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계정(繼楨) - 주계정(朱繼楨)
조선 전기의 유학. 김시습(金時習)의 《매월당집(梅月堂集)》에 그에게 준 시(詩)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계정(繼貞) - 김계정(金繼貞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생원. 본관은 삼척(三陟). 효력부위(效力副尉) 김중로(金中魯)의 아들로, 교수(敎授)를 지내고 1513년(중종 8)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함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계정(繼鄭) - 윤계정(尹繼鄭)
조선 중종(中宗)~인종(仁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파평(坡平). 원평군(原平君) 윤공(尹恭)의 아들이며, 서원군(瑞原君) 윤사정(尹士貞)의 아우. 공릉 참봉(恭陵參奉)을 지내고, 청송(聽松) 성수침(成守琛)과 교유함.
1493~1545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파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계제(季齊) - 번영(樊英)
중국 후한(後漢) 순제(順帝) 때의 학자. 오경(五經)에 정통한 학자로서 순제에게 사부(師傅)의 대우를 받음.
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계조(繼祖)@연진 - 연진(演眞)
고려 후기의 승려. 당시 대표적인 권문세족이던 채홍철(蔡洪哲)의 셋째 아들로, 보우(普愚)에게 출가하여 대선사(大禪師)가 됨.
한국>고려후기 , 강원도>평강 , 인명>종교인>승려
-
계조(繼祖) - 권찬(權纘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중종 때 대사헌(大司憲)을 지낸 권민수(權敏手)의 아들. 중종의 아들인 덕양군(德陽君) 이기(李岐)의 장인.
?~1560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함창 , 인명>기타인명>효자ㅣ인명>관인>문신
-
계조(繼祖)@설계조 - 설계조(薛繼祖)
조선 세조(世祖) 때의 무신. 상주 목사(尙州牧使)를 지낸 설순조(薛順祖)의 형. 세조의 즉위를 도운 공으로 정난공신(靖難功臣)에 책록되었으며, 안주 목사(安州牧使)ㆍ경상우도 수군 도안무처치사(慶尙右道水軍都安撫處置使) 등을 지냄.
?~1467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순창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무신
-
계조(繼祖)@유계조 - 유계조(柳繼祖)
고려 공민왕(恭愍王)~우왕(禑王) 때의 무신. 본관은 문화(文化). 공민왕(恭愍王) 때 홍건적의 난 등을 진압한 공으로 공신에 책훈되었으며, 조선 개국 후 영의정(領議政)에 추증됨.
1333~1374 한국>고려후기 , 황해도>문화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무신
-
계조(繼祖)@마계조 - 마계조(馬繼祖)
중국 송(宋) 나라 효종(孝宗) 때의 문신. 1490년에 진사(進士)에 입격해 남경감찰어사(南京監察御史)에 제수됨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계조연진대선사(繼祖演眞大禪師) - 연진(演眞)
고려 후기의 승려. 당시 대표적인 권문세족이던 채홍철(蔡洪哲)의 셋째 아들로, 보우(普愚)에게 출가하여 대선사(大禪師)가 됨.
한국>고려후기 , 강원도>평강 , 인명>종교인>승려
-
계종(繼宗) - 윤계종(尹繼宗)
고려 충혜왕(忠惠王)~충목왕(忠穆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파평(坡平). 윤보(尹珤)의 첫째 아들이자 충혜왕의 비인 희비(禧妃)의 아버지로, 충혜왕의 신임을 받음.
?~1346 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파주 , 인명>관인>문신ㅣ인명>왕실>인척
-
계종(繼宗)@양계종 - 양계종(楊繼宗)
중국 명(明) 나라 영종(英宗)~효종(孝宗) 때의 문신. 성품이 강직하고 청렴하여 중관(中官) 및 제신(諸臣) 들의 탐오와 비리를 지적하였으므로 고관들의 미움을 받았으며, 좌첨도어사(左僉都御史) 등을 역임함.
?~1488 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계주(季周) - 이단하(李端夏)
조선 현종(顯宗)~숙종(肅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덕수(德水). 택당(澤堂) 이식(李植)의 아들로, 우의정을 거쳐 좌의정에 이름. 송시열(宋時烈)의 문인 가운데 경학(經學)을 대표할 만한 인물로, 저서에 《선묘보감(宣廟寶鑑)》ㆍ《외재집(畏齋集)》 등이 있음.
1625~1689 한국>조선후기 , 경기도>지평ㅣ서울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계주(季疇) - 이계주(李季疇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한산(韓山). 이개(李塏)의 아버지로, 호조 정랑(戶曹正郞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한산 , 인명>관인>문신
-
계준(季俊) - 주문보(周文俌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상주(尙州). 주세붕(周世鵬)의 아버지로, 세거하던 합천(陜川)에서 칠원(漆原)으로 옮겨 가 살았으며, 향인(鄕人)의 존경을 받았다 함.
1467~1532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칠원 , 인명>관인>문신
-
계준(繼俊)@정계준 - 정계준(鄭繼俊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동래(東萊). 중종(中宗) 때의 유학인 정윤진(鄭允禛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동래 , 인명>문사>유학
-
계준(繼俊) - 이계준(李繼俊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인. 본관은 연안(延安). 이구령(李九齡)의 아들로, 거창(居昌)에 은거하여 시와 술을 즐기며 유유자적함. 임훈(林薰)의 《갈천집(葛川集)》에 그의 묘갈(墓碣)이 실려 있음.
1490~1558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거창 , 인명>문사>문인
-
계중(啓仲) - 송여옥(宋汝沃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유학. 청성산(靑城山)에 은거한 송암(松巖) 권호문(權好文)을 찾아가 《시전(詩傳)》ㆍ《근사록(近思錄)》 등을 수학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문사>유학
-
계중(季重) - 오세재(吳世才)
고려 명종(明宗) 때의 문인ㆍ학자. 본관은 고창(高敞). 해좌칠현(海左七賢)의 한 사람으로 시와 서예에 능함. 명종 때 과거에 급제했으나 관로에는 오르지 못함.
1133~? 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문사>문인
-
계중(繼仲) - 서명선(徐命善)
조선 영조(英祖)~정조(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달성(達城). 이조 참판(吏曹參判) 때 세손(世孫)의 대리청정을 반대하는 홍인한(洪麟漢) 일파를 탄핵하여 정조의 즉위에 공헌하였으며, 영의정(領議政) 등을 지냄.
1728~1791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