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후주(後主)@삼국(촉)
중국 삼국시대(三國時代) 촉(蜀)의 제2대 황제. 재위 223~263. 제갈량(諸葛亮)의 보좌를 받아 정권을 유지하다가 제갈량이 죽은 뒤 위(魏) 나라에 항복하여 안락공(安樂公)에 봉해짐.
207~271 중국>삼국시대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후주(後主)@남북조(陳)
중국 남북조시대 진(陳) 나라의 제5대 국왕. 재위 582~589. 선제(宣帝)의 장자로 주색(酒色)에 빠져 정사를 돌보지 않고, 수(隋) 나라의 군사가 쳐들어와도 음악과 시문을 지으며 노닐다 수 나라의 장수 한금호(韓擒虎)에게 잡힘.
?~589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후주(後主)@오대십국(남당)
중국 오대십국 남당(南唐)의 제3대 국왕. 정치가로서의 역량보다 학문ㆍ문예ㆍ서화에 뛰어났으나, 주연(酒宴)에 빠져 국가의 멸망을 초래함. 반비(潘妃)로 인해 유명해진 전족(纏足)의 풍습이 후주 때부터 시작되었다는 설이 있음.
937~978 중국>오대십국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후중량(侯仲良)
중국 송(宋) 나라의 학자. 이천(伊川) 정이(程頤)의 문인으로, 염계(濂溪) 주돈이(周敦頤)에게 배워 학문이 크게 진전됨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후직(后稷)
중국 주(周) 왕조의 전설적 시조. 성은 희(姬)이고 이름은 기(棄). 농경신(農耕神)으로, 제곡(帝嚳)의 아내가 된 강원(姜嫄)이 거인의 발자국을 밟고 잉태하여 낳았다고 함. 후에 요제(堯帝)의 농관(農官)이 됨.
고대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기타인물
-
후천집(朽淺集)
조선 광해군(光海君)~인조(仁祖) 때의 학자인 황종해(黃宗海)의 문집. 8권 4책. 목판본. 아들 황곡립(黃鵠立)이 수집 편차하고, 증손 황응하(黃應河)와 종증손 고성 현령(固城縣令) 황찬(黃燦)이 최석정(崔錫鼎)의 서문을 받아 간행함.
1713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고성 , 문헌>서명
-
후청쇄어(鯸鯖瑣語)
조선 전기 문신인 이제신(李濟臣)의 수필집(隨筆集). 우리나라의 풍속(風俗)ㆍ관습(慣習) 및 문물제도의 연혁(沿革)ㆍ고사(故事) 등이 실려 있음.
1629 한국>조선후기 , 문헌>서명
-
후촌선생대전집(後村先生大全集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인ㆍ문신인 후촌(後村) 유극장(劉克莊)의 저서를 종합한 책. 196권.
중국>송 , 중국 , 문헌>서명
-
후촌장단구(後村長短句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인ㆍ문신인 유극장(劉克莊)의 시집. 장단구는 사(詞)의 다른 말이며, 시국에 비분강개하는 작품이 많이 수록됨.
중국>송 , 중국 , 문헌>서명
-
후칠자(後七子)
중국 명(明) 나라 가정 연간(嘉靖年間)에 문학(文學)으로 이름이 높았던 왕세정(王世貞)ㆍ이반룡(李攀龍)ㆍ사진(謝榛)ㆍ종신(宗臣)ㆍ양유예(梁有譽)ㆍ서중행(徐中行)ㆍ오국륜(吳國倫)을 가리킴.
중국>명 , 중국 , 인명>집단>기타집단
-
후파(侯芭)
중국 전한(前漢) 때의 학자. 양웅(揚雄)의 제자로 그가 저술한 《태현경(太玄經)》과 《법언(法言)》을 전수받았으며, 스승 사후 심상(心喪) 3년을 지냄.
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후패(侯覇)
중국 신(新)~후한(後漢) 때의 문신. 신 나라 때에 회평 대윤(淮平大尹)을 지내고 후한 초에 상서령(尙書令)을 지냄. 옛 제도에 정통하였고, 《춘추곡량전(春秋穀梁傳)》을 정리하였음.
?~37 중국>후한ㅣ중국>신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후풍지동의(候風地動儀)
중국 후한(後漢)의 문신ㆍ문인인 장형(張衡)이 발명한 지진 방향 관측 장치.
132 중국>후한 , 중국 , 물품>기타용품>공구
-
후한서(後漢書)
중국 남북조시대 송(宋) 나라의 범엽(范曄)이 기전체(紀傳體)로 엮은 후한(後漢)의 정사(正史). 120권. 광무제(光武帝)에서 헌제(獻帝)까지 196년간의 역사 기록.
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문헌>서명
-
훈민정음(訓民正音)
조선 세종(世宗) 때 창제된 훈민정음(訓民正音)에 관한 한문 해설서. 33장 1책. 목판본. 국자(國字)인 훈민정음을 반포함에 있어서 정인지(鄭麟趾) 등의 집현전(集賢殿) 학자들이 세종의 명을 받아 간행함.
1446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문헌>서명
-
훈사(熏師)
고려 후기의 승려. 원천석(元天錫)의 《운곡행록(耘谷行錄)》에 〈서화광훈사권(書和光熏師卷)〉이 실려 있음.
한국>고려후기 , 인명>종교인>승려
-
훈요십조(訓要十條)
고려 태조(太祖)가 자손들에게 내린 열 가지 유훈(遺訓). 943년(태조 26) 4월에 박술희(朴述熙)를 통하여 전했으며, 주로 왕실의 안녕을 위해 지켜야 할 일을 담고 있음.
943 한국>고려전기 , 경기도>개성 , 법제>법률
-
휘정옹주(徽靜翁主)
조선 제9대 성종(成宗)의 아홉째 서녀(庶女). 어머니는 숙의김씨(淑儀金氏). 의천위(宜川尉) 남섭원(南燮元)과 혼인함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공주
-
휘종(徽宗)
중국 송(宋) 나라 제8대 황제. 재위 1100~1125. 신종(神宗)의 아들. 호사(豪奢)와 도교(道敎)에 빠져 정치(政治)를 돌보지 않았음. 1125년 금(金) 나라가 침입하여 퇴위(退位)하였으나, 1127년 흠종(欽宗)과 함께 금의 포로가 되어 배소(配所)인 만주에서 병사함.
1082~1135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휴^적(鑴^積)
조선 효종(孝宗)~숙종(肅宗) 때의 문신ㆍ학자인 윤휴(尹鑴)와, 인조(仁祖)~숙종 때의 문신인 허적(許積)을 함께 부르는 말. 1680년(숙종 6) 허견(許堅)의 역모사건에 연좌되어 사사(賜死)됨.
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남원ㅣ경기도>양천 , 사상>술어>관용어