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황초평(黃初平)
중국 후한(後漢)~남북조시대 진(晉) 나라 때의 신선. 15세 때 양(羊)을 먹이러 나갔다가 도사(道士)를 만나 금화산(金華山) 석실(石室)로 들어가 40년간 도를 닦고 신선이 되었다고 함.
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기타인물
-
황충(黃忠)
중국 삼국시대 촉(蜀) 나라의 장수. 강주(江州)를 지키다가 장비(張飛)에게 생포된 뒤 엄안(嚴顔)과 더불어 유비(劉備)의 심복이 되어 많은 공을 세움.
?~220 중국>삼국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무신
-
황충준(黃忠俊)
고려 충렬왕(忠烈王) 때의 문신. 창원황씨(昌原黃氏)의 시조로, 문하시중(門下侍中)을 지냄.
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창원 , 인명>관인>문신
-
황치(黃觶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평해(平海). 황준량(黃俊良)ㆍ황수량(黃秀良) 형제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강원도>평해 , 인명>문사>유학
-
황치경(黃致敬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창원(昌原). 병조 정랑(兵曹正郞) 황수(黃瀡)의 아버지로, 전라 감사(全羅監司) 등을 지냄.
1554~1627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창원 , 인명>관인>문신
-
황치신(黃致身)
조선 태종(太宗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장수(長水)로, 황희(黃喜)의 아들. 음보(蔭補)로 등용되어 판중추부사(判中樞府事)에 이름. 형조 정랑(刑曹正郞) 시절 세도가에서 평민을 노비로 삼아 50여 년 소송하던 사건을 한 달 만에 해결하여 양민으로 복적시킴.
1397~1484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장수 , 인명>관인>문신
-
황탕경(黃湯卿)
조선 시대의 문신. 본관은 창원(昌原). 의주 목사(義州牧使) 황진(黃璡)의 아버지로, 함흥 판관(咸興判官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창원 , 인명>관인>문신
-
황패(黃霸)
중국 전한(前漢) 무제(武帝)~선제(宣帝) 때의 문신. 영천 태수(潁川太守)로 나가 치민제일(治民第一)로 꼽힐 만큼 뛰어난 정사를 펼쳤고, 승상(丞相)의 지위에 오름.
?~B.C.51 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황필(黃㻶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덕산(德山). 병조 참판에 증직된 황귀수(黃龜壽)의 아들로, 김종직(金宗直)의 문하에서 수학함. 1492년(성종 23) 별시(別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경주 부윤(慶州府尹) 등을 지냄.
1464~1526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선산ㅣ충청도>덕산 , 인명>관인>문신
-
황하(黃河)
중국 청해성(青海省) 파안(巴顏) 객라산(喀喇山)에서 발원하여 감숙성(甘肅省)ㆍ섬서성(陝西省)ㆍ하남성(河南省)ㆍ산동성(山東省) 등을 거쳐 발해만(渤海灣)으로 흘러 들어가는 강. 중국에서 두 번째로 긴 강으로, 고대 문명의 발상지로 유명함.
중국 , 지명>자연지명
-
황학루(黃鶴樓)
중국 삼국시대 오(吳) 나라 때 호북성(湖北省) 무창현(武昌縣) 서쪽 황곡산(黃鵠山)에 세운 누각 이름. 강남(江南) 삼대 명루(三大名樓)의 하나.
223 중국>삼국시대 , 중국 , 유적>건물>누정
-
황한충(黃漢忠)
조선 연산군(燕山君) 때의 유학. 훈도(訓導)를 지낸 황석(黃錫)의 아들로, 1496년(연산군 2)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한 뒤 순흥(順興)의 우수동(愚叟洞)에 은거함.
1464~?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풍기 , 인명>문사>유학
-
황한필(黃漢弼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창원(昌原). 훈도(訓導)를 지낸 황석(黃錫)의 아들이자 우수동주(愚叟洞主) 황한충(黃漢忠)의 형으로, 훈도(訓導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창원 , 인명>관인>문신
-
황향(黃香)
중국 후한(後漢) 장제(章帝)~화제(和帝) 때의 문신. 많은 전적(典籍)을 읽었고 문장을 잘 지었으므로 사람들이 ‘천하무쌍 강하황동(天下無雙江夏黃童)’이라 일컬었으며, 뒤에는 황동이 사관(史官)을 지칭하는 말로 쓰이기도 하였음.
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황헌(黃憲)@후한
중국 후한(後漢) 때의 학자. 학행(學行)으로 한 시대의 추숭을 받았고, 효렴(孝廉)으로 천거되어 경사(京師)에 이르렀으나 벼슬하지 않아 징군(徵君)이라 일컬어졌음.
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황헌(黃憲)@조선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우주(紆州). 보익공신(保翼功臣)에 추록되고 좌의정을 지냈으나, 윤원형(尹元衡)의 심복인 부제학 진복창(陳復昌)의 탄핵을 받고 삭훈(削勳)ㆍ탈작(奪爵)됨.
1502~1574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황혁(黃赫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기대승(奇大升)의 문인.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왜군의 포로가 되어 아버지 황정욱(黃廷彧)을 대신해 항복 권유문을 썼고, 이이첨(李爾瞻)을 풍자한 시를 지었다가 무고를 받고 투옥되어 옥사함.
1551~1612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황협(黃挾)
조선시대의 문인. 본관은 창원(昌原). 경상도 칠원(漆原)에 있는 덕연서원(德淵書院)에 배향되었으며, 저서에 《독오집(獨悟集)》이 있음.
한국>조선시대 , 경상도>창원 , 인명>문사>문인
-
황형(黃衡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무신. 본관은 창원(昌原). 경기 감사(京畿監司) 황기(黃琦)의 아버지로, 공조 판서(工曹判書) 등을 지냄.
1459~1520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창원 , 인명>관인>무신
-
황호(黃灝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신. 주희(朱熹)의 문인으로, 주자가 그의 강론(講論)이 정밀하다고 칭찬하였고 이 칭찬으로 인해 명망(名望)이 높아짐. 관직은 광동 제형(廣東提刑) 등을 지냄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