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고목근(高木根) - 교동(喬桐)
경기(京畿)에 위치한 고을 이름. 현재 인천시 강화(江華) 서북쪽에 있는 섬 지역임.
경기도>교동 , 지명>행정지명
-
고묘(高廟)@태조 - 태조(太祖)@명
중국 명(明) 나라 제1대 황제. 재위 1368~1398. 원(元) 나라를 몽골로 몰아내고 중국을 통일한 후 한민족(漢民族)의 왕조를 회복시키고, 아울러 중앙집권적 독재체제의 구축을 꾀함.
1328~1398 중국>명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고묘(高廟) - 고조(高祖)@전한
중국 전한(前漢)의 제1대 황제. 재위 B.C.202~B.C.195. 항우(項羽)와 패권을 다투었으며, 천하통일의 대업을 이룩함.
B.C.247?~B.C.195 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고문(古文) - 고문진보(古文眞寶)
중국 송(宋) 나라의 학자인 황견(黃堅)이 편찬했다는 책. 주대(周代)부터 송대(宋代)에 이르는 고시(古詩)ㆍ고문(古文)의 명문만을 뽑아 엮은 시문선집(詩文選集). 전집(前集) 10권, 후집(後集) 10권으로 구성됨.
중국>송 , 중국 , 문헌>서명
-
고문부흥운동(古文復興運動) - 고문운동(古文運動)
중국 당(唐)ㆍ송(宋) 때 부화(浮華)한 사륙변려문(四六騈儷文)을 배척하고 질박(質朴)한 선진(先秦)ㆍ양한(兩漢)의 고문(古文)을 부흥시키고자 한 운동. 당(唐)의 한유(韓愈)와 송(宋)의 구양수(歐陽脩)가 대표인물임.
중국>송ㅣ중국>당 , 중국 , 사상>기법>방법
-
고문선(古文選) - 문선(文選)
중국 남북조시대 양(梁) 나라의 소통(蕭統)이 양 나라 이전 문인들의 명작 800여 편을 모아 엮은 책. 30권. 중국의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시문총집(詩文總集).
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문헌>서명
-
고문훈(古文訓) - 서고문훈(書古文訓)
중국 송(宋) 나라의 사공파(事功派) 학자인 설계선(薛季宣)이 지은 책. 《상서(尙書)》에 나오는 지명을 풀이하는 것이 주요 내용임.
중국>송 , 중국 , 문헌>서명
-
고미(古微) - 신무왕(神武王)
신라 제45대 왕. 재위 839년. 원성왕(元聖王)의 증손이며 희강왕(僖康王)의 종제(從弟). 839년(민애왕 2)에 장보고(張保皐)의 지원을 받아 왕위에 올랐으나 같은 해 7월에 병사함.
?~839 한국>통일신라 , 경상도>경주 , 인명>왕실>국왕
-
고밀(高密) - 정현(鄭玄)
중국 후한(後漢)의 학자. 장공조(張恭祖)ㆍ마융(馬融) 등을 사사하고 고향으로 돌아와 연구와 교육에 진력함. 경학(經學)을 집대성하고 고대의 역사문헌을 정리하는 데 크게 공헌함.
127~200 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고밀후(高密侯) - 등우(鄧禹)
중국 후한(後漢) 광무제(光武帝) 때의 개국공신. 광무제를 도와 천하를 평정한 논공제일(論功第一)의 공신으로, 삼공(三公)의 하나인 대사도(大司徒)에 임명되고 고밀후(高密侯)에 봉해짐.
2~58 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고반(考槃) - 남언기(南彦紀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의령(宜寧). 김인후(金麟厚)ㆍ이황(李滉)의 문인(門人). 선조(宣祖) 초 영의정 이탁(李鐸)의 천거로 동몽교관(童蒙敎官)ㆍ빙고별좌(氷庫別坐)에 임명됨.
1534~?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동복ㅣ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고봉(孤峯) - 김정(金淨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조광조(趙光祖)와 함께 정치개혁에 힘썼으나 기묘사화(己卯士禍)로 유배되었다가 신사무옥(辛巳誣獄)으로 인해 사사(賜死)됨.
1486~1521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고봉(高峯)@기대승 - 기대승(奇大升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학자. 이황(李滉)의 문인으로, 이황과 8년 동안 사단칠정(四端七情) 논쟁을 벌임으로써 조선 유학사상에 큰 영향을 끼침.
1527~1572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나주ㅣ전라도>광산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고봉(高峯)@김정국 - 김정국(金正國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학자ㆍ문신. 본관은 의성(義城). 김굉필(金宏弼)의 문인이며 김안국(金安國)의 동생으로, 성리학에 조예가 깊음. 기묘사화(己卯士禍)로 삭탈관직되었다가 복직됨.
1485~1541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고양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고봉(高峯) - 고양(高陽)
경기도 중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. 1413년(태종 13)에 고봉(高峯)과 덕양(德陽)의 이름을 따서 고양(高陽)이라 부름.
경기도>고양 , 지명>행정지명
-
고봉(高峯)@장세필 - 장세필(張世弼)
조선 전기의 유학. 가난한 살림에도 반드시 술과 고기를 갖추어 어머니를 섬긴 인물로, 남효온(南孝溫)과 교유하였음이 《추강집(秋江集)》에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고양 , 인명>문사>유학
-
고봉(高峰) - 법장(法藏)
고려 말 조선 초의 승려. 본관은 신주(愼州). 나옹(懶翁) 혜근(惠勤)에게서 법(法)을 이어받았으며, 송광사를 복원(復元)함. 수선사(修禪寺) 16국사(國師) 중 제16세를 지냄.
1350~1428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황해도>신천 , 인명>종교인>승려
-
고봉선생문집(高峯先生文集) - 고봉집(高峯集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학자인 기대승(奇大升)의 문집. 1629년(인조 7) 기대승의 손서(孫婿)인 조찬한(趙纘韓)이 선산 부사(善山府使)로 있을 때 목판 3권 3책으로 간행함.
1629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선산 , 문헌>서명
-
고봉자(高峯子) - 기대승(奇大升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학자. 이황(李滉)의 문인으로, 이황과 8년 동안 사단칠정(四端七情) 논쟁을 벌임으로써 조선 유학사상에 큰 영향을 끼침.
1527~1572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나주ㅣ전라도>광산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고봉정(孤峰亭) - 고봉정사(孤峰精舍)
조선 후기에 구봉우(具鳳羽)가 충청도 보은(報恩)에 세운 정사(精舍). 삼파연류봉(三派連溜峯) 정상에 있던 고봉정(孤峰亭)을 옮김.
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보은 , 유적>건물>누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