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회암사(檜巖寺)
고려 충숙왕(忠肅王) 때 경기도 양주(楊州)에 중창된 사찰. 인도 승려 지공(指空)이 인도의 나란타사(羅爛陀寺)를 본떠 중창하고, 1378년(우왕 4) 혜근(惠勤)이 중건함.
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양주 , 유적>건물>사찰
-
회암초당(晦庵草堂)
중국 송(宋) 나라 때 건양(建陽) 서쪽 운곡(雲谷)에 건립된 초당(草堂). 1170년에 주희(朱熹)가 세우고 강학(講學)하던 곳으로, 현재 복건성(福建省)의 노봉(盧峯)에 속함.
1170 중국>송 , 중국 , 유적>건물>사제
-
회양(懷讓)
중국 당(唐) 나라의 승려. 혜안(慧安)에게 구족계(具足戒)를 받은 후에 조계산(曹溪山)에 들어가 선종(禪宗) 6조(祖)인 혜능(慧能) 밑에서 수행하고, 반야사(般若寺)에서 30년 동안 교화(敎化)를 펼침.
677~744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종교인>승려
-
회연서원(檜淵書院)
조선 광해군(光海君) 때 경상도 성주(星州)에 건립된 서원. 1690년(숙종 16)에 사액되었으며, 정구(鄭逑)ㆍ이윤우(李潤雨) 등을 배향함
1622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성주 , 유적>건물>서원,향교
-
회왕(懷王)
중국 춘추전국시대 초(楚) 나라의 제후. 정사를 게을리 하고 직간(直諫)을 받아들이지 않자 굴원(屈原)이 《이소경(離騷經)》을 지어 깨우치려 함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왕실>제후
-
회은집(晦隱集)
조선 숙종(肅宗) 때의 학자인 남학명(南鶴鳴)의 시문집. 5권 2책. 활자본. 우리나라 풍토에 관한 글과 인물의 언행 기록 등이 실려 있음.
한국>조선후기 , 문헌>서명
-
회의(懷義)
통일신라 성덕왕(聖德王) 때의 승려. 충청남도 공주(公州)에 있는 동학사(東鶴寺)를 창건함.
한국>통일신라 , 충청도>공주 , 인명>종교인>승려
-
회인향교(懷仁鄕校)
조선 세종(世宗) 때 충청도 보은(報恩)에 건립된 향교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보은 , 유적>건물>서원,향교
-
회재집(晦齋集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ㆍ학자인 이언적(李彦迪)의 시문집. 13권 5책. 목판본. 이황(李滉)이 행장(行狀)을 지어 붙인 정고본(定稿本)을 손자 이준(李浚)이 주관하여 간행함.
1575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경주 , 문헌>서명
-
회쟁론(廻諍論)
인도 대승불교의 승려ㆍ학자인 용수(龍樹)의 저서. 72의 게문(偈文)과 산문(散文)으로 쓴 주석(註釋)으로 구성되었으며, 공(空) 사상에 입각하여 반대파를 비판함.
기타지역 , 문헌>서명
-
회창법난(會昌法難)
중국 당(唐) 나라 무종(武宗) 때 일어난 불교 탄압 사건. 무종이 재상 이덕유(李德裕)와 함께 도사(道師) 조귀진(趙歸眞)의 의견을 전적으로 받아들여 시작되었는데, 수(隋)ㆍ당(唐) 대 번영했던 불교에 심각한 타격을 입힘.
845 중국>당 , 중국 , 사건>기타사건
-
회해(懷海)
중국 당(唐) 나라의 승려. 마조 도일(馬祖道一)의 제자로 선거(禪居)를 처음 제창하여 좌선의 법도를 새로이 구체화했으며, 선종(禪宗)의 세력을 더욱 강화시킴.
720~814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종교인>승려
-
회해장단구(淮海長短句)
중국 송(宋) 나라 철종(哲宗)~휘종(徽宗) 때의 문신ㆍ문인인 진관(秦觀)의 시집. 총3권.
중국>송 , 중국 , 문헌>서명
-
회해집(淮海集)
중국 송(宋) 나라 철종(哲宗)~휘종(徽宗) 때의 문신ㆍ문인인 진관(秦觀)의 시문집. 총40권.
중국>송 , 중국 , 문헌>서명
-
회헌영당(晦軒影堂)
조선 숙종(肅宗) 때 전라도 곡성(谷城)에 있는 건립한 영당(影堂). 1676년(숙종 2) 창건되었으며, 회헌(晦軒) 안향(安珦)과 주희(朱熹)를 배향함.
1676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곡성 , 유적>건물>사당
-
횡포집(橫浦集)
중국 송(宋) 나라 고종(高宗) 때의 문신인 장구성(張九成)의 문집. 총20권. 문인 낭욱(郎昱)이 편찬함.
중국>송 , 중국 , 문헌>서명
-
효강장황후(孝康張皇后)
중국 명(明) 나라의 제9대 황제인 효종(孝宗)의 비(妃).
중국>명 , 중국 , 인명>왕실>왕비
-
효경(孝經)
중국 춘추전국시대 노(魯) 나라의 학자인 공자(孔子)와 제자 증삼(曾參)의 효(孝)에 관한 문답을 기록한 유교 경전. 십삼경(十三經) 중의 하나로, 증자의 제자들이 집록했다고 전함. 정현(鄭玄)ㆍ주희(朱熹)ㆍ마융(馬融) 등의 후대 학자들이 주석서를 발간함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문헌>서명
-
효경본지(孝經本旨)
중국 송(宋) 나라 광종(光宗)~영종(寧宗) 때의 문신ㆍ학자인 황간(黃榦)의 저서. 《효경(孝經)》에 관한 주석서.
중국>송 , 중국 , 문헌>서명
-
효경연의(孝經衍義)
중국 송(宋) 나라의 학자인 동백우(童伯羽)의 저서.
중국>송 , 중국 , 문헌>서명