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고수서(孤樹書) - 고수부담(孤樹裒談)
중국 명(明) 나라의 이묵(李默)이 홍무(洪武) 연간에서 정덕(正德) 연간에 이르는 명 나라의 사적(事蹟)을 정리한 책. 일부에서는 조가여(趙可與)의 저서로 알려짐.
중국>명 , 중국 , 문헌>서명
-
고숙명(高叔明) - 고응척(高應陟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학자ㆍ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으로, 김범(金範)의 문인. 《대학(大學)》의 여러 편을 시조로 읊어 교훈시를 만드는 등 사상적 체계를 시(詩)ㆍ부(賦)ㆍ가(歌)ㆍ곡(曲) 등으로 표현함.
1531~1605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선산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고숭걸(高嵩傑) - 고숭걸(高崇傑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학자. 본관은 고성(高城)으로, 정여창(鄭汝昌)의 문인(門人).
한국>조선전기 , 함경도>종성 , 인명>문사>학자
-
고승전(高僧傳) - 해동고승전(海東高僧傳)
고려 고종(高宗) 때의 승려인 각훈(覺訓)이 편찬한 여러 고승(高僧)들의 전기. 완본(完本)이 전하지 않아 정확한 권수와 간행 연대를 알 수 없음.
1215 한국>고려후기 , 문헌>서명
-
고시산(古尸山) - 옥천(沃川)
충청북도 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. 옥천향교(沃川鄕校)ㆍ청산향교(靑山鄕校) 등의 사적이 남아 있음.
충청도>옥천 , 지명>행정지명
-
고신(高辛) - 제곡(帝嚳)
중국 고대 전설상의 국왕. 오제(五帝) 중의 한 사람으로, 셋째 아내 경도(慶都)가 요(堯)를 낳았으며 150세까지 살았다고 전해짐.
고대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기타인물
-
고신연주지사(孤臣戀主之詞) - 충신연주지사(忠臣戀主之詞)
임금을 그리워하는 신하의 정을 애절하게 읊은 내용의 시가(詩歌). 정서(鄭敍)의 〈정과정곡(鄭瓜亭曲)〉과 정철(鄭澈)의 〈사미인곡(思美人曲)〉ㆍ〈속미인곡(續美人曲)〉 등이 대표적임.
사상>술어>핵심어
-
고심(古心) - 윤근수(尹根壽)
조선 명종(明宗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윤두수(尹斗壽)의 아우이며, 이황(李滉)의 문인(門人)으로, 선조(宣祖) 때 종계변무(宗系辨誣)의 공으로 광국공신(光國功臣)에 책록되고, 임진왜란 때 국난극복에 힘써 호성공신(扈聖功臣)에 책록됨.
1537~1616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선산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고씨(高氏) - 고구려(高句麗)
고대의 삼국 가운데 동명왕(東明王) 주몽(朱蒙)이 기원전 37년에 세운 국가. 기원(紀元) 전후 무렵에 졸본(卒本) 지방에서 일어나 한반도 북부와 만주(滿洲) 일대를 지배하였으며, 동명왕부터 보장왕(寶藏王)까지 28대 705년간 존속함.
B.C.37~A.D.668 한국>고구려 , 시간>국명
-
고안(孤雁) - 포당(鮑當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신ㆍ시인. 호주지사(湖州知事) 등을 지내고 시(詩)에 뛰어났으며, 저서로 《청풍집(淸風集)》을 남김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고안(高安) - 균주(筠州)
중국 강서성(江西省) 서주부(瑞州府)에 있는 고을 이름. 고안현(高安縣)이라고도 불리며, 송(宋) 나라 신종(神宗) 때 소식(蘇軾)의 동생인 소철(蘇轍)이 이곳으로 좌천된 일이 있음.
중국 , 지명>행정지명
-
고안부정(高安副正) - 이정(李精)
조선 전기의 종친. 효령대군(孝寧大君)의 증손(曾孫)으로, 물거군(勿巨君) 이철(李徹)의 아들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고안정(高安正) - 이정(李精)
조선 전기의 종친. 효령대군(孝寧大君)의 증손(曾孫)으로, 물거군(勿巨君) 이철(李徹)의 아들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고안후(高安侯) - 동현(董賢)
중국 전한(前漢) 때의 문신. 애제(哀帝)의 총애를 받아 권력을 휘두르다 애제가 죽은 후 자살함.
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고암(古巖) - 천긍(天亘)
고려 말~조선 초의 승려. 각운(覺雲)의 제자로, 스승에게서 '고암(古巖)'이란 호를 받음.
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인명>종교인>승려
-
고암(考巖) - 주돈이(周敦頤)
중국 송(宋) 나라의 유학자. 정호(程顥)ㆍ정이(程頤) 형제의 스승으로, 도가사상(道家思想)의 영향을 받아 새로운 유교이론을 창시함. 저서에 《태극도설(太極圖說)》ㆍ《통서(通書)》등이 있음.
1017~1073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고암(顧庵)@홍순복 - 홍순복(洪順福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남양(南陽). 홍석복(洪碩福)의 형이고 김식(金湜)의 문인으로, 기묘명현(己卯名賢)의 한 사람. 기묘사화 때 성균관 유생들과 함께 대궐문을 막고 저항하였다가 이듬해 이신(李信)의 밀고로 붙잡혀 사사됨.
1492~1520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남원 , 인명>문사>유학
-
고암(顧庵) - 정윤희(丁胤禧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좌찬성을 지낸 정응두(丁應斗)의 아들로, 이황(李滉)의 문인. 문장이 뛰어났고, 특히 사륙문(四六文)에 능하여 홍문관(弘文館)과 예문관(藝文館)의 서책을 많이 찬술하였음.
1531~1589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고암(顧菴) - 홍순복(洪順福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남양(南陽). 홍석복(洪碩福)의 형이고 김식(金湜)의 문인으로, 기묘명현(己卯名賢)의 한 사람. 기묘사화 때 성균관 유생들과 함께 대궐문을 막고 저항하였다가 이듬해 이신(李信)의 밀고로 붙잡혀 사사됨.
1492~1520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남원 , 인명>문사>유학
-
고암(高巖) - 영사(寧師)
고려 말~조선 초의 승려. 원천석(元天錫)과 교유하여 《운곡행록(耘谷行錄)》에 서권(書卷)이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인명>종교인>승려