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계천(繼天) - 선종(宣宗)@고려
고려 제13대 왕. 재위 1083~1094. 문종(文宗)의 둘째 아들. 불교를 장려하여 승과(僧科)를 설치하고, 많은 사탑(寺塔)을 건립함.
1049~1094 한국>고려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왕실>국왕
-
계천(鷄川) - 손소(孫昭)
조선 세조(世祖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이시애(李施愛)의 난 때 종사관(從事官)으로 출정, 난이 평정된 뒤 적개공신(敵愾功臣)에 책록되고, 내섬시 정(內贍寺正)으로 특진됨.
1433~1484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계천군(鷄川君) - 손소(孫昭)
조선 세조(世祖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이시애(李施愛)의 난 때 종사관(從事官)으로 출정, 난이 평정된 뒤 적개공신(敵愾功臣)에 책록되고, 내섬시 정(內贍寺正)으로 특진됨.
1433~1484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계천융도연의관인현문광무순덕홍효장황제(契天隆道淵懿寬仁顯文光武純德弘孝莊皇帝) - 목종(穆宗)@명
중국 명(明) 나라 제13대 황제. 재위 1567~1572. 여러 차례 침범한 몽고의 엄답(俺答)을 방어하고, 재초(齋醮)를 파하며 궁궐 건축을 줄여 몸소 절약을 실행함.
1537~1572 중국>명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계천정(溪川正) - 이선(李船)
조선 전기의 종친. 영의정 한효원(韓效元)의 아들인 한관(韓綰)의 장인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계초(季初) - 윤안성(尹安性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파평(坡平). 윤부(尹釜)의 아들로, 양양 부사(襄陽府使) 등을 지냄. 익사공신(翼社功臣)에 책록되었으나, 능창군(陵昌君) 이전(李佺)의 추대 사건에 연루되어 사형당함.
1542~1615 한국>조선후기 , 경기도>파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계축옥사(癸丑獄事) - 계축화옥(癸丑禍獄)
조선 1613년(광해군 5) 광해군(光海君)을 지지하는 대북파(大北派)가 영창대군(永昌大君) 및 반대파 세력을 제거하기 위하여 일으킨 옥사(獄事). 서인(西人)ㆍ남인(南人)들은 유배되거나 관직을 삭탈당하고, 인목대비(仁穆大妃)도 폐위됨.
1613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사건>역모
-
계타(季他) - 호사고(狐射姑)
중국 춘추전국시대 진(晉) 나라의 대부. 호언(狐偃)의 아들. 문무(文武)와 지용(智勇)을 겸비한 유장(儒將)으로서 태사(太師)를 지냄. 양공(襄公) 때 가국(賈國)에 봉해졌으며, 가씨(賈氏)의 이시조(二始祖)가 됨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경대부
-
계타(季佗) - 호사고(狐射姑)
중국 춘추전국시대 진(晉) 나라의 대부. 호언(狐偃)의 아들. 문무(文武)와 지용(智勇)을 겸비한 유장(儒將)으로서 태사(太師)를 지냄. 양공(襄公) 때 가국(賈國)에 봉해졌으며, 가씨(賈氏)의 이시조(二始祖)가 됨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경대부
-
계탁(季拓) - 변광(邊廣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영주(榮州)에서 안동(安東)으로 이거(移居)한 원주변씨(原州邊氏)의 입향조(入鄕祖). 충무위 부사직(忠武衛副司直) 변희예(邊希乂)의 아들로, 1513년(중종 8)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함.
1493~1555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영천(榮川)ㅣ경상도>안동 , 인명>문사>유학
-
계탄서원(溪灘書院) - 팔봉서원(八峯書院)
조선 선조(宣祖) 때 충청도 충주(忠州)에 건립한 서원(書院). 이자(李耔)ㆍ이경연(李慶延)ㆍ김세필(金世弼)ㆍ노수신(盧守愼)을 배향함.
1586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충주 , 유적>건물>서원,향교
-
계택상월(谿澤象月) - 월상계택(月象谿澤)
조선 후기의 문신ㆍ문장가인 월사(月沙) 이정귀(李廷龜)ㆍ상촌(象村) 신흠(申欽)ㆍ계곡(谿谷) 장유(張維)ㆍ택당(澤堂) 이식(李植)을 아울러 이르는 말.
한국>조선후기 , 인명>집단>기타집단
-
계통(季通)@채원정 - 채원정(蔡元定)
중국 송(宋) 나라의 학자. 어려서 아버지 채발(蔡發)에게 배우고, 후에 주희(朱熹)에게 배움. 의리(義理)ㆍ상수(象數)를 겸하고, 천문(天文)ㆍ지리(地理)ㆍ악률(樂律)ㆍ역수(曆數) 등에도 폭넓은 학식을 지님.
1135~1198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계통(季通)@이계통 - 이계통(李季通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함안(咸安). 정국공신(靖國功臣)에 책록된 이세응(李世應)의 아버지로, 사재감 부정(司宰監副正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함양 , 인명>관인>문신
-
계통(季通)@이집 - 이집(李潗)
조선 영조(英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한산(韓山). 1725년(영조 1) 증광시(增廣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였으며, 황해도 관찰사(黃海道觀察使) 시절 민생 구제에 노력함. 저서로 《한주집(韓州集)》이 있음.
1670~1727 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한산 , 인명>관인>문신
-
계통(季通) - 주의산(周義山)
중국 전한(前漢)의 도사. 불사(不死)를 추구하여 묵상하며 단도(丹道)를 이룩하였다고 함. 송(宋) 나라 때의 도사인 백옥섬(白玉蟾)과 함께 언급되기도 함.
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도사
-
계팽(季彭) - 이몽가(李蒙哥)
조선 세조(世祖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여흥(驪興). 이행(李行)의 아들로, 계유정난(癸酉靖難)에 가담한 공으로 정난공신(靖難功臣)에 책록되었으며, 지중추원사(知中樞院事) 등을 역임함.
1405~1487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여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계평(季平) - 양사형(楊士衡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남원(南原). 노진(盧禛)ㆍ유희춘(柳希春)의 문인으로, 영광 군수(靈光郡守) 등을 지냄. 임진왜란 때 군량을 조달하고 윤두수(尹斗壽)를 보좌하였으며 죽은 뒤 원종공신(原從功臣)에 추록됨.
1547~1599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순창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계하(季賀) - 전경창(全慶昌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경산(慶山)으로 전순(田珣)의 아들. 1573년(선조 6) 식년문과에 급제하고, 검열(檢閱)ㆍ정언(正言) 등을 지냄. 이황(李滉)의 학통을 이었으며, 대구 연경서원(硏經書院)에 제향됨.
1532~1585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경산 , 인명>관인>문신
-
계한(季漢) - 촉(蜀)
중국 삼국시대(三國時代)의 국명. 전한(前漢) 경제(景帝)의 후손인 유비(劉備)가 한(漢) 나라의 정통성 계승을 주장하며 촉(蜀) 땅의 성도(成都)에 세운 왕조. 2대 43년간 존속.
220~263 중국>삼국시대 , 중국 , 시간>국명