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계화(季華) - 유진(柳袗)
조선 광해군(光海君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풍산(豊山). 유성룡(柳成龍)의 아들로, 주로 외직에 종사하며 세신(世臣)의 후예로서 평생을 청렴하게 보내 사후 이조 참판(吏曹參判)에 추증되었으며, 안동(安東)의 병산서원(屛山書院)에 제향됨.
1582~1635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계환(季桓) - 계손씨(季孫氏)
중국 춘추전국시대 노(魯) 나라의 공족(公族). 맹손씨(孟孫氏)ㆍ숙손씨(叔孫氏)와 함께 노 나라의 세 공족 중 하나. 환공(桓公)의 아들인 계우(季友)의 후손으로, 대대로 대부의 벼슬을 계승하고 정권을 독점하여 막대한 권세와 부를 누림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집단>성씨
-
계회(季晦) - 정황(丁熿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창원(昌原). 사산감역(四山監役) 정세명(丁世明)의 아들이며, 조광조(趙光祖)의 문인(門人). 을사사화(乙巳士禍) 때 이기(李芑)의 논계로 파직되고, 양재역 벽서사건(良才驛壁書事件)에 연루되어 유배됨.
1512~1560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남원 , 인명>관인>문신
-
계효(季孝) - 황수신(黃守身)
조선 세종(世宗)~세조(世祖) 때의 문신ㆍ공신. 본관은 장수(長水)로, 영의정(領議政) 황희(黃喜)의 아들. 영의정에 오르고, 세조 등위에 공을 세워 좌익공신(佐翼功臣)에 책록됨. 《법화경(法華經)》등 불경의 번역을 주관함.
1407~1467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장수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계후(季厚) - 배계후(裵季厚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김해(金海)로, 감찰(監察)을 지낸 배진(裵縉)의 아들. 안의 현감(安義縣監)ㆍ진주 판관(晉州判官)을 지냈으며, 김일손(金馹孫)ㆍ조위(曺偉) 등과 도의지교(道義之交)를 맺고 교유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영산 , 인명>관인>문신
-
계후(繼厚) - 박계후(朴繼厚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진원(珍原). 성균 진사(成均進士) 박균(朴囷)의 아버지로, 참봉(參奉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진원 , 인명>관인>문신
-
계휘(季輝) - 오달제(吳達濟)
조선 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해주(海州). 삼학사(三學士) 중의 한 사람으로, 병자호란 때 청(淸) 나라와의 화의(和議)를 반대하다가 윤집(尹集)ㆍ홍익한(洪翼漢) 등과 함께 중국 심양(瀋陽)에 끌려가 처형당함.
1609~1637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계휘(繼輝)@김계휘 - 김계휘(金繼輝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산(光山). 동지의금부사(同知義禁府事)ㆍ예조 참판(禮曹參判)을 역임하였고, 동서 분당 때 당쟁 완화를 위하여 노력하였음.
1526~1582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관인>문신
-
계휘(繼輝) - 윤사분(尹士昐)
조선 세종(世宗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파평부원군(坡平府院君) 윤번(尹璠)의 아들이며, 세조비(世祖妃) 정희왕후(貞熹王后)의 오빠. 문음(門蔭)으로 벼슬하여 우의정 등을 지냈으며, 좌익원종공신(佐翼原從功臣)에 책록됨.
1401~1471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파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ㅣ인명>왕실>인척
-
계흠(季欽) - 신명화(申命和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평산(平山). 신사임당(申師任堂)의 아버지로 진사에 급제하였으나 벼슬에 나가지는 않았음.
1476~1522 한국>조선전기 , 강원도>강릉 , 인명>문사>유학
-
계흥(季興) - 김계흥(金季興)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은 울산(蔚山). 학성군(鶴城君) 김환(金環)의 아들로, 판도 판서(版圖判書)를 지냄.
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울산 , 인명>관인>문신
-
계흥(繼興) - 윤계흥(尹繼興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파평(坡平). 통례원 우통례(通禮院右通禮)를 지낸 윤석(尹晳)의 아버지로, 삼척 부사(三陟府使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파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계희(繼禧) - 한계희(韓繼禧)
조선 세종(世宗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청주(淸州). 한혜(韓惠)의 아들로, 남이(南怡)의 옥사와 성종의 즉위 때 공을 세워 두 차례 공신(功臣)에 책록되고, 《경국대전(經國大典)》과 《의방유취(醫方類聚)》의 편찬에 참여함.
1423~1482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고(古) - 계고(階古)
신라 진흥왕(眞興王) 때의 음악가. 신라에 투항한 가야의 음악가인 우륵(于勒)에게 가야금을 배움. 만덕(萬德)ㆍ법지(法知)와 함께 만든 곡이 신라의 궁중음악인 대악(大樂)으로 채택됨.
한국>신라 , 경상도>경주 , 인명>예술인>음악인ㅣ인명>관인>문신
-
고(固) - 서고(徐固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달성(達城). 서거정(徐居正)의 손자로, 예조 참의(禮曹參議)를 지냈으나, 사절(使節)을 받들고 명(明) 나라에 갔다가 도중에 죽음.
?~1550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대구 , 인명>관인>문신
-
고(暠) - 왕고(王暠)
고려 충렬왕(忠烈王)의 손자. 충숙왕(忠肅王) 때 독로화(禿魯花)로서 원(元) 나라에 머무름. 충숙왕ㆍ충혜왕(忠惠王) 때 고려 왕위를 도모했으나 실패함.
?~1345 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왕실>왕자
-
고(皐) - 권고(權皐)
고려 공민왕(恭愍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조부는 찬성사(贊成事) 권단(權㫜)이며, 아버지는 영도첨의사사(領都僉議司事) 권보(權溥).
1294~1379 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고(翶) - 박고(朴翶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죽산(竹山). 죽성군(竹城君) 박영충(朴永忠)의 아들로, 대광보국숭록대부(大匡輔國崇祿大夫) 의정부 좌의정(議政府左議政)에 추증됨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죽산 , 인명>관인>문신
-
고(高) - 사고(史高)
중국 한(漢) 나라 선제(宣帝) 때의 외척. 대사마 거기장군(大司馬車騎將軍) 등을 지내고, 선제 황후(皇后)의 아버지인 허백(許伯)과 권력을 독점함.
?~B.C.43 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왕실>인척
-
고^설(皐^契) - 고^설(皐^卨)
중국 고대 요(堯)ㆍ순(舜) 임금의 신하인 고요(皐陶)와 설(契)을 함께 부르는 말. 충성스러운 신하를 뜻함.
고대 , 중국 , 사상>술어>관용어