠肅王)~공민왕(恭愍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남양(南陽). 참소로 인해 충숙왕과 충혜왕(忠惠王)이 원(元) 나라에 압송되었을 때 그 억울함을 변호하여 귀국 후 공신(功臣)에 책록되고, 우정승(右政丞) 등을 지냄.
1288~1353 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남양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홍사범(洪師範)
고려 공민왕(恭愍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남양(南陽). 문하시중(門下侍中) 홍언박(洪彦博)의 아들로, 홍건적(紅巾賊)의 난 때 호종공신(扈從功臣)에 책록되고, 지밀직사사(知密直司事) 등을 지냄. 명(明) 나라에 사신 갔다 오던 도중 익사함.
?~1373 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남양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홍사석(洪師錫)
조선 세종(世宗) 때의 무신. 본관은 남양(南陽). 세종 때 사신으로 세 차례 명(明) 나라에 다녀오고, 경상도 처치사(慶尙道處置使)로 재직할 때 왜구 정벌에 나섰다가 참패하여 관작을 추탈당하고 유배됨.
?~1448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남양 , 인명>관인>무신
-
홍사원(洪士源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남양(南陽). 홍순복(洪順福)ㆍ홍석복(洪碩福)의 아버지로, 천안 군수(天安郡守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남양 , 인명>관인>문신
-
홍산(弘山)
고려 말~조선 초의 승려. 《운곡행록(耘谷行錄)》에 〈서홍산회사권(書弘山恢師卷)〉의 시(詩)가 수록되어 있음.
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인명>종교인>승려
-
홍상(洪常)
조선 추존왕인 덕종(德宗)의 부마(駙馬). 본관은 남양(南陽). 좌의정 홍응(洪應)의 아들로, 덕종의 딸 명숙공주(明淑公主)와 혼인하였으며, 갑자사화(甲子士禍) 때 유배되었다가 중종반정(中宗反正)으로 풀려난 뒤 정국원종공신(靖國原從功臣)에 책록됨.
1457~1513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남양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왕실>인척
-
홍상민(洪相民)
조선 숙종(肅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부계(缶溪). 홍여하(洪汝河)의 아들로, 세자익위사 익위(世子翊衛司翊衛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의흥 , 인명>관인>문신
-
홍상직(洪尙直)
조선 태종(太宗)~세종(世宗) 때의 무신. 본관은 남양(南陽). 마천(麻川) 홍일동(洪逸童)의 아버지로, 경성 절제사(鏡城節制使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적성 , 인명>관인>무신
-
홍서(洪恕)
고려 말~조선 태종(太宗) 때의 무신. 본관은 남양(南陽). 홍사범(洪師範)의 아들로, 고려 말에 대호군(大護軍)을 지냄. 조선 태종 때 좌명공신(佐命功臣)에 책록되고, 전라도 병마도절제사(全羅道兵馬都節制使)로 파견되어 왜구를 소탕함.
?~1418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남양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무신
-
홍서주(洪敍疇)
조선 중중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남양(南陽). 좌찬성(左贊成) 홍숙(洪淑)의 아들로, 복성군(福城君)의 옥사(獄事)에 연루되어 유배되었으나 김안로(金安老)가 사사된 뒤 풀려나 공조 참의(工曹參議) 등을 지냄.
1499~1546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남양 , 인명>관인>문신
-
홍석(洪錫)@조선후기
조선 인조(仁祖)~숙종(肅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남양(南陽). 김상헌(金尙憲)의 문인으로, 병자호란 이후 태백산(太白山) 춘양(春陽)에 은거하여 강흡(姜洽) 등과 함께 ‘태백오현(太白五賢)’으로 불림. 후에 세자익위사 사어(世子翊衛司司禦)를 지냄.
1604~1680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홍석(洪錫)@조선전기
조선 전기의 문신. 통례원 좌통례(通禮院左通禮) 이극견(李克堅)의 장인으로, 남성군(南城君)에 봉해짐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관인>문신
-
홍석복(洪碩福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남양(南陽). 군수 홍사원(洪士源)의 아들이며 기묘명유(己卯名儒) 홍순복(洪順福)의 아우로, 1534년(중종 29)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함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공주 , 인명>문사>유학