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가림(加林) - 임천(林川)
충청남도 부여(扶餘) 일대에 속하는 옛 고을 이름.
충청도>부여 , 지명>자연지명
-
가림(嘉林) - 임천(林川)
충청남도 부여(扶餘) 일대에 속하는 옛 고을 이름.
충청도>부여 , 지명>자연지명
-
가명(可明) - 이백지(李百之)
고려 후기의 유학. 가명(可明)이란 자(字)를 짓고 목은(牧隱) 이색(李穡)으로부터 '가명설(可明說)'이라는 자설(字說)을 받은 일이 있음.
한국>고려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가모(嘉謨) - 진요자(陳堯咨)
중국 송(宋) 나라 진종(眞宗)~인종(仁宗) 때의 문신. 지개봉부(知開封府)ㆍ한림학사(翰林學士) 등을 지냈으며, 예서(隸書)에 능하고 활쏘기를 잘했다 함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가문(迦文) - 석가(釋迦)
B.C.6~B.C.4세기경 인도(印度)에서 활동한 불교의 창시자. 정반왕(淨飯王)의 아들로, 29세에 출가하여 6년 동안의 고행 끝에 깨달음을 얻은 후 인도 각지를 다니며 포교 활동을 함.
B.C.563?~B.C.483? 고대 , 기타지역 , 인명>기타인명>성현ㅣ인명>왕실>왕자
-
가범(可範) - 곽규(郭規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현풍(玄風). 곽득하(郭得賀)의 아들로, 1474년(성종 5)에 사마시(司馬試)에 입격함. 포산군(苞山君) 곽부(郭郛)의 현손(玄孫)으로 창녕 현감(昌寧縣監) 등을 역임함.
1445~1501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현풍 , 인명>관인>문신
-
가병(家屛) - 왕가병(王家屛)
중국 명(明) 나라 목종(穆宗)~신종(神宗) 때의 문신. 성격이 곧고 충성스러워 직간(直諫)을 잘하였으며, 신종 때 재상을 지냄.
1536~1604 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가보량(加甫梁) - 가배량(加背梁)
경상남도 거제(巨濟)에 속한 마을 이름. 임진왜란(壬辰倭亂) 당시 경상우수영(慶尙右水營)이 있었던 요새지.
경상도>거제 , 지명>자연지명
-
가보진(加甫鎭) - 가배량진(加背梁鎭)
경상남도 거제(巨濟) 오아포(烏兒浦) 우수영에 있었던 진(鎭) 이름. 수군만호(水軍萬戶) 1명을 둠.
한국>조선시대 , 경상도>거제 , 유적>시설>성,진,책
-
가봉(可封) - 남순민(南舜民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의령(宜寧)., 충청도 수군절도사 남효원(南孝元)의 아들. 독서를 즐겨 책을 손에서 놓지 않았으며 역학(易學)에 정통했음.
1484~1569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가부(賈傅) - 가의(賈誼)
중국 전한(前漢)의 문신ㆍ학자. 문제(文帝)의 총애를 받다가 장사왕(長沙王)의 태부(太傅)로 좌천됨.
B.C.200~B.C.168 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가부(賈賦) - 복조부(鵩鳥賦)
중국 전한(前漢)의 문인(文人)인 가의(賈誼)가 지은 부(賦) 이름. 가의가 장사왕(長沙王)의 태부(太傅)로 좌천되었을 때, 복조(鵩鳥)가 날아들자 불길하게 여겨 스스로 애도한 내용임.
중국>전한 , 중국 , 문헌>작품명
-
가빈(嘉賓) - 치초(郗超)
중국 남북조시대 진(晉) 나라의 문신. 치음(郗愔)의 아들로, 모반(謀反)을 꾀하던 환온(桓溫)의 막하(幕下)가 되어 여러 가지 일을 획책함. 성품이 은일(隱逸)을 좋아하여 대규(戴逵)를 위해 섬계(剡溪)에다 집을 지어주었다 하며, 승려인 지둔(支遁)과 친교함.
336~377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가산(伽山) - 가야산(伽倻山)
경상도 성주(星州)와 합천(陜川) 사이에 있는 산 이름.
경상도>합천ㅣ경상도>성주 , 지명>자연지명
-
가산(佳山) - 강륜(康崙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신천(信川). 절충장군(折衝將軍) 강희철(康希哲)의 아들. 이황(李滉)의 문인으로, 명종 때 진사시(進士試)에 입격함.
1517~?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문사>유학
-
가산(假山) - 석가산(石假山)
정원 등을 꾸미기 위해 돌과 흙을 쌓아 인공적으로 만든 산 모양의 조경물(造景物). 도교의 신선(神仙) 사상에 근거를 두며, 우리나라에는 삼국시대부터 본격적으로 수용됨.
유적>시설>기타시설
-
가산(嘉山)@이주 - 이주(李澍)@1534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연안(延安). 명종 때 성균관(成均館)의 유생(儒生)으로서 보우(普雨)의 처벌을 요구하는 상소를 올림. 아들 이광정(李光庭)의 공으로 영의정에 추증됨.
1534~1584 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연안 , 인명>관인>문신
-
가상루(歌商樓) - 유득공(柳得恭)
조선 영조(英祖)~순조(純祖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문화(文化)로, 규장각 검서(奎章閣檢書) 등을 지냄. 주체적 역사 의식이 강했으며, 대표적인 저서로 《발해고(渤海考)》 등이 있음.
1749~1807 한국>조선후기 , 황해도>문화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가생(賈生) - 가의(賈誼)
중국 전한(前漢)의 문신ㆍ학자. 문제(文帝)의 총애를 받다가 장사왕(長沙王)의 태부(太傅)로 좌천됨.
B.C.200~B.C.168 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가서(可恕) - 정충기(鄭忠基)
조선 문종(文宗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온양(溫陽). 상의원 첨정(尙衣院僉正)을 지낸 정탁(鄭鐸)의 아버지로, 승문원 교리(承文院校理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온양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