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계중(繼重)@임계중 - 임계중(任繼重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곡성(谷城). 김안국(金安國)ㆍ김정국(金正國) 등과 교유하고 성균관 사성(成均館司成) 등을 역임하였으나, 기묘사화(己卯士禍) 때 연천(漣川)으로 낙향하여 학문 연구에 전념함.
1481~1543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연천 , 인명>관인>문신
-
계중(繼重) - 이계중(李繼重)
조선 세조(世祖) 때의 문신. 남원부원군(南原府院君) 황수신(黃守身)의 사위로, 군사(郡事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관인>문신
-
계증(繼曾) - 정계증(鄭繼曾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. 중종(中宗) 때의 유학인 정구(鄭球)의 아버지로, 의학 교수(醫學敎授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계지(季智) - 구람(仇覽)
중국 후한(後漢)의 문신. 백성들을 형벌이 아닌 덕(德)으로 다스려 교화시킨 일로 유명함.
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계지(戒之) - 김삼계(金三戒)
조선 전기의 유학. 송암(松巖) 권호문(權好文)과 교유함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계지(繼之)@유언술 - 유언술(兪彦述)
조선 영조(英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기계(杞溪)로, 유복기(兪復基)의 아들. 직간(直諫)을 잘하여 영조에게 인정받았으며, 대사헌(大司憲)ㆍ지중추부사(知中樞府事) 등을 역임함.
1703~1773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계지(繼之)@이종생 - 이종생(李從生)
조선 세조(世祖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무신. 본관은 함평(咸平). 이시애(李施愛)의 난을 토벌할 때 공을 세워 적개공신(敵愾功臣)에 책록되었고, 경상우병사(慶尙右兵使) 등을 역임함.
1423~1495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함평 , 인명>관인>무신
-
계지(繼之) - 신승선(愼承善)
조선 단종(端宗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거창(居昌). 연산군의 장인으로 익대공신(翊戴功臣) 등에 책록됨. 영의정 등을 역임하였고, 《성종실록(成宗實錄)》의 편찬을 주관함.
1436~1502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거창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계지(薊地) - 북경(北京)
중국의 수도. 하북성(河北省) 중앙부에 있으며, 화북(華北) 대평원과 북방의 산간지대를 잇는 교통의 요지. 춘추전국시대 연(燕) 나라의 도읍이 된 이래, 요(遼) 나라, 금(金) 나라, 원(元) 나라, 명(明) 나라, 청(淸) 나라의 도읍지였음.
중국 , 지명>행정지명
-
계진(季珍) - 김언거(金彦琚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광주(光州). 김정(金禎)의 아들로, 김인후(金麟厚)ㆍ이황(李滉)ㆍ기대승(奇大升) 등과 교우함.
1503~1584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계진(季眞)@하지장 - 하지장(賀知章)
중국 당(唐) 현종(玄宗) 때의 시인ㆍ문신. 비서감(秘書監) 등을 역임하였으며, 문사(文辭)에 능하고 특히 초서(草書)를 잘 썼음. 성격이 호탕하고 음주를 좋아하여 이백(李白)과 친하게 지냈으며, 만년에 도사(道士)가 되어 고향으로 돌아감.
659~744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계진(季眞) - 이후백(李後白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이조 판서(吏曹判書)와 양관 제학(兩館提學)을 지냈으며, 문장이 뛰어나고 덕망이 높아 사림(士林)의 추앙을 받음.
1520~1578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함안 , 인명>관인>문신
-
계집(溪集) - 퇴계집(退溪集)
조선 전기의 대유(大儒) 이황(李滉)의 문집(文集). 문인(門人) 조목(趙穆)의 주도로 도산서원(陶山書院)에서 간행하고, 여러 종류의 판본이 전함.
1600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예안 , 문헌>서명
-
계찰괘검(季札掛劍) - 계찰계검(季札繫劍)
계찰(季札)이 검을 걸어 놓다는 뜻. 중국 춘추전국시대 오(吳) 나라의 계찰이 평소 자신의 검을 가지고 싶어하다 죽은 서(徐) 나라 왕의 집에 검을 풀어 놓고 온 고사에서 나온 말로, 신의를 중시함을 비유함.《사기(史記)》 〈오태백세가편(吳太伯世家篇)〉에 나옴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사상>술어>고사성어
-
계창(啓昌) - 이계창(李啓昌)
조선 전기의 종친. 영의정 유순정(柳順汀)의 아들인 황간 현감(黃澗縣監) 유자(柳滋)의 장인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계창(季昌) - 김계창(金季昌)
조선 세조(世祖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창원(昌原). 문재가 뛰어났으며 이조 참판(吏曹參判) 등을 지내고, 《세조실록(世祖實錄)》의 편찬에 편수관으로 참여함.
?~1481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창원 , 인명>관인>문신
-
계창(季昶) - 설계창(薛季昶)
중국 당(唐) 나라의 문신. 측천무후(則天武后)의 잔당인 무삼사(武三思)를 죽일 것을 상서(上書)하였으며, 호부 시랑(戶部侍郞) 등을 역임함.
중국>당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계창(繼昌)@권계창 - 권계창(權繼昌)
조선 전기의 유학(幼學). 고향으로 돌아가는 그에게 보낸 호원(灝元) 권문해(權文海)의 시가 《초간집(草澗集)》에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계창(繼昌) - 문계창(文繼昌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남평(南平). 탁월한 무재(武才)로써 왜구를 물리친 공으로 창원 부사(昌原府使)로 발탁됨.
?~1522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남평 , 인명>관인>문신
-
계채(繼蔡) - 원계채(元繼蔡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원주(原州). 대사성(大司成)과 황해도 관찰사(黃海道觀察使)를 역임하였음. 외교문서 작성에 능하여 사신으로 많이 파견되었으며, 명(明) 나라에 다녀오던 중 죽었음.
1492~1539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