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화사(畵史)
중국 북송(北宋)의 서예가ㆍ화가인 미불(米芾)이 지은 화론서. 1권. 진(晉)ㆍ육조(六朝)ㆍ수(隋)ㆍ당(唐)ㆍ오대(五代)ㆍ북송(北宋) 등의 명화에 대해 우열과 진위를 평하고, 잘못된 점을 교정함. 《서사(書史)》와 함께 쌍벽을 이루는 서론서(書論書)로 유명함.
중국>송 , 중국 , 문헌>서명
-
화사(花史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시인ㆍ문신인 임제(林悌)가 지은 의인체(擬人體) 한문 소설. 1책. 필사본. 매ㆍ죽ㆍ모란ㆍ연 등의 많은 꽃들을 의인화하여 중국 역대 역사를 편년식으로 서술함으로써 현실사회를 풍자함. 《임백호집(林白湖集)》에 수록됨.
한국>조선전기 , 문헌>작품명
-
화산(華山)
중국 섬서성(陝西省) 화음현(華陰縣)에 있는 산 이름. 오악(五岳)의 하나로 위치상 서악(西岳)에 해당하며, 높이는 2,437m. 중앙의 옥녀봉(玉女峰), 동쪽의 조양봉(朝陽峰), 서쪽의 연화봉(蓮花峰), 남쪽의 낙안봉(落雁峰), 북쪽의 오운봉(五雲峰) 등 다섯 개의 봉우리로 이루어져 있으며 멀리서 보면 연꽃 같아서 화산(華山)이라고 부름.
중국 , 지명>자연지명
-
화산부(華山賦)
중국 당(唐) 나라의 문신ㆍ문인인 양경지(楊敬之)가 지은 부(賦). 한유(韓愈)ㆍ이덕유(李德裕) 등으로부터 찬사를 받아 널리 알려짐.
중국>당 , 중국 , 문헌>작품명
-
화산서원(禾山書院)
조선 철종(哲宗) 때 경상도 의성(義城)에 건립한 서원. 1855년(철종 6) 사림이 건립한 오천영당(梧川影堂)을 1915년에 개수하여 숭절사(崇節祠)로 고치고, 1976년에 화산서원(禾山書院)으로 개칭함. 마천목(馬天牧)ㆍ마승(馬勝) 등을 배향함.
1855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의성 , 유적>건물>서원,향교
-
화산서원(花山書院)@순창
조선 선조(宣祖) 때 전라도 순창(淳昌)에 건립한 서원. 신말주(申末舟)ㆍ김정(金淨)ㆍ김인후(金麟厚)ㆍ고경명(高敬命)ㆍ김천일(金千鎰)ㆍ박상(朴祥)ㆍ유옥(柳沃)ㆍ신공제(申公濟)ㆍ양사형(楊士衡)ㆍ김시서(金時瑞) 등을 배향함.
1607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순창 , 유적>건물>서원,향교
-
화산서원(花山書院)@포천
조선 인조(仁祖) 때 경기도 포천(抱川)에 건립한 서원. 1660년(현종 1) 사액되고, 이항복(李恒福)을 배향함. 1868년(고종 5) 흥선대원군(興宣大院君)의 서원 철폐령으로 없어짐.
1635 한국>조선후기 , 경기도>포천 , 유적>건물>서원,향교
-
화성(火星)
오성(五星) 중의 하나로, 남방(南方)을 상징하는 별. 나타나고 사라지는 것이 일정하지 않아 사람을 미혹시킨다고 해서 ‘형혹(熒惑)’이라 일컬어짐.
자연물>천체
-
화성(華城)
조선 정조(正祖) 때 경기도 수원(水原)에 단순히 토축(土築)되어 있던 읍성(邑城)에 성곽을 새로이 축조한 성. 정조는 아버지인 사도세자(思悼世子)를 위하여 화성 가꾸기에 주력함.
한국>조선후기 , 경기도>수원 , 유적>시설>성,진,책
-
화수사(華首寺)
중국 당(唐) 나라 현종(玄宗) 때 광동성(廣東省) 혜주(惠州)의 나부산(羅浮山)에 건립한 사찰. 나부산 제1의 선림(禪林).
738 중국>당 , 중국 , 유적>건물>사찰
-
화순(和順)
전라남도 중앙부에 있는 고을 이름. 소백산맥(小白山脈)에서 뻗은 지맥들로 이루어진 산악지대로, 무등산(無等山)ㆍ백아산(白雅山)ㆍ만연산(萬淵山)ㆍ모후산(母后山)ㆍ화학산(華鶴山)ㆍ천태산(天台山) 등의 산들이 있음.
전라도>화순 , 지명>행정지명
-
화씨벽(和氏璧)
중국 춘추전국시대 초(楚) 나라의 변화(卞和)가 형산(荊山)에서 발견한 옥돌을 가공하여 얻은 보옥(寶玉)으로, 인재(人才)를 가리키는 말. 문왕(文王)만이 그 진가를 인정했으며, 진(秦) 나라 소양왕(昭襄王)이 15개의 성(城)과 맞바꾸려다가 인상여(藺相如)로 인해 실패했다는 고사가 전함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사상>술어>고사성어
-
화암사(禾巖寺)
통일신라 혜공왕(惠恭王) 때 진표율사(眞表律師)가 강원도 고성(高城) 설악산(雪嶽山) 북쪽 기슭에 건립한 비구니 사찰. 본래 이름은 화암사(華巖寺)이며 1864년(고종 1) 이전하여 중건한 뒤 수암사(穗岩寺)로 개칭했다가 1912년 화암사(禾巖寺)로 고침.
769 한국>통일신라 , 강원도>고성 , 유적>건물>사찰
-
화암서원(花巖書院)
조선 현종(顯宗) 때 충청도 영동(永同)에 건립한 서원. 1670년(현종 11) 창건되었으며, 장필무(張弼武)ㆍ박인(朴忍)ㆍ장항(張沆)ㆍ박흥생(朴興生)ㆍ장지현(張智賢)ㆍ박계우(朴季愚)ㆍ박흥거(朴興居)ㆍ장의현(張義賢) 등을 배향함.
1670 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영동 , 유적>건물>서원,향교
-
화암서원(華巖書院)@익산
조선 광해군(光海君) 때 전라도 익산(益山)에 건립한 서원. 1612년(광해군 4) 창건되었으며, 이공수(李公遂)ㆍ소세량(蘇世良)ㆍ소세양(蘇世讓)ㆍ이약해(李若海)ㆍ소동도(蘇東道)ㆍ소영복(蘇永福)ㆍ소광진(蘇光震) 등을 배향함.
1612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익산 , 유적>건물>서원,향교
-
화암서원(華巖書院)@보령
조선 광해군(光海君) 때 충청도 보령에 건립한 서원. 1610년(광해군 2) 창건되어 1686년(숙종 12) 사액되었으며, 이지함(李之菡)ㆍ이산보(李山甫)ㆍ이정암(李廷馣)ㆍ이몽규(李夢奎)ㆍ구계우(具繼禹) 등을 배향함. 1868년(고종 5) 흥선대원군(興宣大院君)의 서원 철폐령으로 없어졌다가 복원됨.
1610 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보령 , 유적>건물>서원,향교
-
화암서원(華巖書院)@괴산
조선 광해군(光海君) 때 충청도 괴산(槐山)에 건립한 서원. 1622년(광해군 14) 창건되었으며, 이황(李滉)ㆍ허후(許詡)ㆍ박세무(朴世茂)ㆍ이문건(李文楗)ㆍ노수신(盧守愼)ㆍ김제갑(金悌甲)ㆍ유근(柳根)ㆍ전유형(全有亨)ㆍ이신의(李愼儀) 등을 배향함.
1622 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괴산 , 유적>건물>서원,향교
-
화암집(和庵集)
조선 숙종(肅宗)~영조(英祖) 때의 문신인 신성하(申聖夏)의 시문집. 4권2책. 필사본. 1749년(영조 25) 아들 신경(申暻)에 의해서 편집ㆍ간행되었으며, 시 514수가 실려 있음.
1749 한국>조선후기 , 문헌>서명
-
화약고기(火藥庫記)
고려 공민왕(恭愍王)~조선 세종(世宗) 때의 문신인 정이오(鄭以吾)가 지은 조선시대 무기에 관한 저서. 《교은집(郊隱集)》에 실려 있으며, 최무선(崔武宣)의 아들 최해산(崔海山)이 군기시 부정(軍器寺副正)으로 있으면서 화포무기 제작에 관여했다고 함.
한국>조선전기 , 문헌>서명
-
화양서원(華陽書院)
조선 숙종(肅宗) 때 충청도 괴산(槐山)에 건립한 서원. 1695년(숙종 21) 창건되어 이듬해 사액되고, 송시열(宋時烈)을 배향함. 1717년(숙종 43) 만동묘(萬東廟)가 세워졌던 곳으로, 송시열을 배향한 전국 서원 중 위세가 가장 커 화양묵패(華陽墨牌) 등의 폐단을 일으킴.
1695 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괴산 , 유적>건물>서원,향교