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황호(黃瑚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남원(南原). 단성 현감(丹城縣監)을 지낸 황예창(黃禮昌)의 아들로, 1513년(중종 8) 진사시(進士試)에 입격함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남원 , 인명>문사>유학
-
황홍헌(黃洪憲)
중국 명(明) 나라의 문신. 1582년(선조 15) 왕경민(王敬民)과 함께 사신으로 와서 황사(皇嗣) 탄생의 조서(詔書)를 반포함.
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황화집(皇華集)
조선시대에 명(明) 나라의 사신과 조선의 원접사(遠接使)가 주고받은 시를 모은 시문집. 50권. 목판본. 1450년(세종 32)부터 1633년(인조 11)까지 개별적으로 간행했던 것을 영조(英祖)가 한 질(帙)로 모아 간행함. 양국 간의 외교ㆍ정치ㆍ문화의 교류와 조선 전기의 지리ㆍ풍속 등을 연구하는 데 귀중한 자료가 됨.
1773 한국>조선후기 , 문헌>서명
-
황효공(黃孝恭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창원(昌原). 사간원 사간(司諫院司諫)을 지냈으나, 탄핵을 받고 영천(榮川)으로 물러나 학문에 전념함. 특히 도상학(圖象學)과 《주역(周易)》에 조예가 깊어 이황(李滉)과 《주역》에 대해 토론하며 시문(詩文)을 주고받음.
1496~1553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영천(榮川)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황효원(黃孝源)
조선 세종(世宗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상주(尙州)로, 황사간(黃士幹)의 아들. 성격이 각박하여 수령(守令)을 종처럼 대하고 처첩(妻妾)으로 인한 소송(訴訟)이 그치지 않았으며, 재화를 탐하여 화가옹(貨家翁)이라 불림.
1414~1481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상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황효헌(黃孝獻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장수(長水). 담론(談論)과 학문을 좋아하고 문장에 뛰어났으며, 풍의(風儀)가 아름다워 귀공자 같았다고 함. 이행(李荇)과 함께 《신증동국여지승람(新增東國輿地勝覽)》 편찬에 참여함.
1491~1532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황희(黃喜)
고려 우왕(禑王)~조선 문종(文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장수(長水). 18년간 영의정(領議政)으로 있으면서 농사의 개량, 예법의 개정, 서얼(庶孼)의 천역(賤役) 면제 등 많은 업적을 남겨 세종(世宗)에게 신임을 받고, 청렴하여 백성에게서도 존경을 받음.
1376~1452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관인>문신
-
회^사(淮^泗)
중국의 하남성(河南省) 남부에 있는 회수(淮水)와 산동성(山東省) 동부에 있는 사수(泗水)를 함께 부르는 말.
중국 , 지명>기타지명
-
회^퇴(晦^退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ㆍ학자인 이언적(李彦迪)과 중종~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학자인 이황(李滉)을 함께 부르는 말. 성리학에 조예가 깊은 학자를 가리킴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예안ㅣ경상도>경주 , 사상>술어>관용어
-
회^해(淮^海)
중국 후한(後漢) 영제(靈帝) 때의 은사(隱士)인 강굉(姜肱)과 그의 아우 강중해(姜仲海)를 함께 부르는 말. 효행과 우애로 이름이 난 사람을 말함.
중국>후한 , 중국 , 사상>술어>관용어
-
회계산(會稽山)
중국 절강성(浙江省) 소흥(紹興) 남동쪽에 있는 산. 춘추전국시대 때 월왕(越王) 구천(句踐)이 이곳에 난(蘭)을 심으면서 난저산(蘭渚山)으로 불림.
중국 , 지명>자연지명
-
회공(懷公)
중국 춘추전국시대(春秋戰國時代) 진(晉) 나라의 제후. 진(晉) 혜공(惠公)의 아들로 진(秦) 나라에 볼모로 잡혀있다 돌아왔지만, 망명했던 문공(文公)이 진(秦) 나라의 도움으로 돌아오자 고량(高梁)에서 살해당함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왕실>제후
-
회군공신(回軍功臣)
고려 우왕(禑王) 때 위화도회군(威化島回軍)을 주도했던 인물에게 내린 훈호(勳號). 위화도 회군으로 이성계(李成桂)가 집권하게 되고 회군공신의 대부분이 조선 개국의 주역이 됨.
1390 한국>고려후기 , 법제>제도
-
회남자(淮南子)
중국 전한(前漢)의 학자인 유안(劉安)과 그의 빈객(賓客)들의 저서. 도가(道家) 사상에 의한 통일된 이론서로, 당시의 유교(儒敎) 중심의 이론에 대항함.
중국>전한 , 중국 , 문헌>서명
-
회란(懷蘭)
조선 전기의 승려. 보은(報恩)에 있는 법주사(法住寺)에 거주하였고, 고경명(高敬命)과 시문(詩文)으로 교유함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보은 , 인명>종교인>승려
-
회록당집(懷麓堂集)
중국 명(明) 나라 헌종(憲宗)~무종(武宗) 때의 문신ㆍ문인인 이동양(李東陽)의 시문집. 목판본. 총 19책 112권.
1709 중국>명 , 중국 , 문헌>서명
-
회봉집(晦峯集)
한말의 성리학자인 안규용(安圭容)의 문집. 10권 5책. 연활자본. 전라도 보성(寶城)의 죽곡정사(竹谷精舍)에서 간행함.
1963 한국>근대 , 전라도>보성 , 문헌>서명
-
회사(廻師)
고려 후기의 승려. 원천석(元天錫)의 《운곡행록(耘谷行錄)》에 〈서환원회사권(書還源廻師卷)〉이 실려 있음.
한국>고려후기 , 인명>종교인>승려
-
회산군(檜山君)
조선 제9대 성종(成宗)의 다섯째 아들. 숙의(淑儀) 남양홍씨(南陽洪氏) 소생으로, 김굉필(金宏弼)에게 가르침을 받음. 연산군(燕山君) 때 궁전(宮田)을 반납했다가 중중(中宗)이 즉위하자 노비(奴婢)와 전답(田畓)ㆍ사저(私邸)를 하사받음.
1481~1512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왕자
-
회안대군(懷安大君)
조선 제1대 태조(太祖)의 넷째 아들. 신의왕후(神懿王后) 한씨(韓氏)의 소생으로, 제1차 왕자(王子)의 난(亂) 때 정도전(鄭道傳) 일파를 제거하는 데 공을 세워 정사공신(定社功臣)에 책록되었으나, 제2차 왕자의 난을 일으킨 후 실패하여 토산(兎山)에 유배됨.
1364~1421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서울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왕실>왕자