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고위(高緯) - 후주(後主)@남북조(북제)
중국 남북조시대 북제(北齊)의 제5대 왕. 재위 565~577. 무성제(武成帝)위 뒤를 이어 왕이 되었으나 결국 나라가 망하게 됨.
?~577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고유(高劉) - 고국원왕(故國原王)
고구려 제16대 왕. 재위 331~371. 미천왕(美川王)의 아들로, 전연(前燕)과 대립하다가 국내성(國內城)을 잃고 수도를 동황성(東黃城)으로 옮김. 371년 평양성(平壤城)에서 백제 근초고왕(近肖古王)을 맞아 싸우다가 전사함.
?~371 한국>고구려 , 평안도>평양 , 인명>왕실>국왕
-
고은(古隱) - 영양(英陽)
경상도 북동부에 있는 고을 이름.
경상도>영해 , 지명>행정지명
-
고은(孤隱)@송세림 - 송세림(宋世琳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여산(礪山). 송연손(宋演孫)의 아들로, 교리(校理) 등을 지냄. 그림과 글씨에 모두 뛰어났으며, 저서로 《어면순(禦眠楯)》이 있음.
1479~?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여산 , 인명>관인>문신
-
고은(孤隱) - 이지활(李智活)
조선 문종(文宗)~단종(端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성주(星州). 세조(世祖)가 단종의 왕위를 찬탈하자 거창(居昌)의 박유산(朴儒山)에 은거하였으며, 단종의 승하 소식을 듣고 통곡하다 죽음.
1434~?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거창 , 인명>관인>문신
-
고은(皐隱) - 안지(安止)
조선 태종(太宗)~세조(世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탐진(耽津). 찬성(贊成) 안사종(安士宗)의 아들로, 1445년(세종 27) 권제(權踶)ㆍ정인지(鄭麟趾) 등과 함께 〈용비어천가(龍飛御天歌)〉를 지었으며, 시(詩)ㆍ서(書)에 능하였음.
1377~1464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강진 , 인명>관인>문신
-
고은당(高隱堂) - 김치만(金致萬)
조선 경종(景宗)~영조(英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청풍(淸風). 자신의 딸과 영조의 조카 이온(李縕)과의 혼인을 반대하다가 파직되고 투옥됨. 시직(侍稷)을 역임함.
1697~1753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고이련(高伊連) - 고국양왕(故國壤王)
고구려 제18대 왕. 재위 384~391. 소수림왕(小獸林王)의 동생이자 광개토왕(廣開土王)의 아버지. 요동(遼東)과 백제를 정벌하여 국토를 넓히고, 불교를 발전시켰으며 국사(國社)를 세우고 종묘(宗廟)를 수리하는 등 국가체제 확립에 기여함.
?~391 한국>고구려 , 평안도>평양 , 인명>왕실>국왕
-
고이속(高伊速) - 고국양왕(故國壤王)
고구려 제18대 왕. 재위 384~391. 소수림왕(小獸林王)의 동생이자 광개토왕(廣開土王)의 아버지. 요동(遼東)과 백제를 정벌하여 국토를 넓히고, 불교를 발전시켰으며 국사(國社)를 세우고 종묘(宗廟)를 수리하는 등 국가체제 확립에 기여함.
?~391 한국>고구려 , 평안도>평양 , 인명>왕실>국왕
-
고이순(高而順) - 고경명(高敬命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인ㆍ의병장. 본관은 장흥(長興)으로, 대사간 고맹영(高孟英)의 아들. 동래 부사(東萊府使) 등을 지내다가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광주(光州)에서 모집한 의병 육천여 명을 이끌고 금산(錦山) 싸움에서 왜군과 싸우다가 전사함.
1533~1592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관인>문신
-
고자(皐子) - 고어(皐魚)
중국 주(周) 나라의 효자. 어머니가 죽자 봉양(奉養)을 하고 싶어도 할 수 없는 상황을 슬퍼하며 울었다는 고사에서 ‘풍수지탄(風樹之嘆)’이란 말이 유래함.
중국>주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효자
-
고자룡(高子龍) - 고한운(高翰雲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고응척(高應陟)의 아들로, 1585년(선조 18) 문과(文科)에 장원급제하여 부안 현감(扶安縣監)을 지냄.
1552~1601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선산 , 인명>관인>문신
-
고자평(高自平) - 고용현(高用賢)
고려 충숙왕(忠肅王)~공민왕(恭愍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제주(濟州). 문하시중(門下侍中)을 지낸 고경(高慶)의 아들로, 정몽주(鄭夢周)ㆍ이색(李穡)과 교유하였음.
1302~1368 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옥구 , 인명>관인>문신
-
고장(高臧) - 보장왕(寶藏王)
고구려 제28대 마지막 왕. 재위 642~668. 연개소문(淵蓋蘇文)의 추대로 왕위에 올랐으나, 나당(羅唐) 연합군에 패하여 당 나라로 압송된 뒤 고구려의 부흥을 도모하다 실패함.
?~682 한국>고구려 , 평안도>평양 , 인명>왕실>국왕
-
고장(高藏) - 보장왕(寶藏王)
고구려 제28대 마지막 왕. 재위 642~668. 연개소문(淵蓋蘇文)의 추대로 왕위에 올랐으나, 나당(羅唐) 연합군에 패하여 당 나라로 압송된 뒤 고구려의 부흥을 도모하다 실패함.
?~682 한국>고구려 , 평안도>평양 , 인명>왕실>국왕
-
고장강(顧長康) - 고개지(顧愷之)
중국 남북조시대 동진(東晉)의 화가. 중국 회화사상 인물화(人物畫)의 최고봉으로 알려짐.
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예술인>서화가
-
고저(古樗) - 찬영(粲英)
고려 충정왕(忠定王)~공양왕(恭讓王) 때의 승려. 사복시 직장(司僕寺直長) 한적(韓績)의 아들이고, 보우(普愚)의 제자. 공민왕(恭愍王) 때 양가도승록(兩街都僧錄)이 되고, 우왕(禑王) 때 왕사(王師)가 되었으며, 사후에 국사(國師)의 시호를 받음.
1328~1390 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양주 , 인명>종교인>승려
-
고절령(高節嶺) - 고절령(高絶嶺)
경상남도 거제(巨濟)에 있는 고개 이름.
경상도>거제 , 지명>자연지명
-
고정(古亭) - 김치인(金致仁)
조선 영조(英祖)~정조(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청풍(淸風). 영의정 김재로(金在魯)의 아들로, 여러 번 영의정을 지내며 정조의 명으로 당쟁의 조정에 힘씀. 전고(典故)에 정통하여 1785년(정조 9)에 《대전통편(大典通編)》 편찬을 주관함.
1716~1790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고정(考亭) - 주희(朱熹)
중국 송(宋) 나라의 유학자. 송대(宋代) 유학자들의 학설을 집성 정리해서 공전(空前)의 사변철학(思辨哲學)과 실천윤리(實踐倫理)의 체계를 확립하여 성리학(性理學)을 집대성함. 《사서집주(四書集注)》등 많은 저서가 있음.
1130~1200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