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황예창(黃禮昌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남원(南原). 중종반정(中宗反正) 후 원종공신(原從功臣)이 되었고, 사재감 첨정(司宰監僉正) 등을 지냄.
1459~1533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남원 , 인명>관인>문신
-
황옥숭(黃玉崇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평해(平海). 유학 황보곤(黃輔坤)의 아버지로, 한성 판관(漢城判官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강원도>평해 , 인명>관인>문신
-
황우한(黃佑漢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상주(尙州). 삼사(三司)의 요직을 두루 지내고 성절사(聖節使)가 되어 명(明) 나라에 다녀옴. 호조 참판(戶曹參判)ㆍ병조 참판(兵曹參判)ㆍ대사헌(大司憲) 등을 지냄.
1541~1606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황원(黃瑗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창원(昌原). 형조 정랑(刑曹正郞)을 지낸 황대수(黃大受)의 아버지로, 조지서 별제(造紙署別提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창원 , 인명>관인>문신
-
황유(黃裕)
조선 제3대 태종(太宗)의 부마. 본관은 회덕(懷德). 판사(判事) 황자후(黃子厚)의 아들로, 태종의 열한 번째 딸인 숙안옹주(淑安翁主)와 혼인함.
1421~1450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회덕 , 인명>왕실>인척
-
황윤길(黃允吉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장수(長水). 1590년(선조 23) 통신정사(通信正使)로 일본에 다녀와 일본의 내침을 예견하고 대책을 강구하였으나, 김성일(金誠一)의 상반된 주장으로 뜻을 이루지 못함.
1536~?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황윤석(黃胤錫)
조선 영조(英祖)~정조(正祖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평해(平海). 김원행(金元行)의 문인으로, 종래의 이학(理學)과 서구 지식의 조화를 시도함. 《이재유고(頤齋遺藁)》에 실린 운학(韻學)에 대한 연구는 국어학사의 연구대상이 됨.
1729~1791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흥덕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황윤조(黃胤祖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우주(紆州). 좌의정을 지낸 황헌(黃憲)의 아버지로, 현감(縣監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황윤준(黃允峻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장수(長水). 1517년(중종 12) 별시(別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사헌부 장령(司憲府掌令)ㆍ판결사(判決事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황윤희(黃允熙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회덕(懷德). 유학 황균(黃均)의 아버지로, 북부 참봉(北部參奉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회덕 , 인명>관인>문신
-
황응규(黃應奎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창원(昌原). 황사우(黃士祐)의 아들이며, 주세붕(周世鵬)ㆍ이황(李滉)의 문인. 호조(戶曹)ㆍ형조(刑曹)ㆍ공조(工曹)의 정랑(正郞)과 좌랑(左郞) 등을 지냄.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양곡을 군량으로 바치고 의병을 모아 출전함.
1518~1598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풍기 , 인명>관인>문신
-
황의강(黃義剛)
중국 송(宋) 나라의 학자. 임천(臨川) 사람으로 주자(朱子)의 문인(門人)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황일호(黃一皓)
조선 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창원(昌原). 황척(黃惕)의 아들로, 큰아버지 황신(黃愼)에게 출계함. 병자호란 때 남한산성에서 인조를 호종하고, 의주 부윤(義州府尹)으로 있던 1638년(인조 16)에 명(明) 나라를 도와 청(淸) 나라를 치고자 모의하였으나 발각되어 청 나라 병사에게 피살됨.
1588~1641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창원 , 인명>관인>문신
-
황자(黃子)
중국 전한(前漢)의 도사. 사마담(司馬談)에게 도가(道家)의 이론을 전수함.
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도사
-
황자후(黃子厚)
조선 태종(太宗)~세종(世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회덕(懷德). 회천위(懷川尉) 황유(黃裕)의 아버지로, 한성부 윤(漢城府尹)ㆍ중추원 부사(中樞院副使) 등을 지냄. 호패법(戶牌法)을 건의하여 시행하고, 침구(鍼灸)의 전문직을 둘 것을 건의함.
1363~1440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회덕 , 인명>관인>문신
-
황잠(黃潛)
중국 원(元) 나라의 학자. 송렴(宋濂) 등이 그의 문하에서 수학함.
중국>원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황잠선(黃潛善)
중국 송(宋) 나라 휘종(徽宗)~고종(高宗) 때의 문신. 호부 시랑(戶部侍郞)ㆍ우상(右相) 등을 지냈으나, 금군(金軍)이 남침했을 때 왕백언(汪伯彦) 등과 함께 방비책을 강구하지 않고 화평을 주장하여 송 나라를 패배하게 함.
?~1129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황전(黃㙻)
조선 후기의 유학. 본관은 평해(平海)로, 운학자(韻學者) 황윤석(黃胤錫)의 아버지. 윤봉구(尹鳳九)와 정주학(程朱學)에 관련된 이야기를 편지로 주고받으며 교유함.
?~1771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흥덕 , 인명>문사>유학
-
황정견(黃庭堅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신ㆍ시인ㆍ화가. 소식(蘇軾)의 문인으로 강서파(江西派)의 시조. 시ㆍ문장(文章)ㆍ행초(行草) 등이 모두 당대를 풍미할 만큼 절묘하고, 진관(秦觀)ㆍ장뢰(張耒)ㆍ조보지(晁補之)와 함께 소문사학사(蘇門四學士)로 일컬어짐.
1045~1105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예술인>서화가ㅣ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황정경(黃庭經)
도가 경전(道家經典)의 하나. 중국 남북조시대 위(魏)ㆍ진(晉)의 도가들이 양생(養生)과 수련(修練)의 학습에 사용하던 책으로, 왕희지(王羲之)가 써주고 거위와 바꾸었다는 고사로 유명함.
고대 , 중국 , 문헌>서명