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고구만(高九萬) - 고저(高翥)
중국 송(宋) 나라의 시인. 관직에 나아가는 것을 포기하고 은거하며 시를 지음. 저서로 《국간집(菊澗集)》이 있으나 전하지 않고, 후손 고사기(高士奇)가 유고집 《신천소유고(信天巢遺稿)》를 간행함.
1170~1241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
-
고군자(古君子) - 소송(蘇頌)
중국 송(宋) 나라 인종(仁宗)~철종(哲宗) 때의 문신ㆍ학자. 우복야 겸 중서시랑(右僕射兼中書侍郞) 등을 지냈으며, 경사(經史)와 제자백가(諸子百家)는 물론 여러 분야에 능통하였고, 특히 의약학(醫藥學)과 천문학(天文學) 분야에 크게 공헌함.
1020~1101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고궁(高宮) - 태조왕(太祖王)
고구려 제6대 왕. 재위 53~146. 유리왕(瑠璃王)의 손자로, 영토확장 및 중앙집권적 형태의 체제 정비를 통해 국가발전의 기틀을 마련하였으며, 이때부터 계루부(桂婁部)의 왕위계승이 확립됨.
47~165 한국>고구려 , 평안도>평양 , 인명>왕실>국왕
-
고균비구(古鈞比丘) - 덕이(德異)
중국 원(元) 나라의 승려(僧侶). 완산 정응(脘山正凝) 선사의 법을 이었으며, 고려 충렬왕(忠烈王) 때 고려의 고승들과 주고받은 서함이 많음.
1231~1308 중국>원 , 중국 , 인명>종교인>승려
-
고달부(高達夫) - 고홍달(高弘達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학자. 본관은 제주(濟州)로, 성주 통판(星州通判) 고현(高晛)의 아들. 인조반정(仁祖反正) 후 유일(遺逸)로 천거되었으나 곧 물러나 부안(扶安)에 은거하여 학문에 몰두하였고, 권필(權韠)과 교유하였음.
1575~1644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부안 , 인명>문사>학자
-
고담(姑潭) - 고모담(姑母潭)
경기도 개성(開城)에 있는 못 이름. 박연폭포(朴淵瀑布) 아래에 있으며 지름 40m 정도의 연못.
경기도>개성 , 지명>자연지명
-
고담(孤潭) - 이순인(李純仁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전의(全義). 이중호(李仲虎)ㆍ이황(李滉)ㆍ조식(曺植)의 문인으로, 이이(李珥) 등과 교유하였으며, 특히 문장에 뛰어나 당시 이산해(李山海) 등과 함께 ‘팔문장(‘八文章)’으로 불림. 광해군(光海君) 때 위성공신(衛聖功臣)에 책록됨.
1533~1592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고담(高湛) - 무성제(武成帝)
중국 남북조시대 북제(北齊)의 제4대 왕. 재위 561~565. 무능하고 국사를 돌보지 않음. 565년 후주(後主)에게 계위(繼位)시키고는 태상왕(太上王)으로 있다가 주색(酒色)에 빠져 32세에 죽음.
537~568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고당(苽堂) - 김종유(金宗裕)
조선 단종(端宗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선산(善山). 김종직(金宗直)의 형으로 청송 교수(靑松敎授)를 지냄.
1429~?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밀양 , 인명>관인>문신
-
고당(高唐) - 요당(堯唐)
중국 고대의 임금인 도당씨(陶唐氏) 요(堯)가 다스리던 나라. 희화(羲和) 등에게 명하여 역법(曆法)을 정하게 하고, 순(舜)을 등용하여 천하의 정치를 섭정하게 함. 중국 역사에서 이상적인 태평시대로 꼽힘.
고대 , 중국 , 시간>국명
-
고덕(古德) - 가산(嘉山)
평안도에 있는 고을 이름. 박천(博川)ㆍ정주(定州)ㆍ태천(泰川)과 접해 있으며, 1811년(순조 11) 이곳에서 홍경래(洪景來)의 난이 일어남.
평안도>가산 , 지명>행정지명
-
고덕창(古德昌) - 박천(博川)
평안도 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. 조선 태종(太宗) 때 이름을 박천(博川)으로 고치고, 세조(世祖) 때 일시 폐하였다가 복구함.
평안도>박천 , 지명>행정지명
-
고도(古島) - 거문도(巨文島)
전라도 순천(順天)에 속하는 다도해(多島海) 최남단의 섬. 1885년(고종 22)에 영국이 러시아의 남하를 막는다는 구실로 이곳을 불법 점령한 거문도 사건이 있었음. 현재 전라남도 여수시(麗水市)에 속함.
전라도>순천 , 지명>자연지명
-
고도충(高道冲) - 고종후(高從厚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의병장. 본관은 장흥(長興). 의병장 고경명(高敬命)의 아들로, 임피 현령(臨陂縣令) 등을 지냄.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종군하여 의병장으로 활약하다 진주성(晉州城)이 함락될 때 남강(南江)에 투신하여 죽음.
1554~1593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관인>문신
-
고동래(高東萊) - 고경명(高敬命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인ㆍ의병장. 본관은 장흥(長興)으로, 대사간 고맹영(高孟英)의 아들. 동래 부사(東萊府使) 등을 지내다가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광주(光州)에서 모집한 의병 육천여 명을 이끌고 금산(錦山) 싸움에서 왜군과 싸우다가 전사함.
1533~1592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관인>문신
-
고란사(高蘭寺) - 고란사(皐蘭寺)
백제 때 충청남도 부여(扶餘) 부소산(扶蘇山)에 건립된 절. 마곡사(麻谷寺)의 말사. 백제의 멸망과 함께 소실된 것을 고려시대에 중창함. 절 뒤뜰 바위 틈에 희귀한 고란초(皐蘭草)가 자생함.
한국>백제 , 충청도>부여 , 유적>건물>사찰
-
고려(高麗)@고구려 - 고구려(高句麗)
고대의 삼국 가운데 동명왕(東明王) 주몽(朱蒙)이 기원전 37년에 세운 국가. 기원(紀元) 전후 무렵에 졸본(卒本) 지방에서 일어나 한반도 북부와 만주(滿洲) 일대를 지배하였으며, 동명왕부터 보장왕(寶藏王)까지 28대 705년간 존속함.
B.C.37~A.D.668 한국>고구려 , 시간>국명
-
고려강(高麗江) - 두만강(豆滿江)
백두산(白頭山)에서 발원하여 한반도 북동부 지역을 거쳐 동해로 흘러드는 강 이름. 우리나라에서 두 번째로 긴 강.
함경도>회령ㅣ함경도>온성ㅣ함경도>경흥ㅣ함경도>경원 , 지명>자연지명
-
고려본사(高麗本史) - 고려사(高麗史)
조선 세종(世宗) 때 김종서(金宗瑞)ㆍ정인지(鄭麟趾) 등이 교지(敎旨)를 받들어 편찬을 시작하여 문종(文宗) 때 완성된 고려시대에 관한 역사책. 총 139권.
1451 한국>조선전기 , 문헌>서명
-
고려장성(高麗長城) - 천리장성(千里長城)
고구려 말기와 고려 덕종(德宗) 때 서북 국경에 건립된 장성. 고구려 말에 당(唐) 나라의 침입을 막기 위해 요동(遼東) 지방에 쌓은 토축성이 있고, 고려 덕종 때 북방 유목민족의 침입을 막기 위해 압록강(鴨綠江) 어귀로부터 함경도 동해안에 이르는 1000여 리에 쌓은 석축성이 있음.
한국>고려시대ㅣ한국>고구려 , 중국 , 유적>시설>성,진,책