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홍천석(洪天錫)
조선 광해군(光海君) 때의 유학. 본관은 남양(南陽). 봉상시 첨정(奉常寺僉正) 홍경우(洪儆禹)의 아버지로, 1616년(광해군 8)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함.
1575~? 한국>조선후기 , 평안도>곽산 , 인명>문사>유학
-
홍천하(洪天河)
중국 당(唐) 나라 태종(太宗)이 고구려에 파견한 8학사(八學士)의 한 사람으로 고구려에 귀화한 인물. 남양홍씨(南陽洪氏) 당홍계(唐洪系)의 시조. 고구려 영류왕(榮留王) 때 유학을 가르치고, 신라 선덕여왕(善德女王) 때 당성백(唐城伯)에 봉해짐.
한국>통일신라ㅣ한국>고구려 , 경기도>남양 , 인명>기타인명>귀화인ㅣ인명>문사>학자
-
홍추(洪芻)
중국 송(宋) 나라 철종(哲宗)~고종(高宗) 때의 문신ㆍ문인. 형인 홍붕(洪朋)과 아우 홍염(洪炎)ㆍ홍우(洪羽) 등과 더불어 사홍(四洪)이라 일컬어짐. 선덕랑(宣德郞)ㆍ간의대부(諫議大夫) 등을 지냈으나, 1127년에 사문도(沙門島)로 유배되어 죽음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홍춘경(洪春卿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남양(南陽). 예문관 대교(藝文館待敎) 홍계정(洪係貞)의 아들로, 한성부 우윤(漢城府右尹)ㆍ이조 참의(吏曹參議) 등을 지냄. 김생체(金生體)의 글씨에 능하고, 문장에 뛰어나 중종의 지문(誌文)을 지음.
1497~1548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홍춘년(洪春年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남양(南陽). 예문관 대교(藝文館待敎) 홍계정(洪係貞)의 아들로, 고부 군수(古阜郡守)ㆍ봉상시 정(奉常寺正) 등을 지냄. 교서관(校書館) 별좌(別坐)로 있을 때 《두률우주(杜律虞註)》를 간행함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홍치(洪治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남양(南陽). 좌의정(左議政) 홍달손(洪達孫)의 아버지로, 영중추부사(領中樞府事)에 추증됨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남양 , 인명>문사>유학
-
홍탁(洪鐸)
고려 충혜왕(忠惠王)~공민왕(恭愍王) 때의 문신ㆍ외척. 인성군(麟城君) 홍선(洪詵)의 아들로, 충혜왕의 비인 화비(和妃)의 아버지. 경상도 진변사(慶尙道鎭邊使) 등을 지냈으나, 공민왕 때 사위 조일신(趙日新)이 반란을 일으켜 회원 현령(檜原縣令)으로 좌천됨.
?~1356 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남양 , 인명>관인>문신ㅣ인명>왕실>인척
-
홍하량(洪河量)
조선 후기의 문인. 본관은 부림(缶林). 장사랑(將仕郞) 홍수약(洪守約)의 아들이고, 장흥효(張興孝)의 문인. 유진(柳袗)ㆍ김응조(金應祖)와 도의(道義)로 교유하였으며, 정구(鄭逑)가 독학군자(篤學君子)라고 칭찬함.
1588~1632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함창ㅣ경상도>안동 , 인명>문사>문인
-
홍한(洪瀚)
조선 성종(成宗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수군절도사(水軍節度使) 홍귀해(洪貴海)의 아들로, 이조 참의(吏曹參議) 등을 지냈으나, 무오사화(戊午士禍) 때 김종직(金宗直)의 문인이라 하여 장형(杖刑)을 당한 뒤 유배 도중에 죽음.
1451~1498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남양 , 인명>관인>문신
-
홍혁(洪革)
고려 후기의 유학. 권보(權溥)ㆍ민지(閔漬) 등과 교유함.
한국>고려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홍형(洪泂)
조선 성종(成宗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수군절도사(水軍節度使) 홍귀해(洪貴海)의 아들로, 연산군의 생모인 윤비(尹妃) 폐출사건에 적극 개입하였다 하여 갑자사화(甲子士禍) 때 처형됨.
1446~1504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남양 , 인명>관인>문신
-
홍호(洪鎬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부계(缶溪)로, 홍덕록(洪德祿)의 아들. 정경세(鄭經世)의 문인으로, 공조 참의(工曹參議)ㆍ대사간(大司諫)을 지냄. 문신이면서도 용병에 관한 지식이 많아 국책에 반영시키려고 노력함.
1586~1646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홍효손(洪孝孫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부계(缶溪). 이조 판서(吏曹判書) 홍귀달(洪貴達)의 아버지로, 하관경(夏官卿)에 추증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의흥 , 인명>문사>유학
-
홍효창(洪孝昌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남양(南陽). 현감(縣監) 홍계강(洪係江)의 아들이며 봉상시 부정(奉常寺副正) 홍경창(洪慶昌)의 아우. 1522년(중종 17) 식년시(式年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부사(府使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남양 , 인명>관인>문신
-
홍흥(洪興)
조선 세종(世宗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한성부윤(漢城府尹) 홍심(洪深)의 아들로, 호조 참판(戶曹參判)ㆍ동지중추부사(同知中樞府事) 등을 지냄. 성품이 강직하고 글씨에 능했으며, 인물과 풍채가 준수하여 자주 명(明) 나라에 사신으로 보내짐.
1424~1501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남양 , 인명>관인>문신
-
화^편(和^扁)
중국 춘추전국시대 진(秦) 나라의 명의(名醫)인 의화(醫和)와 주(周) 나라의 명의인 편작(扁鵲)을 함께 부르는 말. 뛰어난 의술을 지닌 사람을 말함.
중국>춘추전국시대ㅣ중국>주 , 중국 , 사상>술어>관용어
-
화계사(華溪寺)
조선 중종(中宗) 때 삼각산(三角山)에 건립한 사찰. 고려 광종(光宗) 때 창건한 보덕암(普德庵)을 1522년(중종 17) 신월(信月)이 현재의 자리로 이전하여 개창함. 1619년(광해군 11) 도월(道月)이 중건하고, 1866년(고종 3) 용선(龍船)과 범운(梵雲)이 중수함.
1522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유적>건물>사찰
-
화곡서원(花谷書院)
조선 광해군(光海君) 때 경기도 개성(開城)에 창건한 사액서원(賜額書院). 서경덕(徐敬德)ㆍ박순(朴淳)ㆍ민순(閔純)ㆍ허엽(許曄)을 배향함.
1609 한국>조선후기 , 경기도>개성 , 유적>건물>서원,향교
-
화담집(花潭集)
조선 전기의 문신ㆍ학자인 서경덕(徐敬德)의 시문집(詩文集). 초간본은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연간에 박민헌(朴民獻)ㆍ허엽(許曄) 등이 간행함.
한국>조선전기 , 문헌>서명
-
화독(華督)
중국 춘추전국시대 송(宋) 나라의 대부. 대공(戴公)의 손자. 공보가(孔父嘉)를 살해한 후 그 처를 취하고, 다시 상공(殤公)을 시해한 후 정(鄭) 나라에 있던 목공자(穆公子)를 데려다 장공(莊公)을 세움.
?~B.C.682 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경대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