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화엄경(華嚴經)
불교 화엄종(華嚴宗)의 근본 경전(經典). 석가모니(釋迦牟尼)의 가르침을 가장 잘 드러낸 작품으로 인정받는 방대한 분량의 대승불교(大乘佛敎) 경전임.
고대 , 문헌>서명
-
화엄경소(華嚴經疏)
신라 진덕여왕(眞德女王)~신문왕(神文王) 때의 고승 원효(元曉)가 지은 《화엄경(華嚴經)》의 주석서. 10권. 미완성본으로 전해오던 것을 고려의 대각국사(大覺國師) 의천(義天)이 원효의 《화엄종요(華嚴宗要)》와 합본하여 만듦.
한국>신라 , 경상도>경주 , 문헌>서명
-
화엄사(華嚴寺)
신라 진흥왕(眞興王) 때 인도(印度)의 승려 연기(緣起)가 세웠다고 전하는 사찰. 전라남도 구례(求禮) 방면 지리산(智異山) 노고단(老姑壇) 서쪽에 세웠다고 함.
544 한국>신라 , 전라도>구례 , 유적>건물>사찰
-
화엄종(華嚴宗)
중국 당(唐) 나라 때 성립된 불교의 한 종파. 《화엄경(華嚴經)》을 근본 경전으로 하며, '법계연기론'(法界緣起論)을 중시함. 지엄(智儼)ㆍ법장(法藏)에 의해 종파로 성립했으며 우리나라에는 지엄의 제자인 의상(義相)을 개종조(開宗祖)로 함.
중국>당 , 중국 , 사상>이론>교리
-
화운대산기(畵雲臺山記)
중국 남북조시대 동진(東晉)의 화가인 고개지(顧愷之)의 화론(畵論). 산수화의 기법에 대해 논하였으며, 당(唐) 나라 때의 화론가(畵論家)인 장언원(張彥遠)의 《역대명화기(歷代名畫記)》에 전함.
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문헌>작품명
-
화응(和凝)
중국 오대십국 후당(後唐)~후주(後周) 때의 문신. 범질(范質)이 진사(進士)가 될 때 시관(試官)이었는데, 그의 재주를 사랑하여 13등으로 급제시킴. 이는 자신이 13등으로 급제하여 대신이 되었기 때문이었는데, 훗날 범질(范質) 역시 대신이 됨.
898~955 중국>오대십국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화의군(和義君)
조선 제4대 세종(世宗)의 첫 번째 서자. 영빈강씨(令嬪姜氏)의 소생으로, 형 금성대군(錦城大君)이 모의한 단종복위(端宗復位) 사건에 연루되어 익산(益山)에 유배된 뒤 그곳에서 죽음.
1425~?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왕자
-
화장사(花庄寺)
경기도 개성(開城)에 있던 절. 조선 후기의 처사(處士)인 안경창(安慶昌)이 한 신승(神僧)을 따라 공부했다고 함.
경기도>개성 , 유적>건물>사찰
-
화정집(和靖集)
중국 송(宋) 나라의 학자인 윤돈(尹焞)의 문집. 8권.
중국>송 , 중국 , 문헌>서명
-
화제(和帝)
중국 후한(後漢)의 제4대 황제. 재위 89~105년. 장제(章帝)의 넷째 아들로, 10세에 즉위하여 두태후(竇太后)가 수렴청정을 함. 환관들과 연합하여 두태후 일당을 척결했으나 환관들의 전횡 때문에 다시 정치가 문란해지고, 그 우울증에 시달리다 죽음.
79~105 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화제음황후(和帝陰皇后)
중국 후한(後漢)의 제4대 황제인 화제(和帝)의 비(妃). 음장생(陰長生)의 증손으로, 학문을 즐겨 숭상했다고 함.
?~102 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왕실>왕비
-
화차도설(火車圖說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학자인 변이중(邊以中)의 저작물. 이 글에 따라 화차 300량을 만들어서 권율(權慄)에게 보내어 행주 대첩(幸州大捷)에 큰 도움이 되게 함.
한국>조선후기 , 문헌>작품명
-
화찰(華察)
중국 명(明) 나라 세종(世宗)~신종(神宗) 때의 문신. 한림원 학사(翰林院學士)ㆍ동궁 시독(東宮侍讀) 등을 지냈으며, 1539년(조선 중종 34) 명 나라의 사신으로 조선에 파견됨.
1497~1574 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화천서원(花川書院)
조선 정조(正祖) 때 경상도 안동(安東)에 건립한 서원. 유운룡(柳雲龍)ㆍ유원지(柳元之)ㆍ김윤안(金允安) 등을 배향함.
1786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안동 , 유적>건물>서원,향교
-
화타(華佗)
중국 후한(後漢) 말기의 명의(名醫). 외과(外科)의 태두(泰斗)로, 술과 마비산(麻沸散)을 이용한 전신마취법을 창안하였으며, 다섯 동물의 동작을 본떠 ‘오금희(五禽戱)’라는 보건체조를 고안함.
145~208 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기술인>의원
-
화표주(華表柱)
궁전이나 성곽, 무덤의 앞에 세우는 돌기둥으로 중국 한(漢) 나라 때 요동(遼東) 사람 정영위(丁令威)가 신선술을 배워 천 년 뒤에 학(鶴)이 되어 화표주(華表柱)에 내려와 앉았다는 데서 유래됨.
중국 , 사상>술어>관용어ㅣ유적>시설>기타시설
-
화해사전(華海師全)
고려 후기의 학자인 신현(申贒)에 대한 전기. 문인 정몽주(鄭夢周)가 원천석(元天錫)ㆍ범세동(范世東)에게 전해주어 편집하여 간행하려 하였으나 뜻을 이루지 못함. 1935년 강영식(姜泳植)이 논산(論山)에서 4권 2책의 신연활자본으로 간행함.
1935 한국>근대 , 충청도>연산 , 문헌>서명
-
화향(畫響)
중국 명(明) 나라의 서화가인 이영창(李永昌)의 서화집. 자신이 그린 그림에 제(題)한 것으로 이루어져 있음. 무권수(無卷數) 4책.
중국>명 , 중국 , 문헌>서명
-
화흠(華歆)
중국 후한(後漢)~삼국시대 위(魏) 나라의 문신. 병원(邴原)ㆍ관녕(管寧) 등과 절친하여, 당시 사람들이 화흠을 용의 머리, 병원을 용의 배, 관녕을 용의 꼬리라 칭함. 동한(東漢) 환제(桓帝) 때 상서령(尙書令)에 이르고 위 나라에서는 태위(太尉)에 이름.
157~231 중국>후한ㅣ중국>삼국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화희등황후(和熹鄧皇后)
중국 후한(後漢)의 제4대 황제인 화제(和帝)의 후비. 화제가 죽은 후 상제(殤帝)ㆍ안제(安帝)를 즉위시키고 실권을 잡음.
81~121 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왕실>왕비