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희공(僖公)
중국 춘추전국시대 노(魯) 나라의 제후. 노 나라 장공(莊公)의 아들이자 민공(閔公)의 형으로, 민공의 뒤를 이어 제후가 됨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왕실>제후
-
희공(釐公)
중국 춘추전국시대 제(齊) 나라의 제후. 재위 B.C.730~B.C.698. 양공(襄公)과 환공(桓公)의 아버지.
?~B.C.698. 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왕실>제후
-
희락당고(希樂堂稿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인 김안로(金安老)의 시문집. 8권 6책. 필사본. 저자가 정유삼흉(丁酉三兇)의 한 사람으로 지목되어 문집이 간행되지 못하고 필사본으로 전해짐.
한국>조선전기 , 문헌>서명
-
희빈장씨(禧嬪張氏)
조선 제19대 숙종(肅宗)의 후궁. 본관은 인동(仁同). 1689년(숙종 15)에 왕자 윤(昀. 후의 경종)을 낳으면서 인현왕후(仁顯王后)가 폐위되고 왕비로 책봉됨. 후에 희빈(禧嬪)으로 강등되자, 1701년(숙종 27) 인현왕후를 저주하여 죽음에 이르게 하였다는 죄목으로 사약을 받고 죽음.
?~1701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후궁
-
희빈홍씨(熙嬪洪氏)
조선 제11대 중종(中宗)의 후궁. 본관은 남양(南陽). 중종반정(中宗反正) 때 공을 세운 정국공신(靖國功臣) 홍경주(洪景舟)의 딸.
1494~1581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후궁
-
희운(希運)
중국 당(唐) 나라의 승려. 백장선사(百丈禪師) 회해(懷海)의 지도를 받고 현지(玄旨)에 통달함. 희운의 법어(法語)를 비휴(斐休)가 집대성하여 《황벽산단제선사 전심법요(黃檗山斷際禪師傳心法要)》로 남김.
?~850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종교인>승려
-
희조(僖祖)
중국 송(宋) 나라의 추존 황제. 태조(太祖) 조광윤(趙匡胤)의 고조(高祖)로, 묘호(廟號)는 희조, 시호(諡號)는 문헌황제(文獻皇帝)로 추존됨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희종(僖宗)
중국 당(唐) 나라의 제18대 황제. 재위 873~888. 어린 나이에 즉위하였고, 재위 중에 황소(黃巢)의 반란군이 장안(長安)을 침략하는 등 많은 어려움을 겪음.
862~888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희종(熙宗)
고려 제21대 왕. 재위 1204~1211. 신종(神宗)의 맏아들로, 어머니는 정화태후 김씨(靖和太后金氏). 최충헌(崔忠獻)에 의해 폐위되고, 최우(崔瑀)에 의해 강화로 유배됨.
1181~1237 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왕실>국왕
-
희종(熹宗)
중국 명(明) 나라의 제15대 황제. 재위 1620~1627. 이 시기에 악명 높은 환관 위충현(魏忠賢)이 조정을 장악하여 나라가 쇠락해짐.
1605~1627 중국>명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희준(熙俊)
조선 전기의 승려. 봉은사(奉恩寺)에 머무르며 오대산(五臺山) 승려 도순(道淳)과 교유함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종교인>승려
-
희진(禧進)
고려 말 조선 초의 승려. 환암(幻菴) 혼수(混脩)의 제자.
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강원도>원주 , 인명>종교인>승려
-
희청부(喜晴賦)
조선 세조(世祖) 때의 문신인 김수온(金守溫)이 지은 부(賦). 1457년(세조 3)에 명(明) 나라 한림원 수찬(翰林院修撰) 진감(陳鑑)이 사신으로 와서 지은 〈희청부(喜晴賦)〉의 운(韻)을 맞춰 지은 것으로, 크게 칭찬을 받음.
1457 한국>조선전기 , 문헌>작품명
-
희화(羲和)
중국 고대의 전설상의 인물. 제준(帝俊)의 아내로, 열 개의 태양(太陽)을 아들로 낳고 수레에 싣고 다닌다는 신. 일반적으로 해를 지칭함.
고대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기타인물
-
계손(季孫) - 계손씨(季孫氏)
중국 춘추전국시대 노(魯) 나라의 공족(公族). 맹손씨(孟孫氏)ㆍ숙손씨(叔孫氏)와 함께 노 나라의 세 공족 중 하나. 환공(桓公)의 아들인 계우(季友)의 후손으로, 대대로 대부의 벼슬을 계승하고 정권을 독점하여 막대한 권세와 부를 누림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집단>성씨
-
계손(季孫)@계손의여 - 계손의여(季孫意如)
중국 춘추전국시대(春秋戰國時代)의 노(魯) 나라 대부. 삼환(三桓)의 하나인 계손씨(季孫氏)의 우두머리로 노 나라의 정권을 전횡함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경대부
-
계손(繼孫) - 이계손(李繼孫)
조선 단종(端宗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여주(驪州). 평안도 관찰사(平安道觀察使)로 있을 때 향교를 후원하여 지방의 학문을 진작시켰으며, 병조 판서(兵曹判書) 등을 지냄.
1423~1484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여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계손비(季孫肥) - 계강자(季康子)
중국 춘추전국시대 노(魯) 나라 애공(哀公) 때의 정경(正卿). 공자(孔子)에게 정치에 대해 물은 것이 《논어(論語)》 〈안연(顔淵)〉편에 실려 있음.
?~B.C.468 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경대부
-
계송(繼宋) - 안계송(安繼宋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순흥(順興). 음직(蔭職)으로 돈녕부 직장(敦寧府直長)을 지냄. 남효온(南孝溫)의 〈사우명행록(師友名行錄)〉에 행적이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영천(榮川) , 인명>관인>문신
-
계수(季修) - 이숙(李塾)
중국 송(宋) 나라의 학자. 학사(學士) 이도(李燾)의 아들이며, 남헌(南軒) 장식(張栻)의 문인(門人)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