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황정내경경(黃庭內景經)
도가(道家)의 양생법(養生法)을 기술한 책. 양구자(梁邱子)가 주석을 달았으며, 도가서(道家書) 중에서도 가장 중요하게 생각되어 많이 읽힘.
고대 , 중국 , 문헌>서명
-
황정식(黃廷式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장수(長水). 용양위 호군(龍驤衛護軍)을 지낸 황열(黃悅)의 아들로, 우부승지(右副承旨)ㆍ병조 판서(兵曹判書) 등을 지냄.
1529~1592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황정외경경(黃庭外景經)
중국 위(魏)ㆍ진(晉) 시대에 성행한 도가(道家) 수련비결서. 《황정내경경(黃庭內景經)》의 바탕이 됨. 도가에서 중시한 서적으로, 양구자(粱邱子)와 무성자(務成子)의 주석이 유명함.
고대 , 중국 , 문헌>서명
-
황정욱(黃廷彧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장수(長水). 해동강서시파(海東江西詩派)인 호소지(湖蘇芝)의 일원.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순화군(順和君)을 배종하여 관동으로 피난했다가 왜군의 포로가 되어 항복 권유문을 씀.
1532~1607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기타인명>공신
-
황제내경(黃帝內經)
중국 고대 신화상의 인물인 황제(黃帝)와 신하이자 명의인 기백(岐伯)이 의술에 관해 토론한 것을 기술한 책. 진한(秦漢)시대에 가탁(假託)한 것이라고도 함. 18권.
고대 , 중국 , 문헌>서명
-
황제삼부침구갑을경(黃帝三部針灸甲乙經)
중국 남북조시대 진(晉) 나라의 학자인 황보밀(皇甫謐)이 지은 침구서. 가장 오래된 침구 전문서임.
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문헌>서명
-
황조명신언행록(皇朝名臣言行錄)
중국 명(明) 나라의 학자인 양렴(楊廉)이 명 나라 명신(名臣) 54인의 언행을 수집하여 편찬한 책. 4권.
중국>명 , 중국 , 문헌>서명
-
황종해(黃宗海)
조선 광해군(光海君)~인조(仁祖) 때의 학자. 본관은 회덕(懷德). 정구(鄭逑)의 문인으로, 1611년(광해군 3) 유생들과 상소하여 정인홍(鄭仁弘)의 전횡을 논박함. 폐모론(廢母論)이 일어나자 과거를 단념하고 사계(沙溪) 김장생(金長生)에게 예학(禮學)을 배움.
1579~1642 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목천 , 인명>문사>학자
-
황준량(黃俊良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평해(平海). 이황(李滉)의 문인으로, 호조 좌랑(戶曹佐郞)ㆍ신녕 현감(新寧縣監) 등을 지내고, 교육진흥에 힘을 기울여 문묘(文廟)를 수축하고 백학서원(白鶴書院)을 창설하는 등의 많은 치적을 남김.
1517~1563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풍기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황중(黃中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신. 소무(邵武) 사람으로, 단명전 학사(端明殿學士)ㆍ병부 상서(兵部尙書) 등을 지내고, 《주의(奏議)》를 저술함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황진(黃溍)
중국 원(元) 나라 인종(仁宗)~혜종(惠宗) 때의 문신ㆍ학자. 시강학사(侍講學士) 등을 지내고, 게혜사(揭傒斯)ㆍ우집(虞集)ㆍ유관(柳貫)과 함께 유림사걸(儒林四傑)로 불림. 저서로 《일손재필기(日損齋筆記)》ㆍ《황문헌집(黃文獻集)》이 있음.
1277~1357 중국>원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황진(黃璡)@조선후기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창원(昌原).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의주 목사(義州牧使)로 선조를 잘 공궤(供饋)하여 가선대부(嘉善大夫)로 승계되고, 주청사(奏請使)로 명(明) 나라에 가서 진병(進兵)ㆍ철병(撤兵) 등을 요청함.
1542~1606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창원 , 인명>관인>문신
-
황진(黃璡)@조선전기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창원(昌原). 사간원 사간(司諫院司諫)을 지낸 황효공(黃孝恭)의 아버지로, 군자감 판관(軍資監判官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영천(榮川) , 인명>관인>문신
-
황진(黃震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신. 영종(寧宗)과 이종(理宗) 때의 국사와 실록을 편수하고, 저서에 《고금기요(古今紀要)》ㆍ《일초(日抄)》등이 있음.
1213~1280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황진손(黃震孫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단양(丹陽). 홍문관 응교(弘文館應敎) 황계옥(黃啓沃)의 아버지로, 선공감 정(繕工監正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단양 , 인명>관인>문신
-
황진이(黃眞伊)
조선 종종(中宗) 때의 기생. 한시(漢詩)와 시조에 뛰어났는데 시조 6수가 《청구영언(靑丘永言)》에 전하며, 서경덕(徐敬德)ㆍ박연폭포(朴淵瀑布)와 더불어 송도삼절(松都三絶)로 불림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기술인>기생
-
황집중(黃執中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서화가. 본관은 창원(昌原). 1576년(선조 9) 진사시(進士試)에 입격하여 경력(經歷)을 지냄. 묵포도(墨葡萄)를 잘 그려 이정(李霆)의 묵죽(墨竹)과 어몽룡(魚夢龍)의 묵매(墨梅)와 함께 삼절(三絶)로 불림.
1533~?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예술인>서화가ㅣ인명>관인>문신
-
황징(黃澄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창원(昌原). 평안도 절도사(平安道節度使)를 지낸 황사윤(黃斯允)의 아들로, 고원 군수(高原郡守) 등을 지냄.
1456~1512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창원 , 인명>관인>문신
-
황찬(黃瓚)
중국 명(明) 나라의 문신. 한림학사(翰林學士) 등을 지냈으며, 요동(遼東)에 유배되었을 때 세종(世宗)의 명을 받은 신숙주(申叔舟)ㆍ성삼문(成三問)ㆍ손수산(孫守山)에게 음운(音韻)을 자문해줌.
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황초기(黃初起)
중국 후한(後漢)~남북조시대 진(晉) 나라의 유학. 금화산(金華山)에서 도를 닦아 신선이 되었다는 황초평(黃初平)의 형.
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문사>유학