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계함(季涵) - 정철(鄭澈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시인. 본관은 연일(延日). 판관(判官)을 지낸 정유침(鄭惟沈)의 아들이며, 기대승(奇大升)의 문인(門人). 예조 판서(禮曹判書)ㆍ대사간(大司諫)을 지냈고, 가사문학의 대가로 국문학에 크게 공헌함.
1536~1593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창평ㅣ경기도>강화ㅣ서울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계함사인(季涵舍人) - 정철(鄭澈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시인. 본관은 연일(延日). 판관(判官)을 지낸 정유침(鄭惟沈)의 아들이며, 기대승(奇大升)의 문인(門人). 예조 판서(禮曹判書)ㆍ대사간(大司諫)을 지냈고, 가사문학의 대가로 국문학에 크게 공헌함.
1536~1593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창평ㅣ경기도>강화ㅣ서울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계해개옥(癸亥改玉) - 인조반정(仁祖反正)
조선 광해군(光海君) 15년에 이귀(李貴) 등 서인(西人) 일파가 광해군 및 대북파(大北派)를 몰아내고 능양군(綾陽君)을 왕으로 옹립한 사건.
1623 한국>조선후기 , 사건>기타사건
-
계해반정(癸亥反正) - 인조반정(仁祖反正)
조선 광해군(光海君) 15년에 이귀(李貴) 등 서인(西人) 일파가 광해군 및 대북파(大北派)를 몰아내고 능양군(綾陽君)을 왕으로 옹립한 사건.
1623 한국>조선후기 , 사건>기타사건
-
계해정사공신(癸亥靖社功臣) - 정사공신(靖社功臣)
조선 인조(仁祖) 1년에 광해군(光海君)을 폐출하고 인조를 옹립하는 데 공을 세운 사람들에게 내린 훈호(勳號). 김류(金瑬)ㆍ이귀(李貴) 등 총 53명에게 내렸으나, 논공행상(論功行賞)이 불공평하여 이괄(李适)의 난(亂)을 초래함.
1623 한국>조선후기 , 법제>제도
-
계행보(季行父) - 계손행보(季孫行父)
중국 춘추전국시대 노(魯) 나라 문공(文公)~양공(襄公) 때의 대부. 문공ㆍ선공(宣公)ㆍ성공(成公)ㆍ양공 4대를 섬기면서 깊은 신뢰를 쌓은 현인으로, 《논어(論語)》의 삼사이행(三思而行)과 관련된 인물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경대부
-
계향(薊鄕) - 계주(薊州)
중국 하북성(河北省) 천진(天津)에 있던 고을 이름. 춘추전국시대 연(燕) 나라의 도읍지이자 안녹산(安祿山)이 반란을 일으킨 곳으로, 우리나라 사신이 북경(北京)으로 연행(燕行)을 갈 때 지나야 하는 지역 중 하나.
중국 , 지명>행정지명
-
계헌(季憲) - 남언기(南彦紀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의령(宜寧). 김인후(金麟厚)ㆍ이황(李滉)의 문인(門人). 선조(宣祖) 초 영의정 이탁(李鐸)의 천거로 동몽교관(童蒙敎官)ㆍ빙고별좌(氷庫別坐)에 임명됨.
1534~?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동복ㅣ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계헌(季獻) - 이우(李瑀)@조선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서화가. 본관은 덕수(德水)로, 이이(李珥)의 아우. 시(詩)ㆍ서(書)ㆍ화(畫)ㆍ금(琴)을 잘하여 ‘사절(四絶)’이라 불림. 어머니 신사임당(申師任堂)의 화풍을 따르고, 특히 화훼(花卉)와 초충(草蟲)을 잘 그림.
1542~1609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선산ㅣ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계헌(戒軒) - 배일장(裵一長)
조선 후기의 문신ㆍ학자. 남구만(南九萬)의 천거로 강릉 참봉(康陵參奉)에 제수되었으나 응하지 않고 학문에만 전념함. 《심경보사(心經補辭)》를 저술함.
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합천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계헌(桂軒) - 정초(鄭礎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온양(溫陽). 정수붕(鄭壽朋)의 아들로, 1528년(중종 23) 식년시(式年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정랑(正郞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온양 , 인명>관인>문신
-
계현(啓賢) - 박계현(朴啓賢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권신 윤원형(尹元衡)의 청혼을 거절하여 변방으로 좌천되었고, 동인(東人)과 서인(西人)의 당쟁을 제지하려 하였으나 실패함.
1524~1580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밀양 , 인명>관인>문신
-
계현(季賢) - 이계현(李季賢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재령(載寧). 유학 이전(李琠)의 아버지로, 장례원 사의(掌隷院司議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재령 , 인명>관인>문신
-
계현(繼賢) - 탁계현(卓繼賢)
조선 후기의 유학. 본관은 광산(光山). 탁빈(卓斌)의 아들.
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문사>유학
-
계형(季衡) - 신계형(申季衡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유희춘(柳希春)과 함께 1537년(중종 32)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하여 연은전 참봉(延恩殿參奉)이 되었고, 추천으로 진안 현감(鎭安縣監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진안 , 인명>관인>문신
-
계호(季浩) - 이황(李滉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진보(眞寶). 주리론적(主理論的) 이기이원론(理氣二元論)을 주장한 영남학파(嶺南學派)의 종장(宗匠).
1501~1570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예안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계홍(季弘) - 안자유(安自裕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순흥(順興). 안임(安恁)의 아들로, 안명세(安名世)와 절친함. 《명종실록(明宗實錄)》편찬에 참여하고, 동지사(冬至使)로 명(明) 나라에 다녀왔으며, 지돈녕부사(知敦寧府事) 등을 지냄.
1517~1588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풍기 , 인명>관인>문신
-
계홍(季鴻) - 홍우(洪羽)
중국 송(宋) 나라 철종(哲宗)~휘종(徽宗) 때의 문인. 형 홍붕(洪朋)ㆍ홍추(洪芻)ㆍ홍염(洪炎) 등과 함께 시문에 능하여 ‘사홍(四洪)’으로 불림. 일찍 죽어서 시문이 흩어져 전하지 않음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
-
계화(季和) - 손응시(孫應時)
중국 송(宋) 나라 효종(孝宗)~영종(寧宗) 때의 문신. 육구연(陸九淵)에게 수학하고, 주희(朱熹)와 교유하였으며, 저서에 《촉호집(燭湖集)》이 있음.
1154~1206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계화(季和)@순숙 - 순숙(荀淑)
중국 후한(後漢) 순제(順帝)~환제(桓帝) 때의 문신. 순제 사망 후 전횡을 휘두른 외척 양기(梁冀)를 비난하다 지방으로 좌천되었고, 낭릉후(朗陵侯)의 재상이 되었을 때 일을 명쾌하게 처리하여 신군(神君)이라는 칭호를 얻음.
83~149 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