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휴암선생실기(休庵先生實記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학자인 백인걸(白仁傑)의 문집. 4권 2책. 목활자본. 1831년(순조 31)에 저자의 8대손인 백동야(白東野)가 유문(遺文)을 수집하여 간행함.
1831 한국>조선후기 , 문헌>서명
-
휴옹집(休翁集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인 정홍익(鄭弘翼)의 문집. 2권. 채팽윤(蔡彭胤)이 쓴 서문이 《희암집(希菴集)》에 실려 있음.
한국>조선후기 , 문헌>서명
-
휴정(休靜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승려. 일선(一禪)에게 구족계를 받고 영관(靈觀)의 법을 계승함.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승병(僧兵) 을 모아 명(明) 나라 군대와 합세하여 한양 수복에 공을 세움.
1520~1604 한국>조선후기 , 평안도>안주 , 인명>종교인>승려
-
흉노(匈奴)
중국 몽골 고원에서 활약하던 기마 종족 및 그들이 형성한 국가의 명칭. 기원전 3세기 말에 통일 국가를 건설하여 전성기를 맞이하였으나, 한(漢) 나라 무제(武帝)의 침공으로 1세기경 남북으로 분열됨.
중국>전한ㅣ중국>춘추전국시대 , 기타지역 , 인명>집단>종족
-
흑산도(黑山島)
전라남도 신안(新安)에 속한 섬 이름. 홍도(紅島)ㆍ대둔도(大芚島)ㆍ영산도(永山島)ㆍ가거도(可居島) 등과 함께 흑산군도를 이룸.
전라도>나주 , 지명>자연지명
-
흠종(欽宗)
중국 송(宋) 나라 제9대 황제. 재위 1125~1127. 휘종(徽宗)의 맏아들. 금(金) 나라 군사의 침공을 받아 휘종과 함께 잡혀가 만주의 유배지에서 죽음.
1100~1161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흥수(興首)
백제 의자왕(義慈王) 때의 문신. 좌평(佐平)을 지냈으나 죄를 지어 고마미지현(古馬彌知縣)으로 귀양 감. 당(唐) 나라와 신라의 연합군이 백제를 침공하자 계책을 간언(諫言)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음.
한국>백제 , 전라도>장흥 , 인명>관인>문신
-
흥암서원(興巖書院)
조선 숙종(肅宗) 때 경상도 상주(尙州)에 세운 서원. 현종(顯宗) 때의 학자인 송준길(宋浚吉)을 배향함.
1702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상주 , 유적>건물>서원,향교
-
흥왕사(興王寺)
고려 문종(文宗) 때 경기도 풍덕(豊德)에 지은 사찰. 문종의 원찰(願刹)로 창건되어 문종의 아들인 의천(義天)이 주석함. 몽고의 침입으로 소실되었으나, 여러 차례 중창하여 고려 후기까지 크게 사세(寺勢)를 떨침.
1067 한국>고려전기 , 경기도>풍덕 , 유적>건물>사찰
-
흥인지문(興仁之門)
조선 태조(太祖) 때 건립한 서울 성곽의 사대문(四大門) 가운데 동쪽 성문. 서울 종로구(鍾路區)에 소재.
1396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유적>시설>성,진,책
-
흥해(興海)
경상북도 포항(浦項)의 흥해읍(興海邑)을 중심으로 한 지역의 고려ㆍ조선 시대의 고을 이름.
경상도>흥해 , 지명>행정지명
-
희^공(羲^孔)
중국 고대 전설상의 제왕인 복희(伏羲)와 춘추전국시대 노(魯) 나라의 학자인 공자(孔子)를 함께 부르는 말. 복희는 처음으로《주역(周易)》을 만들었고 공자는《주역》의 온갖 이치를 전수함.
중국>춘추전국시대ㅣ고대 , 중국 , 사상>술어>관용어
-
희^농(羲^農)
중국 고대 전설상의 제왕인 복희(伏羲)와 신농(神農)을 함께 부르는 말. 복희는 팔괘(八卦)를 처음 만들고 어획(漁獲)과 수렵(狩獵)의 방법을 가르쳤으며, 신농은 백성에게 농경을 가르치고 의약을 제조하여 병을 치료하였으므로 태평성대를 이룬 성군(聖君)을 가리킴.
고대 , 중국 , 사상>술어>관용어
-
희^문(羲^文)
중국 고대 전설상의 제왕인 복희(伏羲)와 주(周) 나라의 창건자인 문왕(文王)을 함께 부르는 말. 《주역(周易)》은 8괘(卦)와 64괘 및 괘사(卦辭)․효사(爻辭)․십익(十翼) 등으로 되어있는데, 복희는 괘를 그리고 문왕은 괘사를 만들어 도(道)를 밝혀 가르쳤으므로 훌륭한 성군(聖君)을 가리킴.
중국>주ㅣ고대 , 중국 , 사상>술어>관용어
-
희^소(羲^邵)
중국 고대 전설상의 제왕인 복희(伏羲)와 송(宋) 나라 인종(仁宗) 때의 학자인 소옹(邵雍)을 함께 부르는 말. 복희가 창조한 선천도(先天圖)를 소옹이 전수받아 상수(象數)에 의거하여 우주 만물의 생성과정을 연역해 내는 선천상수학(先天象數學)을 확립함.
중국>송ㅣ고대 , 중국 , 사상>술어>관용어
-
희^아(羲^娥)
중국 고대 전설상의 태양신인 희화(羲和)와 달의 신인 항아(姮娥)를 함께 부르는 말. 일월(日月)을 지칭하므로, 전하여 세월을 뜻함.
고대 , 중국 , 사상>술어>관용어
-
희^우(羲^虞)
중국 고대 전설상의 황제인 복희(伏羲)와 순(舜)을 함께 부르는 말. 복희는 팔괘(八卦)를 처음 만들고 어획(漁獲)과 수렵(狩獵)의 방법을 가르쳤으며, 순은 천하를 잘 다스려 태평시대를 이루었으므로 훌륭한 성군(聖君)을 가리킴.
고대 , 중국 , 사상>술어>관용어
-
희^헌(羲^獻)
중국 남북조시대 진(晉) 나라의 서예가인 왕희지(王羲之)와 왕헌지(王獻之)를 함께 부르는 말. 부자(父子)가 모두 뛰어난 재능을 가진 사람을 말함.
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사상>술어>관용어
-
희^헌(羲^軒)
중국 고대 전설상의 제왕인 복희(伏羲)와 헌원(軒轅)을 함께 부르는 말. 태평성대를 이룩한 성왕(聖王)을 가리킴.
고대 , 중국 , 사상>술어>관용어
-
희강왕(僖康王)
신라 제43대 국왕. 재위 836~838. 익성대왕(翌成大王)으로 추봉된 김헌정(金憲貞)의 아들. 흥덕왕(興德王)이 죽은 뒤 김균정(金均貞)과 왕위를 다투었으나 시중(侍中) 김명(金明)의 추대로 즉위함. 후에 김명이 난을 일으키자 자살함.
?~838 한국>통일신라 , 경상도>경주 , 인명>왕실>국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