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가댁(可宅) - 정극인(丁克仁)
조선 문종(文宗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영광(靈光). 최초의 가사(歌辭) 작품인 〈상춘곡(賞春曲)〉을 지음. 단종(端宗)이 왕위를 빼앗기자 벼슬을 버리고 낙향하여 후진을 가르침.
1401~1481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태인ㅣ경기도>광주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가도(可度) - 안견(安堅)
조선 세종(世宗)~세조(世祖) 때의 화가. 본관은 지곡(池谷). 안평대군(安平大君)의 후원을 받았으며, 몽유도원도(夢遊桃源圖)를 그림. 산수화에 뛰어나 곽희파(郭熙派) 화풍을 토대로 한국적인 화풍을 완성하며 일본 실정시대(室町時代)의 수묵화에까지 영향을 미침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예술인>서화가
-
가도(可道) - 풍도(馮道)
중국 당(唐)~오대십국(五代十國) 때의 문신ㆍ학자. 유교경전(儒敎經典)을 최초로 조판ㆍ인쇄하는 등 대학자로 존경받았으나, 다섯 왕조에서 열한 명의 황제를 모셨다 하여 충절을 의심받기도 함.
882~954 중국>오대십국ㅣ중국>당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가등호지조(加藤虎之助) - 가등청정(加藤淸正)
일본 도산시대(桃山時代)~강호시대(江戶時代)의 무장(武將). 풍신수길(豊臣秀吉)과 덕천가강(德川家康)을 도와 일본 전국 통일에 기여함. 독실한 불교신자여서 기독교 박해에도 주도적인 역할을 함.
1562~1611 일본>강호시대ㅣ일본>도산시대 , 일본 , 인명>관인>무신
-
가라(伽羅) - 가야(伽倻)
기원(紀元) 전후 무렵부터 6세기 중반까지 낙동강(洛東江) 하류 지역에 존재하던 세력집단 또는 국가들의 총칭(總稱). 562년에 대가야(大伽倻)를 마지막으로 신라에 병합됨.
?~562 한국>가야 , 시간>국명
-
가라(加羅) - 가야(伽倻)
기원(紀元) 전후 무렵부터 6세기 중반까지 낙동강(洛東江) 하류 지역에 존재하던 세력집단 또는 국가들의 총칭(總稱). 562년에 대가야(大伽倻)를 마지막으로 신라에 병합됨.
?~562 한국>가야 , 시간>국명
-
가라국(加羅國) - 가야(伽倻)
기원(紀元) 전후 무렵부터 6세기 중반까지 낙동강(洛東江) 하류 지역에 존재하던 세력집단 또는 국가들의 총칭(總稱). 562년에 대가야(大伽倻)를 마지막으로 신라에 병합됨.
?~562 한국>가야 , 시간>국명
-
가라홀(加羅忽) - 간성(杆城)
강원도 북동부에 있는 고을 이름. 관동팔경(關東八景)의 하나인 청간정(淸磵亭)이 있음.
강원도>간성 , 지명>행정지명
-
가락(駕洛)@가야 - 가야(伽倻)
기원(紀元) 전후 무렵부터 6세기 중반까지 낙동강(洛東江) 하류 지역에 존재하던 세력집단 또는 국가들의 총칭(總稱). 562년에 대가야(大伽倻)를 마지막으로 신라에 병합됨.
?~562 한국>가야 , 시간>국명
-
가락(駕洛) - 김해(金海)
경상남도 동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. 고대에 가락국(駕洛國)의 도읍지였음.
경상도>김해 , 지명>행정지명
-
가락가야(駕洛伽倻) - 김해(金海)
경상남도 동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. 고대에 가락국(駕洛國)의 도읍지였음.
경상도>김해 , 지명>행정지명
-
가락국(駕洛國) - 가야(伽倻)
기원(紀元) 전후 무렵부터 6세기 중반까지 낙동강(洛東江) 하류 지역에 존재하던 세력집단 또는 국가들의 총칭(總稱). 562년에 대가야(大伽倻)를 마지막으로 신라에 병합됨.
?~562 한국>가야 , 시간>국명
-
가락군(駕洛君)@허염 - 허염(許琰)
고려 문종(文宗) 때의 문신. 김해허씨(金海許氏)의 시조. 가락국(駕洛國) 수로왕비(首露王妃)인 허황후(許皇后)의 35세손으로, 삼중대광(三重大匡)을 지내고 가락군(駕洛君)에 봉해짐.
한국>고려전기 , 경상도>김해 , 인명>관인>문신
-
가락군(駕洛君) - 배사혁(裵斯革)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은 김해(金海). 개국공신 배현경(裵玄慶)의 후손으로, 병부 상서(兵部尙書)를 지낸 배원룡(裵元龍)의 아버지. 가락군(駕洛君)에 봉해짐.
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김해 , 인명>관인>문신
-
가량(加良) - 가야(伽倻)
기원(紀元) 전후 무렵부터 6세기 중반까지 낙동강(洛東江) 하류 지역에 존재하던 세력집단 또는 국가들의 총칭(總稱). 562년에 대가야(大伽倻)를 마지막으로 신라에 병합됨.
?~562 한국>가야 , 시간>국명
-
가량국(加良國) - 가야(伽倻)
기원(紀元) 전후 무렵부터 6세기 중반까지 낙동강(洛東江) 하류 지역에 존재하던 세력집단 또는 국가들의 총칭(總稱). 562년에 대가야(大伽倻)를 마지막으로 신라에 병합됨.
?~562 한국>가야 , 시간>국명
-
가례(家禮)@가례의절 - 가례의절(家禮儀節)
중국 명(明) 나라의 유학자인 구준(丘濬)이 편찬한 책. 주희(朱憙)의 《가례(家禮)》에 대한 해설서.
중국>명 , 중국 , 문헌>서명
-
가륭칠자(嘉隆七子) - 후칠자(後七子)
중국 명(明) 나라 가정 연간(嘉靖年間)에 문학(文學)으로 이름이 높았던 왕세정(王世貞)ㆍ이반룡(李攀龍)ㆍ사진(謝榛)ㆍ종신(宗臣)ㆍ양유예(梁有譽)ㆍ서중행(徐中行)ㆍ오국륜(吳國倫)을 가리킴.
중국>명 , 중국 , 인명>집단>기타집단
-
가리(可離) - 작약(芍藥)
작약과(芍藥科)의 다년생초(多年生草). 흔히 남녀 간의 애모(愛慕)하는 마음이나 이별(離別)의 상징물로 쓰여, 작약을 소재로 한 시들이 《동국이상국집(東國李相國文集)》ㆍ《동문선(東文選)》 등에 실려 있음.
자연물>식물
-
가리라봉(迦里羅峰) - 향로봉(香爐峯)
강원도 인제(麟蹄)와 고성(高城)의 경계에 있는 산 이름.
강원도>인제ㅣ강원도>고성 , 지명>자연지명