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등우(鄧禹)
중국 후한(後漢) 광무제(光武帝) 때의 개국공신. 광무제를 도와 천하를 평정한 논공제일(論功第一)의 공신으로, 삼공(三公)의 하나인 대사도(大司徒)에 임명되고 고밀후(高密侯)에 봉해짐.
2~58 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등원성와(藤原醒窩)
일본 강호시대(江戶時代) 초기의 유학자로, 일본 근세 유학의 아버지. 7세 때 출가하여 선학(禪學)과 한학을 배움. 조선의 국사(國使)인 허성(許筬) 등과 교유하였고, 정유재란(丁酉再亂) 때 포로로 잡혀온 주자학자 강항(姜沆)을 만나 영향을 받음.
1561~1619 일본>강호시대 , 일본 , 인명>문사>학자
-
등유(鄧攸)
중국 남북조시대(南北朝時代) 진(晉) 나라의 문신. 난리를 만나 자식을 버리고 조카를 보존하였으나 끝내 후사를 두지 못함.
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등유설(燈油說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인 양희지(楊熙止)가 쓴 글. 그가 8․9세 정도 되었을 때 지은 글로, 등(燈)을 군주로, 유(油)를 신하로 비유해 기름으로 인해 등불이 밝혀지듯 군주는 신하로 인해 다스림을 이루어야 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문헌>작품명
-
등종량(滕宗諒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신. 천장각 대제(天章閣待制)ㆍ정언(正言)ㆍ사간(司諫) 등을 역임하였고, 범중엄(范仲淹)과 교유함.
991~1047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등진은결(登眞隱訣)
중국 남북조시대 양(梁) 나라 학자인 도홍경(陶弘景)이 지은 도교(道敎) 경전. 도교의 일상 수양 방법을 기술함.
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문헌>서명
-
등후(鄧侯)
중국 춘추전국시대(春秋戰國時代) 등(鄧) 나라의 제후. 조카인 초(楚) 나라 문왕(文王)에게 멸망당함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왕실>제후
-
마^등(馬^鄧)
중국 후한(後漢)의 명장(名將)인 복파장군(伏波將軍) 마원(馬援)의 딸로 명제(明帝)의 후비(后妃)가 된 명덕마황후(明德馬皇后)와, 명신(名臣)인 등우(鄧禹)의 손녀(孫女)로 화제(和帝)의 후비가 된 화희등황후(和熹鄧皇后)를 함께 부르는 말. 현덕(賢德)한 왕비나 왕실의 외척을 가리킴.
중국>후한 , 중국 , 사상>술어>관용어
-
마^여(馬^呂)
중국 송(宋) 나라 철종(哲宗) 때의 재상인 사마광(司馬光)과 여공저(呂公著)를 함께 부르는 말. 북송(北宋) 원우(元祐) 연간의 명신(名臣)을 가리킴.
중국>송 , 중국 , 사상>술어>관용어
-
마감산(麻甘山)
경상도 안동(安東)의 서쪽에 위치한 산 이름. 이황(李滉)의 문인인 권호문(權好文)의 묘가 있음.
경상도>안동 , 지명>자연지명
-
마계조(馬繼祖)
중국 송(宋) 나라 효종(孝宗) 때의 문신. 1490년에 진사(進士)에 입격해 남경감찰어사(南京監察御史)에 제수됨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마곡사(麻谷寺)
충청도 공주(公州)의 태화산(泰華山) 남쪽 기슭에 있는 사찰. 부여(扶餘)에 있는 고란사(皐蘭寺)의 본사(本寺)로, 640년(선덕여왕 9) 신라 고승(高僧) 자장(慈藏)이 창건하였다는 설과 통일신라 승려인 무염(無染)이 창건하였다는 설이 있음.
한국>통일신라 , 충청도>공주 , 유적>건물>사찰
-
마곡서원(磨谷書院)
조선 선조(宣祖) 때 경상도 안동(安東)에 건립한 서원. 변계손(卞秀孫)ㆍ김유용(金有庸)ㆍ이완(李完)ㆍ김생명(金生溟)ㆍ박사희(朴士熹)ㆍ유빈(柳贇)ㆍ윤의정(尹義貞)을 배향함.
1602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안동 , 유적>건물>서원,향교
-
마귀(麻貴)
중국 명(明) 나라 신종(神宗) 때의 장군. 정유재란(丁酉再亂) 때 명 나라가 파견한 조선 원병의 제독으로서, 권율(權慄)과 합세하여 도산성(島山城)을 공격하였으나 성과를 올리지 못함.
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관인>무신
-
마니산(摩尼山)
인천광역시 강화군(江華郡) 화도면(華道面)에 있는 산 이름. 두악산(頭嶽山)이라고도 부르며, 산 정상에는 단군왕검(檀君王儉)이 하늘에 제사를 지내기 위해 마련했다는 참성단(塹城壇)이 있음.
경기도>강화 , 지명>자연지명
-
마단림(馬端臨)
중국 송(宋) 말~원(元) 초의 학자. 제도와 문물사(文物史)에 관한 백과사전인 《문헌통고(文獻通考)》를 저술함.
중국>원ㅣ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마대년(馬大年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신. 유안세(劉安世)의 제자로, 영성 주부(永城主簿)를 지냄. 혹설에는 대년이 자(字)이고, 영경이 이름이라고도 함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마라난타(摩羅難陀)
백제에 최초로 불교를 전래한 인도 승려. 384년(침류왕 1) 중국의 동진(東晉)을 거쳐 백제에 들어와 불법(佛法)을 전파하고, 이듬해에 한산(漢山)에 백제 최초의 절을 건립함.
한국>백제 , 서울 , 인명>종교인>승려
-
마량(馬良)
중국 삼국(三國時代) 촉(蜀) 나라의 장군. 제갈량(諸葛亮)과 친교를 맺었음. 오형제 중에서 재능이 가장 뛰어났으며 백미(白眉)라는 고사성어에 나오는 인물.
187~222 중국>삼국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무신
-
마렵연(馬鬣淵)
황해도 장련(長連)에 있는 못 이름. 구월산(九月山) 중턱에서 흘러나와서 부연(釜淵), 요연(腰淵)과 합쳐져 서쪽 바다로 흘러들어감.
황해도>장련 , 지명>자연지명