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계일(季一) - 이정중(李精中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유학. 본관은 전주(全州). 이유중(李惟中)의 아우로, 1588년(선조 21)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함.
1565~?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유학
-
계임(季任)@이굉 - 이굉(李肱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고성(固城)으로, 형조 낭관(刑曹郎官) 이명(李洺)의 아들. 예빈시 별제(禮賓寺別提)에 제수되었으나 곧 사직하고 안동(安東)의 남쪽 낙동강(洛東江) 건너편에 반구정(伴鷗亭)을 짓고 유유자적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계임(季任) - 조사수(趙士秀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양주(楊州). 조방좌(趙邦佐)의 아들로, 육조(六曹)의 판서(判書)를 거쳐 의정부 좌참찬(議政府左參贊)을 지냄.
1502~1558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양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계자(季子)@계찰 - 계찰(季札)
중국 춘추전국시대(春秋戰國時代) 오(吳) 나라의 공자(公子). 각 제후국을 사신으로 순방하면서 예학을 논하는 등 박학하고 통명한 식견을 선보이며 현인으로 명성을 떨침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왕실>왕자
-
계자(季子) - 소진(蘇秦)
중국 춘추전국시대 연(燕) 나라의 경대부. 낙양(洛陽) 출신으로 귀곡자(鬼谷子) 왕허(王詡)의 문하생이며, 각국에 진(秦) 나라에 대항하는 합종론(合縱論)을 유세하여 육국(六國)의 재상이 됨.
?~B.C.317 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경대부
-
계자(季子)@오영 - 오영(吳英)
중국 송(宋) 나라 때의 학자. 주희(朱熹)의 문인(門人)이며, 고종(高宗) 소흥(紹興) 연간에 진사(進士)가 됨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계자(季疵) - 육우(陸羽)
중국 당(唐) 나라 때의 문인. 고조시가(古調詩歌)에 뛰어났으며, 특히 다도(茶道)에 정통하여 차에 관한 전문서적인《다경(茶經)》을 저술하였고, 후세에 ‘다성(茶聖)’으로 일컬어짐.
733~804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
-
계자(薊子) - 계자훈(薊子訓)
중국 후한(後漢) 때의 도사. 음식이 줄어들지 않는 등의 신기한 도술을 부렸다고 함.
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도사
-
계장(季章)@이벽 - 이벽(李壁)@송
중국 송(宋) 나라 영종(寧宗) 때의 문신ㆍ문인. 문장(文章)이 뛰어나고 전장(典章)과 제도(制度)에 정통하였으며, 권신 한탁주(韓侂冑)를 추종하여 참지정사(參知政事) 등을 지냄.
1159~1222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계장(季章) - 유보(劉黼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신ㆍ학자. 주희(朱熹)의 문인으로, 참지정사(參知政事)ㆍ이부 상서(吏部尙書)를 지냄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계장(季章)@윤봉오 - 윤봉오(尹鳳五)
조선 영조(英祖) 때의 문신. 윤명운(尹明運)의 아들이며, 윤봉구(尹鳳九)의 아우로, 연잉군(延礽君) 시절의 영조를 측근에서 보필하였고, 판돈녕부사(判敦寧府事) 등을 역임함.
1688~1769 한국>조선후기 , 경기도>파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계장(季長) - 마융(馬融)
중국 후한(後漢)의 문신ㆍ학자. 훈고학(訓詰學)의 시조로, 노식(盧植)ㆍ정현(鄭玄) 등의 걸출한 제자를 배출함. 《삼전이동설(三傳異同說)》을 저술하고, 《효경(孝經)》등 많은 책을 주석함.
79~166 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계장(季長)@우무 - 우무(尤袤)
중국 송(宋) 나라의 시인ㆍ문신. 태상소경(太常少卿) 등의 벼슬을 역임했고, 범성대(范成大)ㆍ육유(陸游)ㆍ양만리(楊萬里) 등과 남송사가(南宋四家)라 칭송됨.
1127~1202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계장(繼長) - 이계장(李繼長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무신. 본관은 합천(陜川). 이윤문(李允文)의 아들로, 원종공신(原從功臣)에 책록됨. 십여 년간 여러 지방관을 두루 지내고, 첨지중추부사(僉知中樞府事)에 이름.
1465~1529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무신
-
계재(溪齋) - 등린(滕璘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신ㆍ학자. 주희(朱熹)에게 수학했으며, 관직은 조봉대부(朝奉大夫)에 이름. 저서에는 《계재유고(溪齋類稿)》가 있음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계전(季甸) - 이계전(李季甸)
조선 세종(世宗)~세조(世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한산(韓山). 이색(李穡)의 손자로, 《세종실록(世宗實錄)》 편찬에 참여하였으며, 계유정난(癸酉靖難)에 참여하여 정난공신(靖難功臣)과 좌익공신(佐翼功臣)에 책록됨.
1404~1459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한산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계정(係貞) - 홍계정(洪係貞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남양(南陽). 봉상시 부정(奉常寺副正) 홍윤덕(洪潤德)의 아들이며 남녕부원군(南寧府院君) 홍춘경(洪春卿)의 아버지로, 예문관 대교(藝文館待敎) 등을 지냄.
1471~1514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남양 , 인명>관인>문신
-
계정(季禎) - 탁계정(卓季禎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광산(光山). 직장(直長)을 지낸 탁지(卓智)의 넷째 아들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문사>유학
-
계정(季靜) - 한연(韓淵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무신. 본관은 청주(淸州)로, 서청군(西淸君) 한삼덕(韓參德)의 아들. 임진왜란 때 의주(義州)로 파천(播遷)하는 선조를 호종하여 사후에 호성공신(扈聖功臣)에 책록되었으며, 공조 정랑(工曹正郞)ㆍ사복시 정(司僕寺正) 등을 지냄.
1543~? 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무신
-
계정(繼亭) - 권적(權適)
고려 충혜왕(忠惠王)~공민왕(恭愍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길창부원군(吉昌府院君) 권준(權準)의 아들.
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