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고려정(高麗亭) - 통파정(通波亭)
중국 송(宋) 나라 원풍(元豊) 연간에 강소성(江蘇省) 소주(蘇州)의 고소성(姑蘇城) 근처에 세운 누정(樓亭). 고려에서 온 사신들을 접대하던 곳.
중국>송 , 중국 , 유적>건물>누정
-
고려조(高麗朝) - 고려(高麗)
왕건(王建)이 태봉(泰封)의 궁예(弓裔)를 추방하고 개성(開城)에 도읍하여 세운 나라. 태조(太祖)에서 공양왕(恭讓王)까지 34대 475년간 존속.
918~1392 한국>고려시대 , 시간>국명
-
고려천리장성(高麗千里長城) - 천리장성(千里長城)
고구려 말기와 고려 덕종(德宗) 때 서북 국경에 건립된 장성. 고구려 말에 당(唐) 나라의 침입을 막기 위해 요동(遼東) 지방에 쌓은 토축성이 있고, 고려 덕종 때 북방 유목민족의 침입을 막기 위해 압록강(鴨綠江) 어귀로부터 함경도 동해안에 이르는 1000여 리에 쌓은 석축성이 있음.
한국>고려시대ㅣ한국>고구려 , 중국 , 유적>시설>성,진,책
-
고려태조십훈요(高麗太祖十訓要) - 훈요십조(訓要十條)
고려 태조(太祖)가 자손들에게 내린 열 가지 유훈(遺訓). 943년(태조 26) 4월에 박술희(朴述熙)를 통하여 전했으며, 주로 왕실의 안녕을 위해 지켜야 할 일을 담고 있음.
943 한국>고려전기 , 경기도>개성 , 법제>법률
-
고렴(古廉) - 이무(李懋)
중국 명(明) 나라 성조(成祖)~경제(景帝) 때의 문신. 《영락대전(永樂大典)》 등의 편찬에 참가하고 국자 좨주(國子祭酒) 등을 지냄.
1374~1450 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고령(高靈)@신숙주 - 신숙주(申叔舟)
조선 세종(世宗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ㆍ학자. 훈민정음(訓民正音) 창제에 큰 공을 세웠으며, 계유정난(癸酉靖難)에 참여한 공(功) 등으로 정난공신(靖難功臣)ㆍ좌익공신(佐翼功臣)ㆍ익대공신(翊戴功臣)ㆍ좌리공신(佐理功臣) 등에 책록됨.
1417~1475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고령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고령군(高靈君) - 신숙주(申叔舟)
조선 세종(世宗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ㆍ학자. 훈민정음(訓民正音) 창제에 큰 공을 세웠으며, 계유정난(癸酉靖難)에 참여한 공(功) 등으로 정난공신(靖難功臣)ㆍ좌익공신(佐翼功臣)ㆍ익대공신(翊戴功臣)ㆍ좌리공신(佐理功臣) 등에 책록됨.
1417~1475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고령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고령부원군(高靈府院君)@신장 - 신장(申檣)
조선 태종(太宗)~세종(世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고령(高靈)으로, 영의정을 지낸 신숙주(申叔舟)의 아버지. 《정종실록(定宗實錄)》편찬에 참여하고, 유학(儒學)에 조예가 깊고 서예에도 능함.
1382~1433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고령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고령부원군(高靈府院君) - 신숙주(申叔舟)
조선 세종(世宗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ㆍ학자. 훈민정음(訓民正音) 창제에 큰 공을 세웠으며, 계유정난(癸酉靖難)에 참여한 공(功) 등으로 정난공신(靖難功臣)ㆍ좌익공신(佐翼功臣)ㆍ익대공신(翊戴功臣)ㆍ좌리공신(佐理功臣) 등에 책록됨.
1417~1475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고령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고령선생(高靈先生) - 진양(陳襄)
중국 송(宋) 인종(仁宗)~신종(神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당시 개혁정치를 펼쳤던 왕안석(王安石)을 귀양 보내고자 하였으나 도리어 폄직됨. 고인들의 언행을 본받고, 가는 곳마다 학교를 세워 민간의 이익을 강구함.
1017~1080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고로(杲老) - 종고(宗杲)
중국 송(宋) 나라의 승려. 속성은 해씨(奚氏). 임제종(臨濟宗) 승려로 동산(東山) 혜운사(慧雲寺)의 혜제(慧齊)에게서 득도(得道)하여 구족계를 받고, 원오선사(圓悟禪師)의 법을 전해 받음.
?~1163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종교인>승려
-
고룡(古龍) - 남원(南原)
전라북도 남동부에 있는 고을 이름. 호남과 영남을 잇는 교통의 요지임.
전라도>남원 , 지명>행정지명
-
고릉(高陵) - 공양왕(恭讓王)
고려 제34대 왕. 재위 1389~1392. 고려의 마지막 왕으로, 이성계(李成桂) 등에 의해 왕으로 옹립되었으나 폐위된 후 삼척부(三陟府)에서 사사됨.
1345~1394 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왕실>국왕
-
고리자(苦李子) - 옥매(玉梅)
장미과(薔薇科)의 낙엽관목(落葉灌木). 설중사우(雪中四友)의 하나로, 흰 꽃이 피며 정원수(庭園樹)로 많이 심음.
자연물>식물
-
고림(高林) - 교동(喬桐)
경기(京畿)에 위치한 고을 이름. 현재 인천시 강화(江華) 서북쪽에 있는 섬 지역임.
경기도>교동 , 지명>행정지명
-
고림군(高林君) - 이훈(李薰)@이친의아들
조선 전기의 종친. 태종(太宗)의 아들인 효령대군(孝寧大君)의 손자. 서원군(瑞原君) 이친(李𡩁)의 아들로, 고림군(高林君)에 추증됨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고림정(高林正) - 이훈(李薰)@이친의아들
조선 전기의 종친. 태종(太宗)의 아들인 효령대군(孝寧大君)의 손자. 서원군(瑞原君) 이친(李𡩁)의 아들로, 고림군(高林君)에 추증됨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고만(高巒) - 이산해(李山海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종계변무(宗系辨誣)의 공으로 광국공신(光國功臣)에 책록됨. 대북(大北)의 영수로, 건저문제(建儲問題)를 일으킨 정철(鄭澈)을 탄핵하고, 임진왜란 때 유배되었다가 복직된 뒤 영의정 등을 지냄.
1539~1609 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한산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고명(誥命) - 서경(書經)
유교 경전(儒敎經典)인 오경(五經)의 하나로,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역사서. 당우(唐虞) 삼대(三代)에 걸친 중국 고대의 기록임. 58편.
중국 , 문헌>서명
-
고명칠신(顧命七臣) - 유교칠신(遺敎七臣)
조선 선조(宣祖)의 유언으로 영창대군(永昌大君)의 보호를 부탁받은 7명의 신하. 유영경(柳永慶)ㆍ한응인(韓應寅)ㆍ박동량(朴東亮)ㆍ서성(徐渻)ㆍ신흠(申欽)ㆍ허성(許筬)ㆍ한준겸(韓浚謙)을 가리킴.
한국>조선후기 , 인명>집단>기타집단