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가서(軻書) - 맹자(孟子)@문헌
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사상가인 맹자(孟子)가 저술한 유교 경전(儒敎經典). 왕도정치(王道政治)ㆍ성선설(性善說) 등의 내용을 담고 있음. 사서(四書)의 하나로, 7편으로 구성됨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문헌>서명
-
가선(嘉善)@가은 - 가은(嘉恩)
경상북도 문경 지역의 옛 이름. 소백산맥의 회유치(回踰峙)를 넘어 보은(報恩)과 이어지는 산간도로가 발달함.
경상도>문경 , 지명>행정지명
-
가선(嘉善) - 가선대부(嘉善大夫)
조선시대 문산계(文散階)의 종2품 품계(品階). 가정대부(嘉靖大夫)의 아래 등급으로, 1392년(태조 1)에 설치됨. 1865년(고종 2)부터 문무관, 의빈(儀賓)의 품계로도 쓰임.
1392 한국>조선시대 , 법제>관직
-
가성(可成) - 이예(李芮)
조선 세종(世宗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양성(陽城). 집현전 박사(集賢殿博士)로 있을 때 세종의 총애를 받고, 《의방유취(醫方類聚)》ㆍ《고려사(高麗史)》등의 편찬에 참여함. 형조 판서 등을 지내고, 학식ㆍ문명이 높아 명망을 떨침.
1419~1480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양성 , 인명>관인>문신
-
가소년(賈少年) - 가의(賈誼)
중국 전한(前漢)의 문신ㆍ학자. 문제(文帝)의 총애를 받다가 장사왕(長沙王)의 태부(太傅)로 좌천됨.
B.C.200~B.C.168 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가수(伽水) - 가천(伽川)
경상도 성주(星州)와 합천(陜川)에 걸쳐 있는 가야산(伽倻山)의 동남쪽에서 발원하여, 성주의 서남쪽을 지나 고령(高靈)으로 흘러 들어가는 하천 이름.
경상도>합천ㅣ경상도>성주 , 지명>자연지명
-
가수(可售)@변옥성 - 변옥성(卞玉成)
조선 중중(中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초계(草溪). 부사용(副司勇) 변치원(卞致元)의 아들로, 1513년(중종 8)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초계 , 인명>문사>유학
-
가수(可售)@조세림 - 조세림(趙世琳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직산(稷山). 승의부위(承義副尉) 조원종(趙元鍾)의 아들로, 1513년(중종 8)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부평 , 인명>문사>유학
-
가수(可售) - 김백환(金百鍰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해평(海平). 돈용교위(敦勇校尉) 김맹겸(金孟謙)의 아들로, 1513년(중종 8)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성주 , 인명>문사>유학
-
가수(嘉壽) - 삼가(三嘉)
경상도 남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. 명승지로 용암서원(龍巖書院)과 관수루(觀水樓)ㆍ유린서정(有麟西亭) 등이 있음. 후에 거창(居昌)과 합천(陜川) 등에 분속됨.
경상도>삼가 , 지명>행정지명
-
가수(嘉樹) - 삼가(三嘉)
경상도 남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. 명승지로 용암서원(龍巖書院)과 관수루(觀水樓)ㆍ유린서정(有麟西亭) 등이 있음. 후에 거창(居昌)과 합천(陜川) 등에 분속됨.
경상도>삼가 , 지명>행정지명
-
가수(嘉秀) - 유실(劉實)
중국 명(明) 나라 선종(宣宗)~영종(英宗) 때의 문신. 《송원통감강목(宋元通鑒綱目)》 편수에 참여하고 지남웅부(知南雄府) 등을 역임하였으나, 무함을 당하여 하옥되었다가 죽음.
1396~1461 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가순(家淳) - 이가순(李家淳)
조선 정조(正祖)~헌종(憲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진보(眞寶). 이귀서(李龜書)의 아들로, 성균관(成均館)에서 수학할 때 정조의 특별한 총애를 받음. 교리(校理) 등을 지내며, 시폐(時弊)를 구제하는 데 힘씀.
1768~1844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예안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가신(可臣)@홍가신 - 홍가신(洪可臣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남양(南陽). 민순(閔純)의 문인으로, 이몽학(李夢鶴)의 난을 평정한 공으로 청난공신(淸亂功臣)에 책록됨. 이기일원론(理氣一元論)에 입각하여 노장(老莊)ㆍ불교(佛敎)를 비판함.
1541~1615 한국>조선후기 , 경기도>남양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가신(可臣) - 이가신(李可臣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전의(全義). 이량(李亮)의 아들로, 1504년(연산군 10) 식년시(式年試)에 급제하였으며, 이조 참의(吏曹參議) 등을 역임함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전의 , 인명>관인>문신
-
가안(可安) - 김질(金礩)
조선 문종(文宗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성삼문(成三問)ㆍ박팽년(朴彭年) 등의 단종(端宗) 복위 계획을 고변하여 사육신(死六臣) 사건의 계기를 제공함. 《경국대전(經國大典)》의 편찬에 참여함.
1422~1478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가야(伽倻)@성주 - 성주(星州)
경상북도 남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.
경상도>성주 , 지명>행정지명
-
가야(伽倻)@김해 - 김해(金海)
경상남도 동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. 고대에 가락국(駕洛國)의 도읍지였음.
경상도>김해 , 지명>행정지명
-
가야(伽耶) - 가야(伽倻)
기원(紀元) 전후 무렵부터 6세기 중반까지 낙동강(洛東江) 하류 지역에 존재하던 세력집단 또는 국가들의 총칭(總稱). 562년에 대가야(大伽倻)를 마지막으로 신라에 병합됨.
?~562 한국>가야 , 시간>국명
-
가야(加耶) - 가야(伽倻)
기원(紀元) 전후 무렵부터 6세기 중반까지 낙동강(洛東江) 하류 지역에 존재하던 세력집단 또는 국가들의 총칭(總稱). 562년에 대가야(大伽倻)를 마지막으로 신라에 병합됨.
?~562 한국>가야 , 시간>국명