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계은(繼殷) - 조계은(曺繼殷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창녕(昌寧). 이조 좌랑(吏曹佐郞) 조언경(曺彦卿)의 아버지로, 중종반정(中宗反正)에 참여한 공으로 정국공신(靖國功臣)에 책록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관인>문신
-
계은사상(溪隱使相) - 이정립(李廷立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이이(李珥)ㆍ성혼(成渾)의 문인으로 기축옥사(己丑獄死)를 다스린 공으로 평난공신(平難功臣)이 되었고, 병조 참판(兵曹參判)ㆍ대사성(大司成) 등을 역임함.
1556~1595 한국>조선후기 , 경기도>광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계은유고(溪隱遺稿) - 계은집(溪隱集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인 이정립(李廷立)의 시문집. 1책. 이항복(李恒福)의 《백사집(白沙集)》에 서문이 실려 있음.
한국>조선후기 , 문헌>서명
-
계응(季應)@김난상 - 김난상(金鸞祥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청도(淸道). 이황(李滉)ㆍ정황(丁熿) 등과 교유하고, 1545년(인종 1) 을사사화(乙巳士禍)와 1547년(명종 2) 양재역 벽서사건(良才驛壁書事件)으로 유배되었으나, 선조 때 대사성(大司成) 등을 지냄.
1507~1570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계응(季應)@이선 - 이선(李選)@조선전기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영천(永川). 이순증(李順曾)의 아들로, 명종 때 환관 박세겸(朴世謙)의 비행에 연루되어 파직되었다가 재서용되어 오위장(五衛將) 등을 지냄.
1522~1586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영천(永川) , 인명>관인>문신
-
계응(季應) - 남추(南趎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고성(固城). 기묘사화(己卯士禍) 때 조광조(趙光祖) 일파로 몰려 남곤(南袞)에 의해 추방된 뒤 영광(靈光)으로 내려가 시작(詩作)으로 여생을 마침.
1499~1526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영광ㅣ전라도>곡성 , 인명>관인>문신
-
계응(季膺)@김익복 - 김익복(金益福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부안(扶安). 찰방(察訪)을 지낸 김광(金光)의 아들이며, 노진(盧禛)의 문인. 군수(郡守) 등을 지냈으며, 임진왜란(壬辰倭亂)이 일어나자 의병을 모아 여러 차례 전공을 세우고 군중에서 전사함.
1551~1599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부안 , 인명>관인>문신
-
계응(季膺) - 이선(李選)@조선전기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영천(永川). 이순증(李順曾)의 아들로, 명종 때 환관 박세겸(朴世謙)의 비행에 연루되어 파직되었다가 재서용되어 오위장(五衛將) 등을 지냄.
1522~1586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영천(永川) , 인명>관인>문신
-
계응(季膺)@이사영 - 이사영(李士英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경주(慶州). 영강서원(榮江書院)에 봉사(奉祀)된 이해(李蟹)의 손자로 군수(郡守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계응(季鷹)@송한필 - 송한필(宋翰弼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학자. 본관은 여산(礪山). 신사무옥(辛巳誣獄)을 일으킨 판관(判官) 송사련(宋祀連)의 아들. 형 송익필(宋翼弼)ㆍ송부필(宋富弼)과 함께 문장이 뛰어나고 성리학(性理學)에 정통하여 이이(李珥)ㆍ박인로(朴仁老) 등과 교유함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여산 , 인명>문사>학자
-
계응(季鷹) - 장한(張翰)
중국 남북조시대 진(晉) 나라의 문신. 제왕(齊王) 경(冏)에게 벼슬하여 동조연(東曹掾)으로 있다가, 시국이 어지럽고 가을바람이 불어오자 불현듯 고향이 생각나, 마침내 관직을 그만두고 돌아갔다는 고사가 유명함.
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계응노(季鷹鱸) - 순로(蓴鱸)
중국 남북조시대 진(晉) 나라 장한(張翰)이 가을바람을 맞고는 고향 강동(江東)의 순채국과 농어회 맛을 잊지 못하여 벼슬을 버리고 고향으로 돌아갔던 데서 나온 고사로, 고향을 그리워함을 뜻함.
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사상>술어>고사성어
-
계응순(季鷹蓴) - 순로(蓴鱸)
중국 남북조시대 진(晉) 나라 장한(張翰)이 가을바람을 맞고는 고향 강동(江東)의 순채국과 농어회 맛을 잊지 못하여 벼슬을 버리고 고향으로 돌아갔던 데서 나온 고사로, 고향을 그리워함을 뜻함.
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사상>술어>고사성어
-
계응순로(季鷹蓴鱸) - 순로(蓴鱸)
중국 남북조시대 진(晉) 나라 장한(張翰)이 가을바람을 맞고는 고향 강동(江東)의 순채국과 농어회 맛을 잊지 못하여 벼슬을 버리고 고향으로 돌아갔던 데서 나온 고사로, 고향을 그리워함을 뜻함.
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사상>술어>고사성어
-
계응어(季鷹魚) - 순로(蓴鱸)
중국 남북조시대 진(晉) 나라 장한(張翰)이 가을바람을 맞고는 고향 강동(江東)의 순채국과 농어회 맛을 잊지 못하여 벼슬을 버리고 고향으로 돌아갔던 데서 나온 고사로, 고향을 그리워함을 뜻함.
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사상>술어>고사성어
-
계의(季依) - 구인기(具仁墍)
조선 광해군(光海君)~숙종(肅宗) 때의 문신. 인조의 모후(母后) 인헌왕후(仁獻王后)의 조카로, 인조반정(仁祖反正)에 공을 세워 정사공신(靖社功臣)에 책록됨. 벼슬이 공조 판서(工曹判書)에 이르렀으며 사후(死後) 영의정(領議政)에 추증됨.
1597~1676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계의(季義) - 김종호(金從虎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울산(蔚山). 하서(河西) 김인후(金麟厚)의 차남으로, 자여도 찰방(自如道察訪)에 제수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음.
1537~?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장성 , 인명>관인>문신
-
계의(繼義) - 이계의(李繼義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경주(慶州). 유학 이익(李翊)의 아버지로, 강계부 판관(江界府判官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계이(啓而) - 신내옥(辛乃沃)
조선 명종(明宗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유학. 본관은 영월(寧越)로, 충좌위 부사직(忠佐衛副司直)을 지낸 신중곤(辛仲坤)의 아들. 이황(李滉)의 문인으로 출사(出仕)하지 않고 도학(道學)에 전념함. 유운룡(柳雲龍)ㆍ김성일(金誠一)ㆍ권호문(權好文) 등과 교유함.
1525~1616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안동ㅣ강원도>영월 , 인명>문사>유학
-
계이(繼而) - 이종(李踵)
조선 연산군(燕山君) 때의 종친. 태종(太宗)의 네 번째 서자인 근녕군(謹寧君) 이농(李襛)의 아들로, 태종의 세 번째 서자인 온녕군(溫寧君) 이정(李裎)에게 출계함. 갑자사화에 연루되어 1506년(연산군 12) 아들들과 함께 죽음을 당함.
?~1506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종친