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황명기략(皇明紀略)
조선 효종(孝宗) 때의 문신ㆍ학자인 김육(金堉)이 지은 편년체 역사서. 명(明) 나라 태조(太祖) 원년(1368)에서 천계(天啓) 연간(1627)까지의 사실(史實)을 간략하게 초록함. 6권 3책.
한국>조선후기 , 문헌>서명
-
황명이학명신언행록(皇明理學名臣言行錄)
중국 명(明) 나라의 학자인 양렴(楊廉)이 설선(薛瑄) 등 명 나라 유학자 15인의 언행을 수집하여 편찬한 책. 2권.
1523 중국>명 , 중국 , 문헌>서명
-
황명통기(皇明通紀)
중국 명(明) 나라의 학자인 진건(陳建)이 지은 명 나라에 대한 편년체 역사서. 명 나라 홍무(洪武) 원년(1368)에서 정덕(正德) 연간(1521)까지 기록되었으며, 가정(嘉靖) 연간(1522~1566)에 편집되었을 것으로 추정됨.
중국>명 , 중국 , 문헌>서명
-
황박(黃博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장수(長水). 사헌부 장령(司憲府掌令)을 지낸 황윤준(黃允峻)의 아들로, 을사사화 때 권벌(權橃)ㆍ이언적(李彦迪)을 두둔하다 중도부처(中途付處)됨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황보곤(黃輔坤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평해(平海). 진용교위(進勇校尉) 황옥숭(黃玉崇)의 아들로, 1513년(중종 8)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함.
한국>조선전기 , 강원도>평해 , 인명>문사>유학
-
황보기(皇甫琦)
고려 고종(高宗)~충렬왕(忠烈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영천(永川). 고종 때 대장군으로 몽고에 사신으로 다녀왔고, 원종(元宗)이 원 나라에서 환국할 때 어가(御駕)를 제때 봉영(奉迎)하지 않았다가 힐책을 당함. 문하시랑 평장사(門下侍郞平章事)로 치사(致仕)함.
?~1285 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영천(永川) , 인명>관인>문신
-
황보밀(皇甫謐)
중국 남북조시대 진(晉) 나라의 학자. 집안이 빈한하여 고학으로 제자백가(諸子百家)를 섭렵하고 많은 저서를 남겼는데, 특히 침구학(鍼灸學)에 심취하여 《황제삼부침구갑을경(黃帝三部針灸甲乙經)》등을 저술함.
215~282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황보인(皇甫仁)
조선 태종(太宗)~단종(端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영천(永川). 《세종실록(世宗實錄)》편찬에 참여하고, 영의정을 지냄. 1453년(단종 1) 계유정난 때 김종서(金宗瑞)ㆍ정분(鄭奔)ㆍ이양(李穰)ㆍ조극관(趙克寬) 등과 함께 단종을 보필하던 중 피살됨.
1387~1453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영천(永川) , 인명>관인>문신
-
황보항(皇甫抗)
고려 명종(明宗) 때의 문인. 본관은 영천(永川). 죽림고회(竹林高會) 7인 중의 한 명으로, 1176년(명종 6) 승보시(升補試)에 수석으로 급제하였으나 중원 서기(中原書記)에 머무름. 악장(樂章)에 능하였다 함.
한국>고려후기 , 충청도>충주 , 인명>문사>문인
-
황사간(黃士幹)
조선 태종(太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상주(尙州). 상산군(商山君) 황효원(黃孝源)의 아버지로, 승문원 정자(承文院正字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상주 , 인명>관인>문신
-
황사우(黃士祐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창원(昌原). 친척인 김안로(金安老)가 정권을 잡자 권세를 부리며, 뇌물을 받고 벼슬을 팔아 치부했다는 비판을 받음. 이조 판서(吏曹判書)ㆍ우찬성(右贊成) 등을 지냄.
1486~1536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풍기 , 인명>관인>문신
-
황사윤(黃斯允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창원(昌原). 고원 군수(高原郡守)를 지낸 황징(黃澄)의 아버지로, 평안도 절도사(平安道節度使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창원 , 인명>관인>문신
-
황사효(黃事孝)
조선 성종(成宗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장수(長水)로, 영의정 황희(黃喜)의 손자. 황해도 관찰사(黃海道觀察使)ㆍ대사헌(大司憲) 등을 지냈음. 부랑무상(浮浪無常)한 행동이 많아 방백의 체통을 지키지 않았다는 비난을 받기도 함.
?~1495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장수 , 인명>관인>문신
-
황산곡시집(黃山谷詩集)
중국 송(宋) 나라의 시인인 황정견(黃庭堅)의 시집. 1483년(조선 성종 14)에 서거정(徐居正)ㆍ노사신(盧思愼)ㆍ허종(許琮)ㆍ어세겸(魚世謙)ㆍ유순(柳洵)ㆍ유윤겸(柳允謙) 등이 왕명에 따라 우리말로 번역함.
중국>송 , 중국 , 문헌>서명
-
황산대첩비(荒山大捷碑)
조선 선조(宣祖) 때 전라도 남원(南原)에 세운 비석. 이성계(李成桂)ㆍ이지란(李之蘭) 장군이 1380년(고려 우왕 6)에 지리산 부근 황산에서 왜적 아기발도(阿只拔都) 군대를 물리친 사실을 기념하기 위해 세움. 김귀영(金貴榮)이 짓고 송인(宋寅)이 썼으며, 남응운(南應雲)이 각자(刻字)함.
1577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남원 , 유적>기타유적
-
황상(黃裳)@고려
고려 충혜왕(忠惠王)~우왕(禑王) 때의 무신. 본관은 의창(義昌)으로, 회산군(檜山君) 황석기(黃石奇)의 아들. 장사성(張士誠) 토벌과 기철(奇轍) 일파 숙청에 참여했으며, 개경 등지에 침입한 홍건적과 왜구의 침입을 격파하는 데 수훈을 세움.
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창원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무신
-
황상(黃裳)@송
중국 송(宋) 나라 광종(光宗) 때의 문신. 좌승상(左丞相) 유정(留正)에 의해 발탁되어 익선(翊善)을 지내며 황자(皇子)였던 영종(寧宗)을 보필함. 저서에 《왕부춘추강의(王府春秋講義)》ㆍ《겸산집(兼山集)》 등이 있음.
1146~1194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황서(黃瑞)
고려 충렬왕(忠烈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평해(平海)로, 정당문학(政堂文學)을 지낸 백문보(白文寶)의 장인. 첨의평리(僉議評理)ㆍ문하시중(門下侍中)을 지냄.
한국>고려후기 , 강원도>평해 , 인명>관인>문신
-
황서절(黃瑞節)
중국 원(元) 나라의 학자. 길안부(吉安府) 안복현(安福縣) 사람으로 벼슬에 나가지 않고 성리학에 매진하여 《주자성서(朱子成書)》를 편찬함.
중국>원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황석(黃錫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창원(昌原). 황한필(黃漢弼)ㆍ황한충(黃漢忠)의 아버지로, 훈도(訓導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창원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