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가유기(可遊記) - 단양산수가유자속기(丹陽山水可遊者續記)
조선 전기의 문신ㆍ학자인 이황(李滉)이 단양 군수(丹陽郡守)를 지낼 때 그 지역의 산수(山水)를 유람하고 지은 기문(記文).
1548 한국>조선전기 , 문헌>작품명
-
가은(嘉隱) - 심대부(沈大孚)
조선 광해군(光海君)~효종(孝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청송(靑松). 심대(沈岱)의 아들이며, 정구(鄭逑)의 문인. 후에 효종이 된 봉림대군(鳳林大君)의 사부(師傅)를 지냈으며, 내직과 외직을 두루 역임함.
1586~1657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가은군(加恩君) - 이빈(李份)
조선 전기의 종친. 태종(太宗)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(孝寧大君) 이보(李𥙷)의 손자이며, 원천군(原川君) 이의(李宜)의 세 번째 서자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가은도정(加恩都正) - 이빈(李份)
조선 전기의 종친. 태종(太宗)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(孝寧大君) 이보(李𥙷)의 손자이며, 원천군(原川君) 이의(李宜)의 세 번째 서자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가은도정(嘉恩都正) - 이빈(李份)
조선 전기의 종친. 태종(太宗)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(孝寧大君) 이보(李𥙷)의 손자이며, 원천군(原川君) 이의(李宜)의 세 번째 서자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가은암산성(可隱巖山城) - 가은성(可隱城)
충청북도 제천(堤川)과 단양(丹陽) 사이에 있는 가은암산(加隱巖山)에 소재한 산성(山城)으로, 고려 말기에 단양ㆍ청풍(淸風)ㆍ제천 사람들이 왜구를 피해 이곳으로 피난하기도 함.
충청도>제천ㅣ충청도>단양 , 유적>시설>성,진,책
-
가을내(加乙乃) - 은진(恩津)
충청도 남동부에 있던 고을 이름. 금강유역에 있어 물자운송이 편리하여 농산물의 집산지이며, 강경산(江景山)․황화산(皇華山)에는 봉수(烽燧)가 있음. 현재는 충청남도 논산시(論山市)에 속함.
충청도>은진 , 지명>행정지명
-
가을두(加乙頭) - 잠두봉(蠶頭峯)
서울 마포 일대의 한강변에 위치한 산 이름. 흥선대원군(興宣大院君)에 의해 천주교 박해가 시작되면서 이 곳에서 많은 신자들이 참수당함.
서울 , 지명>자연지명
-
가의(可依) - 이기(李墍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한산(韓山). 이지란(李之蘭)의 아들로, 지돈녕부사(知敦寧府事) 등을 역임하였으며, 청백리(淸白吏)에 녹선됨.
1522~1600 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한산 , 인명>관인>문신
-
가의(可義) - 성가의(成可義)
조선 세조(世祖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창녕(昌寧). 문신 성윤조(成允祖)의 아버지로, 문화 현령(文化縣令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관인>문신
-
가의(家儀) - 거가잡의(居家雜儀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신ㆍ학자인 사마광(司馬光)의 저서. 사례(四禮)에 의거하여 조상의 신주를 모시는 사당(祠堂) 제도와 예복(禮服)인 심의(深衣) 제도 등 집에서 지켜야 할 규범에 대해 저술함.
중국>송 , 중국 , 문헌>서명
-
가의대부(嘉義大夫) - 가정대부(嘉靖大夫)
조선시대 종2품 문관의 품계(品階). 고려시대 영록대부(榮祿大夫)에 해당. 1522년(중종 17) 가의대부(嘉義大夫)로 개칭.
1392 한국>조선전기 , 법제>제도
-
가이민상견아린(歌爾民商堅阿隣) - 백두산(白頭山)
함경도와 중국 길림성(吉林省)에 걸쳐 있는 산. 백두산에서부터 지리산에 이르는 백두대간은 한국의 기본 산줄기로서, 모든 산들이 여기서 뻗어 내렸다 하여 예로부터 성산(聖山)으로 숭배함.
함경도>경성ㅣ함경도>갑산 , 지명>자연지명
-
가자(賈子) - 가의(賈誼)
중국 전한(前漢)의 문신ㆍ학자. 문제(文帝)의 총애를 받다가 장사왕(長沙王)의 태부(太傅)로 좌천됨.
B.C.200~B.C.168 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가자교(架資橋) - 선죽교(善竹橋)
경기도 개성(開城) 선죽동(善竹洞)에 있는 돌다리 이름. 고려 태조(太祖) 때 축조된 것으로 추정되며, 고려 말에 정몽주(鄭夢周)가 이방원(李芳遠)이 보낸 조영규(趙英珪) 등에 의해 피살된 장소로 유명함.
919 한국>고려전기 , 경기도>개성 , 유적>시설>기타시설
-
가적(賈賊) - 가사도(賈似道)
중국 송(宋) 나라 이종(理宗)~도종(度宗) 때의 문신. 이종의 비(妃)인 귀비(貴妃)의 아우로, 우승상(右丞相)을 지내고 조정 정사를 농단함. 원병(元兵)에게 대패하여 귀양 가는 도중 정호신(鄭虎臣)에게 살해됨.
1213~1275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가정(可貞) - 정효종(鄭孝終)
조선 세조(世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경주(慶州). 성균관 사예(成均館司藝)를 지낸 정지년(鄭知年)의 아들로, 1458년(세조 4) 별시(別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한 후 예조 참의(禮曹參議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가정(柯亭)@이숙기 - 이숙기(李叔琪)
고려 후기의 문신. 밀직 대언(密直代言) 등을 지냈으며, 익재(益齋) 이제현(李齊賢)과 교유함. 이제현의 《익재난고(益齋亂稿)》에 그의 죽음을 애도하며 지은 시 등이 실려 있음.
한국>고려후기 , 인명>관인>문신
-
가정(柯亭) - 김희열(金希說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순천(順天). 김약평(金若枰)의 아들로, 병조ㆍ예조ㆍ호조의 참판(參判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순천 , 인명>관인>문신
-
가정(稼亭)@정지운 - 정지운(鄭之雲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학자. 본관은 경주(慶州)로, 정인필(鄭寅弼)의 아들. 김정국(金正國)ㆍ김안국(金安國)ㆍ이황(李滉)의 문인으로, 수기지학(修己之學)을 실천하며 《천명도설(天命圖說)》 등을 저술함.
1509~1561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고양 , 인명>문사>학자